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스페이스X 주주명부에 중국 투자자 실명"…‘중국 자본’ 논란에도 美 국방부 군사 계약 수주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우주군이 2027년 국가안보 우주발사(NSSL) 3단계 Lane 2 프로그램을 통해 7건의 주요 군사 임무 중 5건(총 7억1400만 달러 상당)을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맡긴 가운데, 중국 투자자가 스페이스X에 지분보유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The Times Of India, fastcompany.com, Ars Technica, Mezha.Media, ProPublica, Futurism, Grand Pinnacle Tribune에 따르면, 이로써 스페이스X는 2027~2032년 총 54건·135억 달러 이상 규모의 미국 안보 우주발사 시장에서 독보적 지배력을 재확인했다. 이번 계약은 통신 위성 1기, 기밀 탑재체 3기, 정찰 위성 1기 발사를 포함하며, 나머지 두 건(4억2800만 달러)은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에 돌아갔다.

 

블루오리진(Blue Origin) 뉴글렌(New Glenn) 로켓의 경우, 2025년 첫 성공적 궤도비행에도 불구 국가안보 인증 획득에 실패해 이번 배정에서 제외됐다.

 

콜. 에릭 자리브니스키(USSC) 집행임원은 “우주는 국가안보 전략의 궁극적 고지”라고 강조하며, 자국 군사 우주자산 확보에 민간-정부 협력 생태계가 중요함을 시사했다. 실제 스페이스X는 미 국방부, NASA, 미 대사관 등과 첩보 위성·GPS·스타링크와 같은 기반 인프라 계약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중국 자본’ 직접 투자 첫 공식 확인…“스페이스X 주주명부에 중국 투자자 실명 올라”

 

이번 계약과 동시에, 2024년 델라웨어 상업소송에서 봉인됐던 내부자 증언이 공개되며 스페이스X 주요 투자자인 이크발짓 칼론(Iqbaljit Kahlon)은 “중국 투자자들이 분명히 있고, 일부는 회사의 주주명부(cap table)에 직접 등록돼 있다”고 증언했다. 과거에는 케이맨 제도를 활용한 ‘간접’ 투자 방식만이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직접’ 투자도 확인되어 더 긴밀한 자본 연계와 정보접근 가능성이 제기돼 논란을 키우고 있다.

 

현재 미국 법률은 공식적으로 국방산업체 내 중국투자를 전면 금지하지는 않으나, 외국자본(특히 중국 자본)의 지분 구조·실소유주·경영참여 등에 관한 심사가 엄격히 이뤄지고 있다. 실제로 증언을 이끌어낸 ProPublica 등 언론 보도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2021년 중국계와의 5000만 달러 지분 협상이 외부에 노출되자 입장을 급히 번복하는 등 투명성 부족으로 비판받아 왔다.

 

 

의회·국방부, “중국 투자 투명성·안보 우려, 전면 점검 필요”...CFIUS 조사·청문회 요구


2025년 3월 민주당 하원 의원단은 국방장관과 NASA 수석에게 서한을 보내 “스페이스X의 외국인, 특히 중국과의 잠재적 이해 상충 및 관련성 은폐 가능성”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서한에는 “국방 및 NASA의 초민감 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이 지분구조와 자본 출처를 숨기는 것은 국가안보에 심대한 위협”이며, 역외펀드·비밀계좌 활용 등 투명성 부족에 규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경고가 담겼다.

 

실제 2025년 10월, 법정 증언 및 언론 보도로 드러난 스페이스X-중국 투자 연계는 미국 내부 정보 유출, 방위산업 기술 유입, 계약 정보 접근 등에 대한 직간접 리스크를 증폭시키고 있다는 평가다. 전문가들은 “미국 방위산업-외국자본 간 균열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처럼 스페이스X는 막대한 미국 군사·우주 발사 시장을 장악한 동시에, 외국 특히 중국 투자자 연루로 인한 국가안보·정책 리스크와 관련해 의회와 정부 차원의 ‘전면적 재점검’ 요구에 직면했다.

 

향후 CFIUS(미국 외국투자심의위원회)에 의한 공식 조사, 계약 프로세스의 추가 검증 및 청문회 가능성 등이 제기되며, 민간 우주산업-국가안보-글로벌 자본 간 ‘삼중 논란’이 장기화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무안공항 활주로에 띄운 '179개의 유등’…유족들 합동차례·진상규명 촉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10월 6일 무안공항 활주로에 179개의 LED 유등이 등장했다. 179개의 LED 유등에는 ‘보고싶다’, ‘평안하길’ 등의 문구가 적혀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다. 추석 당일인 6일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에서 ‘기억의 활주로, 별이 된 당신께’ 행사를 열고 희생자를 추모했다. 행사는 오후 7시 어둠이 깔린 뒤 사고 당시 피해를 키운 요인으로 지목되는 활주로의 둔덕 앞에서 진행됐다. 유가족과 광주시장, 국회의원 등 내외빈 300여명이 참석한 합동 차례에서는 희생자들의 애도를 위한 묵념, 추모사, 분향이 엄숙히 진행됐다. 2024년 12월 29일, 태국 방콕을 출발해 무안국제공항으로 향하던 제주항공 7C2216편 여객기가 동체 착륙하는 과정에서 활주로를 이탈, 공항 시설물과 충돌 후 폭발하는 참사가 발생해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국내 항공기 사고 중 최대 인명피해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항공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남았다. 사고 원인은 조류 충돌로 인한 랜딩기어 및 유압계통 고장으로 동체 착륙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조

[내궁내정] 대한항공 1등석엔 어떤 제품들이 제공될까?..지드래곤 입은 프레떼 파자마부터 그라프 어메니티까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대한항공이 2025년 신규 기업 CI 발표에 맞춰 기내 서비스와 용품을 대폭 업그레이드하며 프리미엄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가운데, 일등석 승객에게 제공되는 럭셔리 브랜드들이 주목받고 있다. 가수 지드래곤이 최근 미국 뉴욕에서 귀국하면서 인천공항에서 입었던 파자마가 대한항공 일등석 승객들에게 제공되는 프레떼(Frette) 브랜드 제품으로 알려지며 화제가 됐다. 이탈리아 160년 전통의 프레떼는 전 세계 6성급 호텔 등이 채택한 최고급 침구 브랜드로, 대한항공과의 협업을 통해 기내용 이불, 베개, 편의복, 슬리퍼 등 전 품목을 제작했다. 특히 일등석에 제공되는 이불과 베개는 보온성과 통기성이 뛰어난 덕다운 소재와 면 3

[우주AtoZ] 베이조스 “수십년 내 수백만명 우주 거주…AI와 로봇이 우주경제 선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향후 수십년 안에 수백만명이 우주에 거주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로이터, 테크버즈, 타임스오브인디아, CNBC에 따르면, 2025년 10월 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에서 베이조스는 “수백만명이 우주에 살게 될 것”이라며 대부분 이들이 자발적으로 우주 거주지를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인류의 생활공간이 지구를 넘어 우주로 확장되며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자리잡을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베이조스는 자신이 설립한 우주개발 기업 블루오리진의 비전을 소개하며, "로봇이 대부분의 노동을 담당하고, 지구 궤도 위에 거대한 AI 데이터센터들이 떠 있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데이터센터들은 풍부하고 끊김 없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지구 기반 데이터센터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면에서 더 우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급격한 성장으로 막대한 전력과 냉각용 물이 필요해지면서, 우주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계획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들 거대 데이터센터는 향후 10~20년 내 우주에 세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