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구글 왕국, 퍼플렉시티 '코멧' AI 브라우저 혁명에 '흔들'…검색 아닌 질문의 시대 열리다

퍼플렉시티 ‘코멧’, 오픈AI 등 AI 브라우저의 부상으로 ‘검색→질문’ 시대 본격화
구글 크롬 점유율 64.86%로 여전히 1위지만, 성장세 둔화와 AI 경쟁 심화
AI 브라우저 확산 시 구글 광고 매출 구조에 ‘직격탄’ 가능성
브라우저 시장, ‘탐색 도구’에서 ‘인지적 운영체제’로 진화 중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 브라우저는 인터넷의 새로운 관문이자, 구글 왕국을 위협하는 혁신의 서막이다.”


2025년 7월, AI 기반 웹 브라우저 ‘코멧(Comet)’의 등장은 인터넷 사용 패러다임의 대변혁을 예고한다.

 

퍼플렉시티 AI가 선보인 코멧은 단순한 검색을 넘어, 사용자의 질문에 실시간으로 답변하고, 콘텐츠 요약·분석, 일정 관리, 심지어 미팅 예약이나 구매 대행까지 수행하는 AI 어시스턴트를 핵심에 통합했다. 이 브라우저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과 완벽히 호환되며, 북마크·설정도 원클릭으로 이전 가능하다.

 

기본 광고 차단 기능과, 로컬·클라우드 하이브리드 AI 아키텍처를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도 차별점이다.

 

시장 현황: 크롬의 압도적 점유율, 그러나 AI 혁신에 ‘균열’

 

2025년 3월 기준, 구글 크롬은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에서 64.86%의 점유율(3.45억명 사용자)로 독보적 1위를 지키고 있다. 사파리(18.59%), 엣지(5.4%), 파이어폭스(2.9%) 등은 한참 뒤처진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성장세는 둔화됐고, AI 기반 브라우저의 부상과 프라이버시 이슈, 지역별 경쟁 심화 등으로 ‘철옹성’에 균열이 감지된다.

 

퍼플렉시티·오픈AI, AI 브라우저로 ‘질문 중심’ 인터넷 시대 견인


퍼플렉시티는 2025년 5월 한 달간 7억8000만건의 쿼리를 처리하며 월 20% 이상 성장세를 기록했다.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는 “1년 내 주당 10억 쿼리”를 목표로 내세웠다. 퍼플렉시티 AI의 활성 사용자는 1500만명으로, 2024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하루 방문자는 200만명, 월간 웹사이트 트래픽은 5000만건을 상회한다.

 

오픈AI 역시 수주 내 자체 AI 브라우저 출시를 예고했다. 오픈AI 브라우저는 챗GPT 스타일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와 ‘Operator’ AI 에이전트가 내장될 전망이며, 예약·양식 작성 등도 AI가 직접 처리한다. 크롬 개발 핵심 인력을 영입하고, 크롬의 오픈소스 엔진(크로미움)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AI 브라우저의 경제적·전략적 파장: 구글 매출 구조 ‘직격탄’ 우려


구글의 연간 광고 매출은 약 2500억 달러로, 이 중 75%가 크롬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검색 광고에서 나온다. AI 브라우저가 사용자의 질문·작업을 자체적으로 처리하면, 구글이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와 검색 광고 노출 기회가 줄어든다.

 

실제로 크롬 점유율은 2020년 69%에서 2025년 65%로 하락했다. AI 브라우저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경우, 구글의 광고 매출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AI 브라우저는 기존의 키워드 검색 기반 광고가 아닌, AI가 추천하는 ‘대화형 광고’나 ‘스폰서드 응답’ 등 새로운 광고 모델로의 전환을 촉진할 전망이다. 이는 광고주, 콘텐츠 플랫폼, 미디어 산업 전체에 파괴적 변화를 예고한다.

 

글로벌 IT 공룡들의 ‘브라우저 전쟁’…구글, 혁신 없인 생존 어렵다


퍼플렉시티는 모토로라·삼성 등과의 파트너십, 해외 통신사와의 협력, 심지어 구글이 크롬 매각을 강제당할 경우 인수 의향까지 내비치며 공격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오픈AI 역시 5억 달러 투자 유치, 140억 달러 기업가치 등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브라우저 시장 진입을 준비 중이다.

 

이제 브라우저 시장은 단순한 ‘탐색 도구’가 아닌, AI가 사용자의 일상과 업무 전반을 지원하는 ‘인지적 운영체제’로 진화하고 있다. 구글이 AI 혁신에 뒤처진다면, “검색의 제국”은 AI 네이티브 브라우저 혁명 앞에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빅테크칼럼] 전신마비 남성, 뉴럴링크 뇌 칩으로 ‘인생 재설계’…대학생·사업가로 변신한 미래의 사이보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18개월 전 수영 사고로 어깨 아래가 완전히 마비됐던 애리조나에 거주하는 29세의 놀랜드 아르보(Noland Arbaugh) 씨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Neuralink)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뇌 칩 이식 수술로 삶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2024년 1월 아르바우는 뉴럴링크의 임플란트를 처음으로 인간에게 이식받은 사례가 됐으며, 현재는 컴퓨터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제어하고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대학생이자 사업가로 거듭났다. 뉴럴링크의 공식발표와 포춘(Fortune)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기기는 그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아르보는 이제 하루 최대 10시간 동안 임플란트를 사용해 컴퓨터를 제어하고, 마리오 카트(Mario Kart)를 비롯한 비디오 게임을 하며, 텔레비전이나 공기청정기 같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뉴럴링크 임플란트는 그의 운동 피질에 1000개 이상의 전극을 연결하여 뇌 신호를 분석,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아르바우는 현재 하루 최대 10시간 이 장치를 활용하며, 아리조나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신경과학 전공을 위한 예비 과목을 수강 중이다. 그는 “내 삶에 다시

[빅테크칼럼] 삼성전자·존스홉킨스大 “공학의 노벨상 품었다”…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세계 100대 혁신 기술에 선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이 2025년 ‘R&D 100 어워드’에서 세계 100대 혁신 기술로 선정됐다. 1963년 제정된 이 상은 ‘공학의 노벨상’, ‘산학 혁신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며,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실용성과 혁신성을 겸비한 100대 기술을 엄선한다. 이번 수상은 삼성 연구진과 글로벌 산학 협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냉매 기반 냉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친환경 고효율 반도체 박막 펠티어 소자를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노공학 기반의 ‘CHESS’ 박막 소재를 활용, 냉매 대신 전기만으로 냉각을 구현하면서 기존 대비 약 75% 냉각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소형화와 경량화 효과로 소재 사용량을 1/1000 수준으로 줄여 생산 비용과 환경 영향을 대폭 감소시켰다. 펠티어 기술은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 소자의 한 쪽은 냉각되고 다른 쪽은 발열하는 원리를 활용한 친환경 냉각 방식이다. 전통적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대체 기술 수요에 부합하며, 빠르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 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