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韓 솔라 프로2, 美 그록4에 글로벌 AI 패권 '도전장'…韓 스타트업 김성훈 대표, 머스크에게 '선전포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솔라 프로2’가 독립 성능 평가기관 ‘아티피셜 애널리시스(Artificial Analysis)’의 ‘지능 지표(Intelligence Index)’에서 국내 유일, 세계 10대 프런티어 모델로 전격 선정됐다.

 

특히 솔라 프로2는 310억 파라미터라는 비교적 소형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1000억~1조7000억 파라미터급의 글로벌 초대형 LLM들과 직접 성능 대결에서 밀리지 않는 성과를 거두었다.

 

빅테크 제친 성능, ‘지표’로 입증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2의 상세 점수는 글로벌 벤치마크에서 58점. 이는 프랑스 미스트랄의 '스몰'(55점), 오픈AI 'GPT-4.1'(53점), 메타 라마4 매버릭(51점), 오픈AI GPT-4o(41점) 등 빅테크의 플래그십 LLM을 제쳤다. 중국 딥시크(DeepSeek) V3(53점), 문샷AI 키미 K2(57.59점) 등도 모두 추월했다.

 

특히 기업용으로 널리 활용되는 GPT-4.1을 뛰어넘는 고난도 추론 능력을 보이며, 비용 대비 성능(운영 효율성)에서도 주요 경쟁 모델인 클로드 4 소넷, 마지스트랄 스몰 등에 앞선 것으로 평가받았다.

 

 


머스크의 견제…"여전히 그록4가 1등" vs "1등 오래 못 간다"


업계 파장을 보여주듯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X(트위터) 계정에 솔라 프로2 성과 및 순위를 공유하면서 “그록(Grok) 4가 여전히 1위다. 그리고 그록은 빠르게 개선 중”이라고 밝혔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이에 “xAI가 1등인 것을 축하한다. 하지만 오래가진 않을 것”이라며 “솔라 LLM이 매우 빠르게 따라잡을 것”이라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실제 xAI의 그록4는 1조7000억 파라미터의 슈퍼 거대 모델로, 이번 아티피셜 애널리시스 73점으로 종합적 사고능력에서 업계 1위를 기록했다. 그록4는 수학·코딩·추론 등 복잡한 전문가 레벨 문제에서도 “대부분의 대학원생보다 더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은 반면, 비용 대비 효율성에서 솔라 프로2에 비해 매력도가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국내 AI 스타트업 도약…업스테이지의 1000억 파라미터 모델 도전


업스테이지의 이번 성과는 오픈AI·구글·메타·미스트랄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빅테크 중심으로 재편되던 글로벌 AI 패권 구도에 균열을 낸 사건이라는 평가다. 특히 아티피셜 애널리시스 ‘프런티어 10대 개발사’에 한국 기업이 이름을 올린 것은 최초로, 토종 AI기술의 상징적 이정표다.

 

시장 리서치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AI 시장 규모는 약 4500억달러를 상회하고, 2032년에는 1조7700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업스테이지, 트웰브랩스 등 국내 주요 스타트업이 미국 등 선진 시장의 투자 벽을 뚫고 CB인사이트 ‘AI 100 2025’에도 선정되는 등 세계 무대에서 ‘명백한 기술주권’ 실현이라는 전략적 의미도 확보하고 있다.

 

업스테이지는 연내 1000억 파라미터 규모의 차세대 솔라 시리즈를 출시할 계획이다. 김성훈 대표는 “대한민국이 AI 3강을 넘어 글로벌 기술 주도권 국가로 자리매김하도록 더욱 정진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