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CNN 前 앵커 돈 레몬 "머스크가 20억원 지급 약속 안 지켜" 소송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CNN 앵커 출신의 방송인 돈 레몬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그가 소유한 엑스(X·옛 트위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은 1일(현지시간) 레몬은 머스크가 소유한 엑스(X·옛 트위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계약을 머스크가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미리 약속한 금액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주장, 이날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캘리포니아 고등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이 소장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난 1월 레몬이 엑스에 독점적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가로 레몬에 매년 150만 달러(약 20억5500만원)와 동영상 광고 수익의 일부를 지급하고, 해당 계정이 팔로워를 늘리면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양측이 이런 내용의 계약서를 쓰지는 않았으며, 머스크는 전화 통화에서 엑스가 재정적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레몬 측은 전했다.

 

또 머스크는 레몬이 제작하는 '돈 레몬 쇼'의 첫 출연자가 되는 데 동의하고 3월에 인터뷰를 진행했다. 하지만 레몬은 이 인터뷰를 진행한 지 몇 시간 만에 계약 취소 결정을 통보받았다고 지난 3월 13일 자신의 엑스 계정을 통해 밝혔다.

 

머스크는 당일 레몬과의 계약을 취소한 이유에 대해 "이 쇼의 접근 방식이 기본적으로 소셜미디어상의 CNN에 불과하다"면서 "CNN이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그것은 효과가 없다"고 엑스에 글을 올렸다.

 

이후 며칠 뒤 레몬이 다른 온라인 채널을 통해 공개한 해당 인터뷰 영상에는 레몬이 '머스크에게 마약을 복용하는 이유와 얼마나 자주 복용하는지 등을 묻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미국 언론들은 머스크가 레몬의 이런 질문 내용을 언짢아한 것으로 추정했다.

 

레몬의 변호사인 카니 셰게리언은 이날 성명에서 "엑스 경영진은 돈(레몬)을 이용해 광고 영업을 한 뒤 파트너십을 취소하고 그의 이름을 진흙탕 속으로 몰아넣었다"고 말했다.

 

레몬은 2006년부터 CNN에서 일하다 2023년 4월 '여성의 전성기는 40대까지'라는 성차별적 발언으로 사실상 퇴출당했으며, 이후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머스크 xAI, 매크로하드 AI 벤처로 MS 정조준…"소프트웨어 기업 해체 선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자사의 인공지능 회사 xAI가 '매크로하드(Macrohard)'라는 새로운 AI 기반 소프트웨어 벤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매크로하드는 순수 AI만으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회사”라며, 수백 개의 전문화된 AI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에 직접 도전한다고 발표했다. 매크로하드라는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마이크로’를 ‘매크로’로, ‘소프트’를 ‘하드’로 바꾼 말장난이자 도발적인 네이밍으로, 빌 게이츠와의 과거 공개 불화가 엿보이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xAI는 이 명칭으로 2025년 8월 1일 미국 특허청에 상표를 출원했으며, 자연어 처리, 생성 미디어 소프트웨어, 자동화 및 의사결정 지원 AI 시스템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하는 기술 개발을 표방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 벤처의 핵심 경쟁력으로 ‘수백 개의 전문 코딩 및 이미지·비디오 생성·이해 AI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하는 멀티 에이전트 협업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들 AI가 가상 환경에서 인간

[빅테크칼럼] 머스크, 오픈AI 인수 위해 저커버그에 자금지원 요청…AI 지배권 놓고 벌이는 "적과 동지의 냉혹한 현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970억 달러 규모의 오픈AI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에게 재정적 지원을 요청했던 사실이 알려졌다. CNBC, 로이터, 테크크런치 등 주요 해외 언론과 법원 서류에 따르면, 이같은 사실이 법원 제출 서류를 통해 공개되면서 AI 산업의 권력 다툼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이번 소송과 관련한 법원 기록에 따르면, 머스크는 저커버그와 “잠재적인 금융 협약이나 투자”에 관해 논의했으나, 최종적으로 메타나 저커버그는 머스크의 인수 의향서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크와 저커버그의 협력 가능성은 AI 업계 내 양대 거물 사이의 경합 구도를 극명히 보여준다. 메타는 자사 AI 역량 강화를 위해 140억 달러 규모로 스케일AI에 투자하고, 오픈AI 핵심 인재인 챗GPT 공동개발자 셩자오(Shengjia Zhao)를 수석 과학자로 영입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셩자오는 메타의 최첨단 AI 연구소 ‘슈퍼인텔리전스 랩’의 책임자로서 저커버그와 직접 협업 중이며, 메타는 AI 인프라에 수백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을 밝혔다. 머스크가 970억 달러 인수를 제안한 시점은 오픈AI가 소프트뱅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