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7.1℃
  • 맑음강릉 16.5℃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8.2℃
  • 맑음대구 16.8℃
  • 맑음울산 13.0℃
  • 구름조금광주 17.9℃
  • 구름조금부산 15.0℃
  • 맑음고창 14.2℃
  • 구름조금제주 14.4℃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6.7℃
  • 맑음금산 16.7℃
  • 맑음강진군 17.2℃
  • 맑음경주시 15.6℃
  • 구름조금거제 14.2℃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美서 차량 185만대 리콜…"후드 열려 운전자 시야 가릴 우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후드 문제로 인해 미국에서 차량 185만대를 리콜한다.


30일(현지시간)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리콜 대상 테슬라 차량은 자동차 보닛 잠금 장치가 풀렸음을 감지하지 못하는 소프트웨어 오류로 인해 후드가 열려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우려가 있으며, 이는 사고 위험을 높인다.


테슬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6월 18일부터 무선으로 실시하기 시작했다. 리콜 대상은 2021~2024년형 모델3, 모델S, 모델X, 2020~2024년형 모델Y 차량이다.  

 

이번 리콜은 테슬라가 2023년 12월 자율 주행 보조 장치 '오토파일럿'에 안전 장치를 장착하기 위해 미국에서 203만대를 대상으로 리콜한 이후 가장 큰 규모다.

 

테슬라는 보고서에서 지난 3월 말 중국에서 ‘주행 중 의도치 않게 보닛이 열리는 상황’에 대한 소비자 불만을 접수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이후 4월 중순에는 보닛이 열린 사실을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없는 문제를 발견했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테슬라에 따르면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이 문제가 발생하는 비율은 유럽이나 북미 시장보다 중국이 높다고 전했다. 7월 20일 현재 테슬라는 미국에서 이 문제와 관련된 3건의 클레임 또는 현장 보고를 확인했지만, 관련 사고나 부상자, 사망자 규모는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는 리콜 대상 차량 중 1%에 이 결함이 있는 것으로 추정 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성균관대 전일·이진욱 교수, 노벨화학상 수상자와 '차세대 태양전지' 연구 방법론 정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전일 교수와 이진욱 교수는 2023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모운지 바웬디(Moungi Bawendi) 교수와 함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erovskite Solar Cells, PSCs)의 연구를 방법론 관점에서 최초로 정립하고, 해당 성과를 세계적인 학술지 네이처 리뷰 메소드 프라이머에 지난 1월 16일에 발표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으며, 높은 효율과 저비용 제조 가능성으로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들이 남아 있으며, 이번 연구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논문에서는 고성능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다양한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핵심 구성 요소인 광활성층, 전하 수송층, 전극의 역할과 특성을 분석했다. 또한, 현재 기술의 한계를 진단하고, 향후 연구 및 발전 가능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 전일 교수와 이진욱 교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쳐왔다. 두 연구팀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해외 유수한 대

트럼프의 '자동차 관세', 테슬라에겐 호재라고?…테슬라 웃고, 폭스바겐 울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자동차 관세로 인해 정부효율부 장관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의 전기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수혜를 입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26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트럼프 대통령의 25% 자동차 관세 정책의 최대 수혜자로 부상했다”면서 "테슬라가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에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조치가 테슬라에 경쟁 우위를 제공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외국에서 만든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엔진 등 주요 자동차 부품들도 최대 한달의 유예를 거쳐 25% 관세가 부과된다. 관세는 4월 2일부터 발효돼 같은 달 3일 0시 1분부터 징수될 예정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발표에서 "머스크가 이번 관세 결정을 요청한 적은 없다"며 "그는 나에게 사업과 관련한 어떤 청탁도 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현재 테슬라의 모델 Y와 모델 3는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였지만, 최근 GM 쉐보레 이쿼녹스 EV와 포드 머스탱 마하-E 등 경쟁사 차량에 점유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