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3년 기준 한국의 무주택가구가 961만8474가구로 집계되며 ‘1000만 시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이는 전년보다 약 7만7374가구 늘어난 수치로 전체 일반가구(2207만가구)의 43.6%에 해당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무주택가구란 가구원 중 누구도 주택을 소유하지 않아 전세나 월세 거주만 택하는 가구를 뜻한다.
서울 무주택 가구 절반 돌파…2년 연속 ‘나홀로’ 증가
특히 서울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2023년 서울 무주택가구는 전체 414만1659가구 가운데 51.7%인 214만3249가구에 달했다.
서울은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무주택가구 비율이 50%를 넘겼으며, 2021년 51.2%, 2022년 51.4%, 2023년 51.7%로 2년 연속 비율이 상승했다. 나머지 16개 시·도는 대부분 50% 미만이며, 서울만 ‘나홀로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수도권 무주택가구 집중…경기·인천까지 절반 넘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무주택가구는 506만804가구로 전국의 52.6%에 달한다. 경기가 238만2,950가구로 수도권 내 최다를, 서울이 그 뒤를 잇는다. 세입자 집중 현상은 집값 격차, 인구·경제 중심 추세를 반영한다는 분석이다.

집값 고공행진, 내집마련 벽 더 높아져
전문가들은 서울과 지방 간 집값 격차가 무주택가구 증가의 핵심이라고 지적한다. 한국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2024년 4월 서울의 주택매매가격은 16.1% 상승한 반면 비수도권은 1.7% 하락했다. 2002년~2021년 20년간 서울 집값 상승률이 419.42%로 전국 최고치다.
주택 투자 열기도 여전하다. 국토교통부 자료 분석 결과, 2018년~2023년 6월까지 주택 구매 상위 1000명이 사들인 집은 4만4260채, 1인당 44채 꼴이다.
이런 집값 상승에 ‘중산층의 내집마련 능력’도 크게 낮아지고 있다. 주택금융공사에 의하면 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는 2012년 32.5에서 2022년 3.0으로 10년 만에 10분의 1로 급감했다. 즉, 중위소득으로 대출을 끼고 살 수 있는 주택이 2012년엔 3채 중 1채였으나, 2022년엔 100채 중 3채로 쪼그라든 것.
전문가 "서울 임대업자만 신나고, 세입자 고통 가중"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서울은 소득·자산 대비 집값 격차가 점점 커져서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고, 전월세 부담도 계속 커지는 악순환이 이어진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최근 서울 중심 집값 과열을 억제하고자 수도권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 이하로 제한하는 초고강도 대출 규제까지 내놨지만, 실수요자들의 주택 접근성만 더 떨어뜨렸다는 평가가 나온다. 높은 집값은 전월세 가격까지 끌어올리고, 임대인의 소득만 늘리는 구조를 더욱 고착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