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5.8℃
  • 구름조금강릉 8.4℃
  • 천둥번개서울 8.6℃
  • 박무대전 8.1℃
  • 박무대구 4.5℃
  • 박무울산 6.8℃
  • 광주 10.1℃
  • 연무부산 11.2℃
  • 흐림고창 ℃
  • 연무제주 15.4℃
  • 흐림강화 8.1℃
  • 흐림보은 3.6℃
  • 구름많음금산 3.3℃
  • 흐림강진군 7.1℃
  • 맑음경주시 2.4℃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美 로켓 발사 145건 '역대 최대'…"로켓발사장, 수요폭발로 교통체증" 대안은?

”수요 폭발”…美 로켓 발사대eh 교통 체증에 시달린다
발사장 3곳에 90% 몰려…우주 산업 '차질' 대안마련 '고심'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4년 미국이 발사한 로켓횟수는 145개로 미국 우주 비행 역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다. 2017년의 약 5배에 해당한다. 이 중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134회를 기록했다. 

 

이처럼 로켓 발사 수요는 급속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를 감당할 로켓 발사장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 교통체증 상황이 왔다는 지적이다.

 

천문학자이자 우주 활동 추적가인 조너선 맥다월이 수집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서 지구 궤도에 도달한 로켓 발사 횟수는 145번이다. 이는 역대 최대치이자 2017년보다 5배 많다. 이중 92%(134번)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발사한 것이다.

 

특히 지난해 로켓 발사(지구 궤도 미도달 10건 포함 총 155회)의 90%은 플로리다주 소재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67회)와 케네디 우주센터(26회), 캘리포니아주 소재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47회) 등 3곳에 몰려 있었다.

 

문제는 우주 기업과 미국 정부가 향후 몇 년 안에 자체 인공위성 등을 추가적으로 발사할 계획을 갖고 있어, 이 3곳의 발사장이 더 혼잡해질 수 있다는 점이다. 게다가 주요 발사장 중 하나라도 악천후나 사고로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가동이 중단될 경우 우주 발사에 큰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이런 문제점을 인식한 미국 정부도 미국 내륙 깊은 곳은 물론 바다에 발사장을 설치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 시각) 보도했다.

 

실제 1년에 3회 미만으로 사용돼 온 알래스카주 코디액섬 소재 '태평양 우주항구 단지'(퍼시픽 스페이스포트 콤플렉스, Pacific Spaceport Complex)는 현재 연간 최대 25회 발사할 수 있도록 연방 정부의 허가를 구하고 있다. 이미 향후 5년간의 발사 일정이 채워진 상태다.

 

로켓 발사는 아무 곳에서나 할 수 없다. 또 발사장 개발엔 여러 제약 조건이 있어서 건립이 쉽지만은 않다. 우선 로켓 발사는 일반적으로 해안 지역에서 이뤄진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로켓이 바다 위를 날면서 인구 밀집 지역을 피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현지 주민들은 종종 소음을 우려해 발사장 개발 자체를 반대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불과 몇 년 전 조지아주 남동부 해안에 새로운 발사장을 개발하자는 제안이 있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물론 내륙에도 발사장이 있다. 약 20년 전 설치된 오클라호마 우주항은 미 연방항공청(FAA) 허가를 받은 최초의 내륙 기지다. 다만 여기서는 로켓이 분리돼 우주로 날아가기 전에 로켓을 높은 고도로 운반하는 작업만 이뤄진다. 아직 해당 기지에서 발사는 실시하지 않는다.

 

일각에선 로켓 발사 수요를 흡수하기 위한 기업 설립도 한창이다. 톰 마로타가 2022년에 설립한 스페이스포트 컴퍼니(Spaceport Company)는 바다 위 보트에서 로켓을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80피트 길이의 퇴역 해군 군함을 이용해 미시시피주 부두에서 로켓을 적재하고 육지에서 사전 연습을 한 뒤 바다가 잔잔할 때 멕시코만으로 항해해 발사하는 식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우주공항 관계자들은 육지 위로 로켓을 안전하게 발사하는 방법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를 의뢰하기도 했다. 

 

미국 정부도 로켓 발사 수요 증가에 대비 중이다. 연방항공청(FAA) 주도로 여타 정부 기관과 협조해 국가 우주항 전략을 개발 중이다. 최종안은 올해 중 나올 것으로 보인다.

 

우주군은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와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근처의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