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8월 8월 로보택시 공개"···완전자율주행기술 완성 '관심'

완전자율주행기술 적용…운전자 없는 택시 서비스
머스크 평전서 "로보택시 테슬라 10조달러로 만들 것"

일론 머스크 평전에서 공개된 테슬라 로보택시 컨셉. 일론 프란츠 폰 홀츠하우젠 테슬라 수석 디자이너가 스케치한 로보택시 예상도 [머스크 평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오는 8월 8일 차세대 자율주행차 '로보택시'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X에서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날 정규거래에서 테슬라가 로보택시 개발을 위해 저가보급형 전기차인 모델2 개발을 접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주가가 급락한 뒤 머스크의 로보택시 공개 트윗이 나왔다.

 

머스크는 "정규거래에서는 모델2 개발을 포기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진화에 나섰고, 장 마감 뒤에는 로보택시 공개를 선언했다.

 

이날 모델2 포기설에 정규거래를 6.21달러(3.63%) 급락한 164.90달러로 마감한 테슬라는 '로봇택시' 이슈로 시간외 거래에서 급등했다. 동부시각 오후 5시 19분 현재 정규거래 마감가보다 6.16달러(3.74%) 급등한 171.06달러로 뛰었다.

 

로보택시는 테슬라에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시장의 판단때문이다. 테슬라는 최근 성장이 정체되면서 "더 이상 성장주가 아니다"라는 분석이 잇따랐고, 그 여파로 주가가 올들어 34% 가까이 폭락했다.

 

테슬라는 사이버트럭 출시 후 저렴한 가격의 반값 전기차 모델 ‘모델2’와 자동차 페달과 핸들 없이 자율주행을 할 수 있는 ‘로보택시’를 개발 중이다. 머스크는 수년간 로보택시 프로젝트에 대해 언급해 왔다. 로보택시는 완전자율주행기술을 적용해 자율적으로 승객을 태우고 요금을 받는 택시다. 

 

머스크 로보택시는 완전자율기술이 적용돼야 한다고 주장한 만큼 실제 기술이 어느정도 완성단계에 접어든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다.

 

작년 9월 일론 머스크 평전에 테슬라가 개발 중인 로보택시 컨셉 사진이 공개된 적이 있다. 날카로운 모서리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보이는 마감 처리가 된 2도어 2인승 소형 전기자동차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사이버트럭’과 닮았다.

 

머스크 평전에 언급된 내용에 따르면, 테슬라 로보택시 개발에 대한 논의는 2011년 처음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는 2019년에 1년 뒤인 2020년에는 100만대 넘는 로보택시가 도로를 달릴 것이라고 자신한 바 있다.

 

2022년 8월 머스크는 "로보택시는 명확히 완전자율주행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우리는 위험을 감수할 것이다"면서 "문제가 발생하면 그건 내 잘못이다. 우리는 양서류 개구리 같은 반 쪽짜리 자동차를 만들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밝힌 바 있다.

 

또 머스크는 평전에서 아이작슨에게 "로보택시는 테슬라를 10조 달러 규모의 회사로 만들 제품이다"면서 "사람들은 100년 뒤에도 이 순간을 이야기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보택시는 아직 본격화하지 않았지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가 시작됐다.

 

알파벳 산하의 웨이모가 현재 애리조나 피닉스,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LA), 그리고 테슬라가 새로 둥지를 튼 텍사스 오스틴에서 로보택시를 운행 중이다.

 

제너럴모터스(GM) 산하의 크루즈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주행택시 서비스를 개시했다가 인명사고를 낸 뒤 현재 서비스가 중단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아이폰 신화, AI 디바이스로 부활”…애플 조니 아이브, 오픈AI 합류해 ‘제3의 혁신기기’ 만든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애플의 전설적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가 챗GPT 개발사 오픈AI에 합류한다. 오픈AI는 5월 21일(현지시간) 아이브가 설립한 AI 기기 스타트업 ‘io’를 약 65억 달러(약 9조원)에 인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오픈AI 역사상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으로, 소프트웨어 중심의 AI 혁신을 하드웨어 영역까지 확장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결정이다. “스마트폰 이후 완전히 새로운 기기”…2026년 첫 제품 공개 조니 아이브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이미 2년 전부터 협업을 시작해왔으며, 이번 인수로 아이브와 그의 디자인 그룹 LoveFrom은 오픈AI와 io의 디자인 전반을 총괄하게 된다. 아이브와 올트먼은 “AI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컴퓨팅 장치, 스마트폰과는 다른 ‘제3의 혁신 기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 기기는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안경, 시계 등)과는 다른 형태로, 사용자의 일상과 주변을 인식하면서도 자연스럽게 책상 위나 주머니에 놓고 쓸 수 있는 ‘핵심 디바이스’로 설계되고 있다. 올트먼은 “이 제품이 출시돼도 스마트폰이 사라지지는 않겠지만, AI와 인간이 연결되는 새로운 방식을 제

