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맑음동두천 16.2℃
기상청 제공

빅테크

CNN 前 앵커 돈 레몬 "머스크가 20억원 지급 약속 안 지켜" 소송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CNN 앵커 출신의 방송인 돈 레몬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그가 소유한 엑스(X·옛 트위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미국 뉴욕타임스(NYT) 등은 1일(현지시간) 레몬은 머스크가 소유한 엑스(X·옛 트위터)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계약을 머스크가 일방적으로 파기하고 미리 약속한 금액을 지불하지 않았다고 주장, 이날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캘리포니아 고등법원에 소장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이 소장에 따르면 머스크는 지난 1월 레몬이 엑스에 독점적으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대가로 레몬에 매년 150만 달러(약 20억5500만원)와 동영상 광고 수익의 일부를 지급하고, 해당 계정이 팔로워를 늘리면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다만 양측이 이런 내용의 계약서를 쓰지는 않았으며, 머스크는 전화 통화에서 엑스가 재정적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레몬 측은 전했다.

 

또 머스크는 레몬이 제작하는 '돈 레몬 쇼'의 첫 출연자가 되는 데 동의하고 3월에 인터뷰를 진행했다. 하지만 레몬은 이 인터뷰를 진행한 지 몇 시간 만에 계약 취소 결정을 통보받았다고 지난 3월 13일 자신의 엑스 계정을 통해 밝혔다.

 

머스크는 당일 레몬과의 계약을 취소한 이유에 대해 "이 쇼의 접근 방식이 기본적으로 소셜미디어상의 CNN에 불과하다"면서 "CNN이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그것은 효과가 없다"고 엑스에 글을 올렸다.

 

이후 며칠 뒤 레몬이 다른 온라인 채널을 통해 공개한 해당 인터뷰 영상에는 레몬이 '머스크에게 마약을 복용하는 이유와 얼마나 자주 복용하는지 등을 묻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미국 언론들은 머스크가 레몬의 이런 질문 내용을 언짢아한 것으로 추정했다.

 

레몬의 변호사인 카니 셰게리언은 이날 성명에서 "엑스 경영진은 돈(레몬)을 이용해 광고 영업을 한 뒤 파트너십을 취소하고 그의 이름을 진흙탕 속으로 몰아넣었다"고 말했다.

 

레몬은 2006년부터 CNN에서 일하다 2023년 4월 '여성의 전성기는 40대까지'라는 성차별적 발언으로 사실상 퇴출당했으며, 이후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애 낳을 여자 구한다" 자녀 14명의 머스크 '출산 집착'…"'자연분만 땐 뇌 줄어든다'며 제왕절개 제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자녀가 알려진 14명보다 많으며, 한 번도 본 적 없는 여성에게도 자신의 아이 출산을 제안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머스크는 자연분만을 하면 뇌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이유로 자신의 아이를 임신한 여성에게 제왕절개를 요구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 머스크의 13번째 혼외자를 출산한 보수 성향 인플루언서(온라인 유명인) 애슐리 세인트 클레어와 머스크 주변 인사들의 증언을 인용해 머스크의 출산에 대한 인식과 최근 논란을 전했다. 이 매체는 머스크가 자신의 혼외자들을 관리하는 이른바 ‘해결사’를 통해 임신한 여성들에게 비밀 유지를 강요하고 양육비 지급을 강압 수단으로 활용했다고 보도했다. 세인트 클레어에 따르면 머스크는 세인트 클레어가 임신하자 “지구 종말의 날 전까지 2세들을 ‘군단’ 수준으로 늘리기 위해선 대리모를 써야 할 것 같다”는 문자를 보냈다. 세인트 클레어는 지난 2월 14일 엑스를 통해 자신과 머스크 사이에 생후 5개월 된 아들이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이 아들의 이름을 로마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초대 왕 ‘로물루스(Romulus)’로 지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보도에

올트먼과 머스크, 이번엔 SNS사업 '충돌'…오픈AI, 챗GPT와 연계된 자체 SNS 플랫폼 개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머스크와 올트먼의 갈등이 더욱 심화될 조짐이다. 오픈AI가 이미지 기반 SNS 플랫폼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15일(현지시간) IT 매체 더버지는 오픈AI가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자들이 이미지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플랫폼을 내부 테스트 중이라고 보도했다. 오픈AI 샘 올트먼 CEO는 외부 인사들에게 피드백을 요청하는 등 실제 출시에 무게를 두고 시장의 반응을 살피고 있다. 다만 SNS를 별도의 앱으로 출시할지, 챗GPT에 통합할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 오픈AI는 이번 보도에 반응하지 않았다. 만약 오픈AI가 소셜미디어를 운영할 경우 AI 학습에 쓸 독자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샘 올트먼이 SNS플랫폼을 출시하게 되면 엑스를 소유한 일론 머스크와 충돌을 이어갈 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 기업 메타플랫폼과 경쟁할 수도 있다. 올트먼은 메타플랫폼이 지난 2월 오픈AI와 경쟁할 AI 모델을 개발중이라는 소식이 나오자 엑스에 "그래, 좋아. 우리도 소셜 앱 만들지 뭐"라고 적었다. 더버지는 오픈AI의 소셜미디어 도전이 머스크와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테슬라 매장 불지른 40대男 "40년 징역형 가능"…미 법무부 “형량 협상 없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에서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업체 테슬라 매장과 공화당 지역 사무소에 불을 지른 혐의로 붙잡힌 40대 남성이 기소됐다. 미 법무부는 14일(현지시간)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에 거주하는 제이미슨 와그너(40)를 테슬라 매장과 공화당 뉴멕시코 본부 방화 사건 용의자로 체포해 기소했다고 밝혔다. 와그너는 지난 2월 9일 새벽 테슬라 앨버커키 매장에 불을 질러 차량 2대를 파손하고, 지난달 30일 새벽에는 공화당 뉴멕시코 사무실에 방화를 시도해 정문과 입구 부분을 훼손한 혐의를 받는다. 수사관들은 두 사건 현장에서 같은 글자가 쓰인 유리병을 발견해 조사를 벌였고, 현장 일대 감시 카메라에 찍힌 영상 등을 통해 용의자를 와그너로 특정한 뒤 그의 집을 수색해 범행에 쓰인 인화성 물질과 같은 종류의 유리병 등 증거를 찾아냈다. 와그너는 방화에 의한 재물 손괴 등 2가지 혐의로 기소됐으며, 각 혐의당 5∼20년씩 최장 40년의 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팸 본디 법무부 장관은 “정치적 폭력의 물결에 동참하는 사람들에게 이 사건이 마지막 교훈이 되길 바란다”며 “우리는 당신을 체포해 기소할 것이며, (형량을) 협상하지 않을 것이다. 범죄에는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