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맑음동두천 6.3℃
  • 맑음강릉 9.5℃
  • 구름많음서울 6.9℃
  • 맑음대전 9.5℃
  • 연무대구 7.9℃
  • 연무울산 8.4℃
  • 구름조금광주 10.0℃
  • 맑음부산 10.2℃
  • 구름많음고창 9.2℃
  • 흐림제주 11.0℃
  • 구름많음강화 5.4℃
  • 맑음보은 7.3℃
  • 구름조금금산 8.0℃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8.6℃
  • 맑음거제 9.7℃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의 스페이스X, 美국방부 8.6조원 수주 '잭팟'…"이해충돌 우려" vs "압도적인 기술력"

머스크 우주기업, 美국방부 8조원 규모 위성발사 계약 땄다
2029년까지 50차례 로켓발사 임무
미 국방부, 스페이스X-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블루 오리진과 계약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미 국방부 위성발사 계약을 수주했다.

 

4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8조원대 규모의 미 국방부 위성 발사 계약을 수주했다고 전했다. 

 

앞서 미 국방부 산하 우주 시스템 사령부는 이날 총 135억달러(약 19조7438억원) 규모의 우주군 로켓 발사 계약을 스페이스X와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설립한 블루 오리진 등 3개 업체와 체결했다고 밝혔다.

 

업체별로 계약규모를 살펴보면, 스페이스X가 59억 달러(약 8조6288억원),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합작사인 ULA가 53억 달러(약 7조7513억원), 블루 오리진이 23억 달러(약 3조3638억원)를 각각 수주했다.

 

 

미 우주군은 오는 2029년까지 군사용 위성을 쏘아 올리기 위한 로켓 발사 임무를 세 업체에 나눠 맡길 계획으로 알려졌다. 임무는 약 50차례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다.

 

스페이스 X가 가장 많은 28건을 맡고 ULA가 19건, 블루 오리진이 나머지를 맡는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는 “우주군 프로젝트는 지구 주위를 도는 다양한 궤도의 위성 발사를 포함해 가장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임무로 분류된다”고 전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머스크의 기업이 정부 계약을 따냈다는 점에서 이해충돌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 싱크탱크 퀸시연구소 윌리엄 하텅 선임 연구원은 뉴스위크에 “국방부 예산을 검토하고 주요 변경 사항을 제안하는 머스크가 그 주요 계약업체가 되었다는 건 이해충돌(conflict of interest)의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국방부 계약은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미국 정부와의 관계가 더 깊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머스크는 이날 수주 소식을 전하는 스페이스X의 엑스(옛 트위터) 게시물에 댓글로 “전체 임무의 60%를 따낸 것은 후하게 들릴 수 있지만, 현실은 모든 스페이스X의 경쟁사들을 합쳐도 나머지 40%를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그들이 성공하길 바라지만, 그들은 아직은 거기에 있지 않다”고 글을 올렸다.

 

이같은 머스크의 발언은 스페이스X가 다른 경쟁업체보다 엄청나게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자신감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