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 ‘로봇 군대’ 장악 위한 1조 달러 보상 패키지 요구…주주 설득 '난항'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1조 달러에 달하는 역대 최대 보상 패키지를 요구하며, 그 배경으로 테슬라의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로봇 군대’에 대한 강한 영향력 확보를 꼽았다.

 

로이터, 블룸버그, CNBC, Electrek, Teslarati, Investing.com,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10월 22일 열린 3분기 실적 발표 콜에서 머스크는 “이 엄청난 로봇 군대를 구축하면 미래에 쫓겨날 수 있다는 근본적인 불안감이 있다”며 “그래서 충분한 주주 투표권을 확보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할 권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통제’라는 표현은 ‘강한 영향력’으로 정정했다. 머스크는 이 로봇 군대가 수십억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 영향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로봇 군대를 만드는 일은 편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 거대한 보상안에 대해 기관 투자자와 주주들의 반대가 거세다. 주요 의결권 자문사인 ISS와 Glass Lewis 모두 천문학적인 규모와 기존 주주가치 희석 우려를 이유로 반대표를 권고하고 있다. Glass Lewis는 머스크가 단 한 개의 성과 목표만 달성해도 수십억 달러를 챙기고 지분을 크게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며 중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이 자문사는 보상 패키지 가치를 1416억 달러로 평가해 테슬라가 추산한 878억 달러를 상회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한편 ‘Take Back Tesla’ 캠페인이라는 노동조합 및 시민단체 연합은 머스크의 정치 활동이 테슬라 브랜드에 악영향을 끼쳤으며 경영에 집중하지 못하게 했다고 주장하면서, 주주들에게 이번 보상안에 반대할 것을 촉구했다. 이 캠페인은 미국교사연맹, 통신노동자협회, 시민공공단체 등이 후원하며 공적연금 투자자들에게도 반대 투표를 독려 중이다.​

 

테슬라는 3분기 매출 281억 달러(전년 대비 12% 증가), 차량 인도 49만7099대를 기록했으나, AI·로봇 연구 개발비 증가로 영업 이익은 40% 감소한 16억 달러에 머물렀다. 머스크는 실적 콜에서 보상안 반대하는 의결권 자문사들을 ‘기업 테러리스트’라고 비난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이번 보상안은 테슬라가 8조50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달성하고 100만대 이상의 로봇 생산, 2000만대 차량 인도 등 12개 운영 목표 달성 시 최대 4억2300만주가 머스크에게 주어지는 조건으로 설계됐다.​

 

이 보상 패키지는 테슬라의 2025년 11월 6일 연례 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의 찬반 투표에 부쳐진다. 머스크의 영향력 확대와 로봇 및 AI 사업 강화를 위한 이 역사적 보상안이 과연 주주들의 승인을 받을지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마존, 로봇·AI·AR 결합한 차세대 창고 자동화 가속…"배송 속도 25% 향상, 75% 작업 로봇 처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최신 인공지능(AI)과 로봇기술, 증강현실(AR) 안경 등을 결합한 차세대 창고 자동화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현장 테스트 중이다. 아마존은 이러한 혁신기술을 통해 물류 효율을 극대화하고 배송 처리 속도를 기존보다 약 25% 가량 끌어올렸다고 밝혔다. 뉴욕타임즈, CNBC, 로이터, BBC 등에 따르면, '블루 제이'(Blue Jay)라 명명된 다중 로봇 팔 시스템은 사우스캐롤라이나 물류센터에서 시험 가동 중에 있으며, 이 로봇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품목을 흡착 그리퍼를 이용해 동시에 집고 분류, 통합하는 멀티태스킹 능력을 갖췄다. 아마존에 따르면 블루 제이는 창고 내 품목 약 75%를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어 기존에 세 개의 별도 로봇 스테이션이 필요하던 작업을 하나의 작업 공간으로 통합해 공간 효율과 처리 속도를 모두 높였다.​ 한편, '엘루나'(Eluna)라 불리는 AI 기반 관리 도우미 시스템은 테네시주의 창고에 시범 운영 중이다. 이 AI 시스템은 관리자의 인력 배치를 최적화하고 작업 병목 현상을 사전에 예측해 효율적 운영을 지원한다. 다중 대시보드를 모니터링하던 관리자들의 작업 부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