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윈도우와 리눅스, 두 세계가 한 테이블에"…빌 게이츠와 리누스 토발즈의 첫 만남, 50년 적대의 벽을 넘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6월, 전 세계 IT 업계의 시선을 사로잡은 한 장의 사진이 공개됐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와 리눅스(Linux) 창시자 리누스 토발즈가 마침내 한 자리에서 만난 것이다. 이 역사적 만남은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CTO 마크 루시노비치(Mark Russinovich)의 초대로 이뤄졌으며, 윈도우 NT의 아키텍트 데이비드 커틀러(David Cutler)도 함께했다.

 

Times of India, MoneyControl, DigiTrendz, Igor’s Lab 등 글로벌 IT 전문매체와 루시노비치 링크드인(LinkedIn) 게시글에 따르면, 루시노비치는 “빌 게이츠, 리누스 토발즈, 데이비드 커틀러와 저녁을 함께했다. 리누스는 빌을, 데이브는 리누스를 처음 만났다. 핵심 커널 결정은 없었지만, 다음 만찬을 기대한다”는 유쾌한 소감을 남겼다.

 

“적대에서 공존으로”…소프트웨어 철학의 충돌과 변화

 

이 만남의 상징성은 단순한 ‘첫 대면’에 그치지 않는다. 두 인물은 지난 30년간 상반된 소프트웨어 철학의 상징이었다. 빌 게이츠는 MS-DOS와 윈도우, 오피스 등 폐쇄형(프로프라이어터리) 소프트웨어로 시장을 장악하며 ‘소프트웨어를 상품으로 만든’ 대표적 기업가다. 그는 라이선스와 통합, 종속을 통해 시장을 지배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반면, 리누스 토발즈는 1991년 리눅스 커널을 공개하며 “소프트웨어는 모두의 도구”라는 오픈소스 운동의 기수로 떠올랐다. 그는 “최대의 적응성, 라이선스 없는 자유, 투명한 협업”을 강조하며 전 세계 개발자 커뮤니티를 이끌었다.

 

이 두 철학은 2000년대 초까지 극한의 대립을 이어왔다.

 

MS의 전 CEO 스티브 발머는 “리눅스는 지적재산권적 의미에서 모든 것을 잠식하는 암(cancer)”이라며 공개적으로 적대감을 드러냈다. 토발즈 역시 “윈도우는 열면 쓸모없어지는 에어컨 같다”는 촌철살인으로 MS를 비꼬았다.

 

 

“적은 사라지고, 협업이 남았다”…MS의 오픈소스 대전환

 

하지만 시대는 변했다. MS는 2010년대 들어 애저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리눅스를 적극 도입하고, 2018년에는 오픈소스 개발의 허브인 깃허브(GitHub)를 인수하며 오픈소스 진영과의 거리를 좁혔다. .NET Core, Visual Studio Code 등 자체 기술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현재 애저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OS는 리눅스다.

 

이러한 변화는 사티아 나델라 CEO 체제에서 더욱 가속화됐다. 그는 “MS는 이제 오픈소스의 친구”임을 천명했고, 실제로 MS는 리눅스 커널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다.

 

“만찬의 대화, 기술을 넘어 인류로”


이번 만찬에서 두 거장은 소프트웨어 논쟁이 아닌 보다 폭넓은 주제로 대화를 나눴다.

 

토발즈는 “대화는 거의 운영체제나 소프트웨어 공학과 무관했다. 빌은 아프리카에서의 자선활동과 소듐 원자로 및 핵융합 등 차세대 에너지에 대해 열정적으로 이야기했다”고 밝혔다. 실제로 게이츠는 2008년 테라파워(TerraPower)를 공동 설립해 차세대 원자로 개발에 매진 중이다.

 

AI에 대한 시각도 엇갈렸다. 게이츠는 “10년 내 대부분의 일자리를 AI가 대체할 것”이라 전망한 반면, 토발즈는 “AI는 90%가 마케팅, 10%가 현실”이라며 과도한 기대에 선을 그었다.

 

“적대의 시대를 넘어, 공존과 협업의 미래로”


이 만남은 단순한 상징을 넘어, 기술 업계의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준다. 폐쇄와 독점, 오픈과 협업의 대립이 ‘공존과 융합’으로 진화한 것이다. 실제로 MS와 리눅스 진영 모두 클라우드, AI, IoT 등 미래 산업에서 더 많은 협업을 모색하고 있다.

 

토발즈는 “이제 MS와의 이념적 전쟁은 끝났다”고 말한다. 루시노비치는 “다음 만찬에서는 진짜 커널 이야기를 할 수도 있다”며 여운을 남겼다.

 

빌 게이츠와 리누스 토발즈의 만남은 ‘적대의 시대’가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두 거인의 악수는 소프트웨어 산업이 ‘폐쇄와 독점’에서 ‘개방과 협업’으로 넘어가는 거대한 흐름의 상징이다.

 

이들의 만남이 앞으로 어떤 협업과 혁신을 이끌지, 전 세계 IT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텔레그램, ‘추적 불가’ 신화 깨졌다…한국경찰에 95% 정보제공, 디지털범죄 검거 급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추적당하지 않는 메신저’로 악명 높았던 텔레그램이 2024년 8월 창업자 파벨 두로프 체포 이후 정책을 전면 수정, 한국 경찰의 수사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며 디지털 범죄 검거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입자 정보·IP 기록 등 핵심 자료가 제공되며, 딥페이크·마약·성착취 등 각종 범죄 검거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텔레그램, ‘범죄 안전지대’에서 ‘수사 협조’로 급선회 2024년 8월, 텔레그램 창업자 겸 CEO 파벨 두로프가 프랑스에서 아동 음란물 유포, 마약 밀매, 자금 세탁 방치 등 혐의로 체포된 것이 결정적 전환점이 됐다. 이후 텔레그램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변경하고, 한국 경찰 등 수사기관의 자료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기 시작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4년 10월 이후 텔레그램은 한국 경찰의 자료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6월 기준, 경찰이 제공받은 자료는 1000여 건에 달한다. 요청이 들어오면 텔레그램은 자사 정책 및 국제법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가입자 정보와 IP 기록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5%도 요청서를 보내고 기다리는 상태로, 사실상 거의 모든 요청이 받

[공간사회학] 148년 역사 윔블던, AI 심판 도입…'전통 상징' 테니스 ‘혁신의 서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6월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개막한 ‘윔블던 챔피언십’이 148년 만에 사상 최초로 ‘AI 심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1877년 창설 이래 ‘전통의 상징’이었던 윔블던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며 스포츠 혁신의 한복판에 섰다. AI 심판, 148년 만에 선심을 대체하다 BBC, 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윔블던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 선심’이 완전히 사라지고, AI 기반 라인 판독 시스템이 모든 코트에서 인·아웃 판정을 맡는다는 점이다. AI 심판은 코트 주변에 설치된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공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추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인’과 ‘아웃’을 즉각적으로 판정한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원회는 “기술의 발전이 경기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 심판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미 2023년 US오픈, 2024년 호주오픈 등 일부 메이저 대회에서 부분적으로 도입된 바 있으나, 윔블던처럼 모든 코트에서 선심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심판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 오심 논란을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