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MS, 재생에너지 14조원 투자…오픈AI·테슬라 이어 'AI용 전력확보戰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개발에 증가하는 전력 수요 대응
오픈AI·테슬라 등 빅테크기업들 '에너지 투자' 나서

 

[뉴스스페이스 =이은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재생에너지에 약 14조원을 투자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브룩필드에셋매니지먼트의 재생에너지 개발 프로젝트에 100억 달러(약 13조8000억원)을 지원한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번 투자 계약에 따라 브룩필드는 오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미국과 유럽에서 생산되는 10.5기가와트(GW) 규모 재생에너지를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에 공급하게 된다.

 

브룩필드는 이번 거래 계약 규모가 MS의 거래 중 가장 크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양사가 체결한 10.5GW는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 시장인 북버지니아주의 데이터센터가 소비하는 전력(3.5GW)의 3배 규모다. MS는 지난해 5월 핵융합 스타트업 헬리온 에너지와 전기 공급계약도 체결한 바 있다.

 

최근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국 내 데이터 센터, AI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다. 투자은행 웰스파고 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총 전력 소비량은 2030년까지 20%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빅테크 AI 기업들은 향후 전력 부족이 예상되면서 에너지 공급에 공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 AI CEO는 최근 태양광 스타트업 엑소와트에 2000만달러(280억원)를 투자했다. 테슬라는 인도에 전력저장 장치 '파워월'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기술기업들이 전반적인 에너지 수요 증가 외에도 자체 기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청정에너지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오는 2026년까지 전세계 데이터센터가 1000테라와트시(TWh) 이상의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2022년 전력 소비량의 두 배 이상으로, 일본의 총 전력 사용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데이터센터가 집중된 미국도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미국은 전세계 데이터센터의 3분의 1이 위치하고 있다. 지난해 그리드스트래티지스는 향후 5년간 미국 전력 수요 증가율 예상치를 전년 2.6%에서 4.7%로 두 배 가량 늘렸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마이너스로 만들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샘 올트먼, '머지랩스'로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AI 활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와 정면 경쟁을 벌일 새로운 벤처기업 '머지 랩스(Merge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총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 테크크런치, 쿼츠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지 랩스는 현재 약 8억5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다수 투자금은 오픈AI의 벤처팀이 부담할 예정이다. 올트먼은 일상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후원자로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머지 랩스는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축, 인간의 뇌와 기계를 더욱 원활하고 고도화된 방식으로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뉴럴링크가 2016년 창립된 후 첨단 뇌 이식 칩을 개발해 주로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머지 랩스는 덜 침습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AI를 적극 결합해 뇌 신호 해독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뉴럴링크는 최근 60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와 함께 이미 인간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중증 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