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7월 9일(한국시간) 의약품에 대해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언급하면서, 글로벌 바이오·제약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셀트리온은 이에 맞서 단기·중기·장기 3단계 대응 전략을 가동, 미국발 관세 리스크 최소화에 나섰다.
트럼프 “의약품에도 관세”…글로벌 제약시장 ‘긴장’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미국 내 제조업 부흥과 무역적자 해소를 명분으로, 의약품을 포함한 중국·한국 등 외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부과 방침을 시사했다. 미국은 2024년 기준 약 1800억 달러 규모의 의약품을 수입하고 있으며, 이 중 한국산 비중은 약 7% 수준으로 집계된다. 업계에서는 관세율이 10~25%로 적용될 경우, 연간 180억~45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글로벌 제약업계에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셀트리온 “2년치 재고·미국 현지생산·M&A까지…내년 말까지 완벽 대응”
셀트리온은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 회사는 이미 단기적으로 미국 수출 제품에 대해 2년치 재고를 확보했으며, 향후에도 상시 2년치 재고를 유지할 계획이다. 중기적으로는 미국 내 CMO(위탁생산) 파트너와의 계약을 완료, 미국 판매 제품의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했다.
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생산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까지 검토 중이다. 셀트리온은 “관세 정책이 어느 시점, 어떤 규모로 결정되더라도 내년 말까지 회사에 미치는 영향이 없도록 준비를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 美 매출 비중과 관세 영향 분석
셀트리온의 2024년 미국 매출은 전체 매출의 약 35%를 차지한다. 관세가 10% 부과될 경우, 연간 약 1000억원 내외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셀트리온은 재고 확보, 현지 생산, M&A 등 다각적 전략을 통해 비용 전가 및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는다.
제약바이오 업계 전문가 “한국 바이오, 현지화 없인 생존 어려워”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은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으로, 현지 생산 및 공급망 구축이 필수”라며 “셀트리온의 전략적 대응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는 “미국 관세 강화가 현실화될 경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 전략 전반에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셀트리온 “관세 리스크, 주주에 실질적 영향 없을 것”
셀트리온 관계자는 “미국발 관세 정책이 현실화되더라도, 이미 준비된 대응책을 통해 회사와 주주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은 없을 것”이라며 “진행 상황을 주주에게 투명하게 공유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