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세계 최초 '3D프린팅 로켓' 테란1 발사 실패···"스페이스X 대항마 입증"

미국 로켓업체 렐러티비티 스페이스가 제작한 3D 로켓 '테란 1'이 22일(현지시간) 오후 11시 25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에서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3D 프린팅을 활용해 제작한 세계 최초의 로켓 발사 시도가 아쉽게도 실패로 돌아갔다. 랠러티비티 스페이스가 이번 발사에 성공했다면 세계 최초의 3D 프린팅 로켓 기업이란 타이틀을 얻을 수 있었다. 

 

23일 미국 우주스타트업 랠러티비티 스페이스와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 현지시간 22일 오후 11시 30분경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세계 최초 3D 프린팅 로켓 ‘테란 1’이 발사됐다.

 

이 로켓은 밝은 청록색의 불꽃을 내뿜으며 약 3분 간 비행했다. 하지만 2단형 로켓인 테란1은 1단 엔진 분리 후 문제가 포착됐고, 2단 엔진이 짧게 점화된 후 꺼져버려 대서양으로 추락했다. 

 

이번 발사의 목표는 이 로켓을 지상에서 200㎞ 궤도에 진입시키는 것이었는데,  결국 테란1은 목표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클레이 워커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발사책임자는 "상단 엔진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테란 1 로켓은 엔진을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이 거대한 3D 프린터로 제작됐다. 이 로켓은 높이 33.5m, 지름 2.2m 크기로 엔진을 포함한 질량의 85%가 금속 합금으로 3D 프린팅됐다.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측 관계자는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로켓을 궤도에 올리는 것은 처음 시도된 일"이라며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3D 프린터로 제작될 로켓을 날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할 정도의 충분한 데이터를 모았다"고 말했다.

 

한편 랠러티비티 스페이스는 블루 오리진과 스페이스X에서 일한 팀 엘리스와 조던 눈 공동설립자가 2015년 함께 세운 회사로 우주발사체 업계 혁신 기업으로 꼽힌다. 엔진부터 각종 부품까지 로켓 질량의 85% 가량을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부품 수를 기존 로켓의 100분의 1로 줄이고, 로켓 제작 기간도 60일 이내로 단축했다. 

 

현재13억달러(1조7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받았으며, 2021년에는 기업가치가 42억달러(5조4000억원)로 평가됐다.

 

팀 엘리스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앞으로 만들 '테란 R' 모델의 발사 계약으로 17억달러(2조2000억원) 규모를 수주했다"며 "이미 향후 테란 1을 한차례 발사하는 대가로 1200만 달러(1500억원)를 받는 계약을 맺었다"고 말했다.

 

랠러티비티 스페이스는 스페이스X 다음으로 시장 평가액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으며, 스페이스X의 대항마로 부상 중이다.

 

또 미 국방부와 미국항공우주국(NASA), 위성통신업체 이리듐 커뮤니케이션, 록히드마틴 등과 이미 발사 서비스 계약을 맺었다. NH투자증권·한화에어로스페이스·칸서스자산운용 컨소시엄의 약 5000만 달러(약659억원) 투자를 받는 등 시장에서 높은 성공가능성을 지닌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한국-호주, 우주위험 감시망 협력 강화…호주에 첨단 광학망원경 2기 설치 본격 추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과 호주가 우주위험 대응을 위한 감시망 구축에 전략적 협력을 본격화했다. 우주항공청은 국제우주대회(IAC 2025)를 계기로 호주우주청(ASA)과 협력의향서(SOI)를 체결하고, 중·고궤도 광학감시시스템 구축을 위한 ‘BRAHE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BRAHE 프로젝트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주관하며 2024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40억원을 투입해 80㎝급 광학망원경 2기를 호주 내 최적 관측소에 설치하는 계획이다. 호주 사이딩스프링 천문대(호주국립대 관리)와 자드코 천문대(서호주대 관리)에 설치되는 이 광학망원경은 위성, 우주파편 등의 추락 및 충돌 위험을 조기에 발견하여 국민 안전과 국가 주요 우주자산 보호에 기여한다. 이번 SOI 체결은 한반도 경도대 중·고궤도 영역에서 감시 역량을 높이고 국제 우주상황인식(SSA) 협력에 적극 참여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양국 우주항공청장이 직접 서명했다. 한국 측 권현준 우주항공정책국장과 박장현 천문연 원장, 호주 측 애나 마리 무어 국립대 원장, 에두아르도 트리포니 국장, 다나일 오브레슈코우 서호주대 디렉터 등 학계 및 관계자가 참석한 협력회의를 통해 설치 및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