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서울 아파트 ㎡당 분양가 2000만원 돌파…"국평 84㎡ 기준 16억8588만원"

서울 아파트 1951만원 -> 2007만원으로 2.87% 상승
전국 민간 아파트 1만520가구 공급, 6월 이후 3개월 연속 1만 가구 넘어서
 8월 민간공급, 수도권 12개 단지서 5926가구로 전체 공급의 절반 이상 차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민간 아파트 ㎡ 당 분양가가 처음으로 2000만원을 넘어서며 이른바 '국민평형' 84㎡ 기준으로는 17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에 도달했다. 민간 아파트 공급도 수도권 아파트 공급 증가에 힘입어 3개월 연속 1만가구를 넘어섰다.

 

분양평가 전문회사 리얼하우스가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8월 서울 아파트의 ㎡(전용면적 기준) 당 분양가가 2007만원으로 처음으로 20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7월에 비해서는 2.87%,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8.34%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단위면적(㎡ /전용면적 기준) 당 분양가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 8월에는 1258만원 수준이었으나 코로나 여파로 분양시장 침체를 겪었던 2022년 8월 1250만원으로 소폭 하락했다. 이후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2023년 8월에는 1년 새 14.33% 오른 1430만원을 기록했다. 이후에는 오름폭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면서 2024년 8월에는 1852만원(29.57% 상승)을 기록했다.

 

서울 분양 물량을 살펴보면 송파구 ‘잠실 르엘’이 ㎡ 당 2635만원에 분양가가 매겨지면서 서울 분양가격 상승을 주도했고, 영등포 ‘대방역 여의도 더로드캐슬’이 ㎡ 당 1888만원, 마포구 ‘홍대입구역 센트럴 아르떼 해모로’가 ㎡ 당 1875만원 등에 공급됐다.

 

단위면적 가격을 국민주택 규모인 84㎡로 환산해 계산할 경우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16억8588만원으로 17억원에 육박한다. 참고로 최근 12개월 이내에 서울에서 84㎡ 면적대로 공급된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16억9934만원으로 단위 면적으로 단순 계산한 것보다 약간 높다.

 

지역별 m²당 분양가를 보면 전국 평균 가격은 775만원으로 전달에 비해 1.75% 하락했다. 경기(965만원 ->986만원), 부산(1015만원 -> 1028만원), 강원(556만원 -> 560만원)은 분양가가 소폭 상승했고 인천(784만원 -> 767만원), 제주(1049만원 -> 701만원)는 분양 가격이 하락했다.

 

한편 8월 민간 아파트 공급은 20개 단지에서 1만520가구가 공급되면서 지난 6월 이후 3개월 연속 아파트 공급이 1만가구를 넘어섰다. 공급된 물량 중에서 서울 등 수도권에서 공급된 물량이 절반을 넘는다. 경기 지역에서는 양주시 ‘지웰 엘리움 양주 덕계역’(1355가구), 과천시’ 디엘이치 아델스타’(348가구), ‘망포역 푸르지오 르마크’(615가구), 인천에서는 ‘두산위브 더센트럴 도화’(412가구),’엘리프 검단포레듀’(669가구) 등 수도권에서만 12개 단지에서 5926가구가 공급됐다.

 

올해 월별 민간 아파트 공급물량 추이를 보면 1월 3497가구 2월 3704가구, 3월 5656가구 등으로 역대급 공급 가뭄을 기록했다. 4월 1만3262가구로 공급이 늘면서 시장 회복 기대감이 일었으나 5월 다시 공급이 줄었다. 그러나 6월 이후에는 수도권에서 아파트 공급이 꾸준히 이뤄지면서 민간 아파트 공급이 1만 가구를 3개월 연속 넘어서고 있다.

 

리얼하우스 김선아 분양분석팀장은 “대선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분양시장 상황이 나은 수도권 위주로 공급이 살아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카카오페이, 알리페이 교환사채 발행으로 2개월 만에 주가 '반토막'…오너 리스크·스테이블코인 규제난항 ‘삼중고’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카카오페이 주가가 2025년 9월 3일 장중 9.69% 급락하며 5만2200원에 마감, 2개월 전 최고점(11만4000원) 대비 54.82% 급락해 반토막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번 급락은 2대 주주인 중국 핀테크 기업 알리페이의 6266억원 규모 교환사채(EB) 발행 소식에 따른 오버행(대량 매도 물량 출회) 우려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알리페이는 2025년 10월 2일 교환사채 발행을 공시했으며, 대상 주식은 카카오페이 보통주 1144만5638주(지분 8.47%)다. 교환가액은 주당 5만4744원이며, 만기는 12월 29일로 3개월짜리 초단기 물이다. 이는 7월에 이어 벌써 두 번째 교환사채 발행으로, 시장에서는 알리페이가 지분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관측이 확산 중이다. 앞서 2022년과 2024년에도 각각 3.8%, 2.2% 지분을 블록딜로 처분해 투자금을 회수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알리페이의 잇따른 교환사채 발행을 사실상 장내 매도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보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규모 잠재 매물이 시장에 부담을 주며 주가 급락을 촉발했다고 분석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알리페이의 지분 정리가 지속되면서 투자

[이슈&논란] GS건설 현장 50대 근로자 추락 사망, 허윤홍 대표 “책임 통감·전 공정 즉시 중단 및 전사적 안전 점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9월 3일, 서울 성동구 청계리뷰자이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50대 중국인 근로자가 15층 외벽 거푸집 설치 작업 중 추락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사고 직후 GS건설은 해당 현장의 모든 공정을 즉시 중단하고, 전사적 차원의 특별 안전 점검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허윤홍 GS건설 대표는 사고에 대해 깊은 책임을 통감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허 대표는 공식 입장문에서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의 생명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는 건설사에서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었다”며 “변명의 여지가 없고 참담하고 부끄러운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고로 인해 유명을 달리한 근로자의 가족에게 깊은 애도와 사과를 전하며, 사태 수습을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GS건설은 이번 사고를 ‘용납할 수 없는 사태’로 받아들이며 국가 기관의 조사에 적극 협조할 방침임을 밝혔다. 고용노동부와 서울지방고용노동청은 현장과 관계자를 대상으로 사고 경위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 조사에 착수했다. 서울시와 경찰도 해당 사고에 대한 정밀 조사를 진행 중이다. 한편, 국내 건설업계는 여전히 잦은 낙상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