대만 간 이해진, 젠슨 황 만나 ‘AI 동맹’ 본격화…네이버·엔비디아 소버린 AI 협력 '논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대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나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의 새 국면을 예고했다. 이번 만남은 아시아 최대 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와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 행사 ‘NPC 서밋’ 기간에 맞춰 이뤄졌으며, 네이버의 AI 전략과 엔비디아의 인프라가 결합하는 ‘소버린 AI’ 협력 논의가 핵심 의제로 부상했다. 네이버 경영진 총출동, 동남아 AI 시장 공략 본격화 이해진 의장은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주요 경영진과 함께 대만을 방문했다. 이들은 젠슨 황 CEO를 비롯한 엔비디아 경영진과 만나 동남아·중동 등지에서 각국의 데이터 주권과 규제, 문화에 맞는 ‘소버린 AI’ 구축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미 2024년 6월 미국 엔비디아 본사에서 황 CEO와 ‘소버린 AI’ 협력의 필요성을 논의한 바 있으며, 이후 실무 협의가 10여 차례 이어져 왔다. “AI 밸류체인 동맹”…엔비디아 GPU와 네이버 클라우드 결합 이번 회동에서 양사는 엔비디아의 GPU 인프라와 네이버클라우드의 서비스 플랫폼을 결합한 AI 데이터센터 사업, 거대언어모델(L

머스크 “6월 오스틴서 테슬라 로보택시 시범운행…xAI, 100만개 GPU 데이터센터 추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가 자율주행 로보택시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5월 20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6월 말까지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테슬라 로보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동시에 인공지능(AI) 기업 xAI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100만 개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탑재한 초대형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테슬라,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10대 시범 운행…수천 대로 확대 예정 머스크는 “오스틴 시내 특정 안전구역에서 모델 Y 차량 10대로 로보택시 시범 서비스를 시작하고, 초기 운행이 성공적으로 진행되면 수천 대 규모로 빠르게 확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투입되는 차량은 테슬라 SUV 모델 Y 기반에 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 언슈퍼바이즈드(FSD Unsupervised)’ 버전이 탑재된다. 차량 내에는 안전요원이 탑승하지 않으며, 테슬라 직원이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다. 머스크는 “도입 초기는 제한된 지역(지오펜싱)에서 운행하며, 모든 시스템이 문제없이 작동한다는 것이 확인되면 빠르게 규모를 늘리는 것이 현명하

베이조스 3일간 결혼식에 베네치아 '들썩'…초호화 예식에 “도시가 부자에게 팔렸다” 논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 최고 부호 중 한 명인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가 6월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초호화 결혼식을 올린다. 하지만 도시 전체가 들썩일 만큼의 ‘세기의 결혼식’을 앞두고, 현지에선 기대와 불만이 교차하고 있다. 6월 24~26일, 3일간 펼쳐질 ‘세기의 결혼식’ 베이조스와 약혼자 로런 산체스는 6월 24일부터 26일까지 3일간 베네치아에서 결혼식을 치른다. 이 기간 동안 베네치아 석호에 정박한 5억 달러(약 6700억원) 규모의 슈퍼요트 ‘코루(Koru)’와 아만 호텔 등 최고급 호텔에서 하객을 맞이한다. 하객 명단에는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오프라 윈프리, 킴 카다시안, 트럼프 전 대통령 일가 등 세계적인 유명 인사 200여 명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가 팔렸다” vs “경제효과 기대”…현지 여론 양분 베네치아는 코로나19 이후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 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왔다. 최근엔 관광객에게 입장료를 부과하며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모색 중이다. 이런 상황에서 베이조스의 결혼식이 대규모로 치러질 것이란 소식에, 일부 주민과 시민단체는 “도시가 부자에게 팔렸다”, “관세를 매겨야 한다”는 냉소적 반응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