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AI 동맹’ MS-오픈AI, 이제 경쟁관계…동맹에서 적으로 이별수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수년간 파트너십을 통해 인공지능(AI) 열풍을 주도해온 마이크로소프트(MS)와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동맹관계를 청산하고 경쟁 관계를 선언했다.

 

MS는 1일(현지시간) 업데이트한 자사 최신 연례 보고서를 통해 경쟁자 명단에 오픈AI를 추가했다. MS의 기존 경쟁자 명단에는 애플, 구글, 아마존, 메타 플랫폼 등 빅테크(대형 IT분야 기술기업)가 포함돼 있다. 오픈AI는 MS의 AI 서비스, 검색·뉴스 광고 분야 경쟁자로 지목됐다. 오픈AI가 최근 자체 검색 엔진 ‘서치GPT’를 발표한 이후 이뤄진 조치다.


인공지능(AI) 분야를 두고 협력해온 두 회사가 점점 사업 분야가 겹치면서 빅테크간의 관계도 복잡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MS는 오픈AI와 오랫동안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130억 달러를 투자한 최대 투자자며, 오픈AI 지분 49%를 보유하고 있다. MS는 오픈AI의 AI 모델을 다른 고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중이다.

 

또 MS의 제품에도 AI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이사회로부터 축출당했을 때는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올트먼 복귀에 도움을 줄 정도로 둘 사이는 가까운 관계였다.

나델라 CEO는 최근 뉴욕타임스(NYT) 인터뷰에서 올트먼 CEO에 우호적인 입장을 취하는 이유 중 하나로 "그가 매일 내게 전화를 걸어 무언가 필요하다고 말한다는 점"이라고 했다.

 

하지만 영원한 적도, 동지는 없는 법, AI 개발에서 서로의 사업 영역이 겹치면서 파트너가 경쟁자로 바뀌어가고 있다. MS는 코파일럿 챗봇과 빙 검색엔진을 윈도 운영체제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오픈AI와 AI 모델, 검색엔진 등에서 사업영역이 겹치는 셈이다.

 

서치GPT는 현재 프로토타입(시험) 버전을 일부 이용자 대상으로 테스트 중인데 글로벌 검색 시장의 90%를 장악하고 있는 구글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MS 역시 시장점유율이 5%안팎에 불과하긴 하나, '빙' 검색 엔진을 운영하고 있는 만큼 오픈AI의 서치GPT를 위협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픈AI 측은 “두 회사의 관계는 변한 것이 없으며, 파트너십은 서로 경쟁할 것이라는 상호간 이해하에 맺어진 것”이라며 "MS는 여전히 오픈AI의 좋은 파트너이다"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테슬라, 중국 전기차 시장 겨냥 ‘모델 Y L’ 출시 예정…"확장된 공간과 3열 시트로 가족·럭셔리 수요 공략”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에서 베스트셀러 ‘모델 Y’의 확장형 신모델 ‘모델 Y L’을 곧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25년 8월 18일 중국 소셜미디어 웨이보 테슬라 계정과 CNBC, Bloomberg, China EV Research Institute 등의 보도와 자료에 따르면, ‘모델 Y L’은 기존 모델 Y보다 축간거리(앞바퀴 중심에서 뒷바퀴 중심까지의 거리)를 연장해 실내 공간을 대폭 넓히고 3열 좌석을 탑재해 최대 6명이 탑승할 수 있다. 현재 기본 ‘모델 Y’는 5인승이며, 3열 옵션을 추가해 최대 7인승으로 확장 가능하나, 3열은 주로 어린이용으로 설계돼 있다. 반면 ‘모델 Y L’은 성인 6명이 편안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설계돼 중국 소비자들의 ‘대가족 여행’ 및 ‘럭셔리 이동수단’에 대한 수요를 겨냥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에서는 가족 단위 이동과 대형차 운전을 선호하는 문화, 운전사 고용 문화가 맞물려 앞뒤 길이를 늘린 ‘L’ 모델들이 최근 자동차업체 간 경쟁의 핵심 트렌드”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중국 시장에서 올해 차량 판매가 8.4% 감소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는 폭발적인

[빅테크칼럼] 올트먼, 美中 AI 패권 경쟁 '경고'…“중국 기술 과소평가 말아야, 수출통제는 근본 해결책 아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8월 18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 간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반도체 수출 통제가 중국의 AI 발전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CNBC, AFP, 블룸버그의 보도와 오픈AI 공식 발표에 따르면, 그는 기자 간담회에서 “나는 중국이 걱정된다”며 중국의 AI 추론 능력 및 연구·제품 개발 속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트먼 CEO는 “미국과 중국 간의 AI 경쟁은 단순히 누가 우위를 점했느냐를 가르는 문제가 아닌, 훨씬 복잡하고 다층적인 쟁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이 추론 역량 면에서 미국을 빠르게 따라잡거나 앞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면서, AI 연구·제품 개발 등 다양한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함을 강조했다. 미국의 핵심 무기인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견해를 보였다. 올트먼은 “GPU 등의 고성능 칩 수출 감소가 애초에 AI 기술 발전을 막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사람들이 직접 반도체 공장을 세우거나 우회 통로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 하나의 조치를 통해

테슬라, 영국 리스료 ‘반값 쇼크’…판매 급감에 재고 부담까지 "가격 인하 초강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영국 시장에서 차량 리스료를 1년 전 대비 절반 이하로 낮추는 '가격 전쟁'에 돌입했다. 배경에는 2025년 7월 기준 극심한 판매 부진과 극단적으로 늘어난 재고 부담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다수의 해외 및 국내 보도에서 확인된다. 리스료, 1년 만에 최대 60% 급감…영국 운전자 체감 ‘역대 최저’ 더타임스와 로이터에 따르면 2025년 8월 현재 영국 운전자들은 테슬라 모델3를 월 252파운드(약42만원)에, 모델Y는 377~400파운드 수준에 리스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무려 반값 이하로 떨어진 수치로, 불과 1년 전에는 각각 600~700파운드, 700파운드에 육박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은 “리스업체에 제공되는 할인율이 최대 40%까지 치솟았으며, 이 절감폭이 소비자에게 직접 적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는 할인정책 외에도 영국 내 부족한 재고 보관 공간 역시 초강수 가격 인하를 단행한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업체 관계자는 “남는 차량이 늘어나면서 보관에 드는 물리적 공간도 한계에 봉착했다”라며 현지 상황을 전했다. 7월 판매량, 60% ‘폭락’…영국 시장서 존재감 ‘미미’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