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4.8℃
  • 맑음강릉 19.6℃
  • 맑음서울 15.2℃
  • 맑음대전 17.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8.0℃
  • 구름조금광주 18.4℃
  • 구름많음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17.4℃
  • 흐림제주 18.8℃
  • 맑음강화 13.0℃
  • 맑음보은 15.9℃
  • 맑음금산 17.8℃
  • 구름많음강진군 19.1℃
  • 맑음경주시 18.7℃
  • 구름많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美 ‘텐 타이탄즈’ S&P500 시총 39% 점령…"AI 혁명이 바꾼 시장판도, 더 이상 균형지수 아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9월 기준, 미국 증시 S&P500지수의 구조가 극적으로 변화했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개 기술대기업 ‘Ten Titans’(텐 타이탄즈)이 전체 시총의 39.1%를 차지하며 사상 최대 집중도를 기록했다. 2022년 말(23.3%)에 비해 불과 3년 만에 15%p 가까운 점유율 상승으로, S&P500이 더 이상 균형형 지수가 아니라 ‘성장주 지수’로 변모하고 있다는 평가다.

 

Nasdaq 및 S&P Global 분석, Seeking Alpha, Business Insider, Schwab Center for Financial Research에 따르면, ‘텐 타이탄즈’는 엔비디아(6.98%), 마이크로소프트(6.35%), 애플(5.99%), 알파벳(5.08%), 아마존(4.13%), 메타플랫폼(3.26%), 브로드컴(2.78%), 테슬라(2.25%), 오라클(1.43%), 넷플릭스(0.87%)로 구성된다.

 

기존 ‘매그니피센트 세븐’에 브로드컴, 오라클, 넷플릭스를 더해 AI 생태계와 기술혁신의 확산을 반영한다. 이들 10개 기업의 시총 합계는 중국 전체 증시 시총의 2배에 달하며 실제로 S&P500 수익률의 상당 부분이 이 그룹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

 

AI 투자가 불붙인 초대형 랠리

 

S&P500 지수는 2023년 이후 약 70% 급등했다. 업계에서는 이 기염의 배경을 AI, 특히 반도체·클라우드·소프트웨어 인프라의 폭발적 성장에서 찾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AI가 S&P500 전체 기업에 완전히 통합될 경우 연간 약 9200억 달러의 순이익 창출이 가능하다”는 전망도 내놓았다. 장기적으로 AI 도입·확장 속도에 따라 S&P500 전체 시가총액의 13~16조 달러 추가 상승 여력도 거론된다.

 

특히 엔비디아(시총 7%, 데이터센터 부문 성장률 114%, 2025년 매출 1305억달러, GPU 시장 점유율 92% 이상), 브로드컴(시총 1.6조 달러, AI특화 ASIC 매출 연 120억달러 예상) 등 AI 핵심 인프라 공급사가 초고속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다. SK하이닉스·마이크론 등 HBM 메모리 제조사도 2025년 상반기 주가 40~70% 급등을 경험했다.

 

연준 ‘신중한 완화’…AI 대장주 독주에 날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2025년 9월 17일, 기준금리를 0.25%p 내린 4.0~4.25%로 조정했다. “인플레이션 경계 유지와 불확실성 관리용 위험관리 차원의 금리 인하”라는 연준의 공식 입장에 따라 시장유동성이 확대되며 기술주 랠리에 결정적 힘을 보탰다. 연준위원들의 전망치(dots)는 2025년 말 금리가 3.5~3.75%까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2023년 3월 이후 ‘매그니피센트 세븐’이 225% 급등하면서도 주가수익비율(PE)이 39에 그치며, 역사적 ‘버블 고점’(PE 58)과 차이가 크다”고 분석했다. S&P500 정보기술 섹터의 시가총액 비중은 31.6%, 커뮤니케이션/소비재 섹터까지 합칠 경우 50%에 육박한다.

 

집중 리스크와 성장 기대감 ‘양날의 칼’


전문가들은 “지금의 S&P500은 예전의 균형형 시장이 아니라 나스닥형 ‘성장주 중심 지수’와 비슷하다”고 진단한다. 2025년 상반기 실제 수익률의 70%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브로드컴, 팔란티어 등 5개사가 차지했다는 분석도 있다. S&P500에 따라간 ETF·인덱스펀드 투자자는 과거보다 중소형주 노출이 크게 줄어들었다.

 

이 같은 시가총액 집중화는 초과수익의 혜택과 동시에 변동성·리스크를 동반한다. 주요 AI 기반 테크 대기업의 실적성장률은 2023년 36%, 2024년 33%로 전체 S&P500 평균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반면 MIT 보고서는 “상위 10개사 이외 다수 기업의 AI 시범사업(파일럿) 도입은 95%가 정착에 실패했다”는 연구도 있어, 미드캡 가치주·배당주로의 분산 투자전략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올트먼·머스크, 온라인 설전 재점화…“로드스터 예약 취소” 맞불에 “오픈AI 훔쳤다” 날선 공방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갈등이 2025년 11월 초 다시 격화됐다. 올트먼이 테슬라 로드스터 예약 취소와 환불 문제를 공개하자 머스크는 오픈AI의 영리 법인 전환을 거론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비즈니스인사이더, 포브스, CNN, 알자지라에 따르면, 올트먼은 10월 30일 2018년에 테슬라의 신형 로드스터를 예약하고 4만5000 달러(약 6700만원)를 보증금으로 낸 뒤 7년 반 동안 출시가 지연돼 왔는데 최근 예약 취소와 환불 요청을 이메일 주소 변경으로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는 내용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X)에서 공개했다. 그는 “출시가 지연되는 것을 이해하지만, 7.5년은 너무 긴 시간”이라고 토로했다. 테슬라 2세대 로드스터는 2017년 공개 후 당초 2020년 출시 예정이었으나 5년 이상 미뤄지며 많은 예약자가 환불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당신은 비영리법인을 훔쳤다”며 오픈AI가 비영리에서 영리 중심 회사로 전환된 점을 강하게 비난했다. 이어 그는 올트먼의 환불 요청이 24시간 이내에 해결됐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하지만 그건 당신 본성”이라고 조롱했다. 이

[이슈&논란] 불타는 테슬라, 문 못열어 사망…美서 유족소송 이어 치명적 설계결함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테슬라 차량의 설계 결함 의혹이 다시 한번 사회적 논란으로 떠올랐다. 작년 11월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 외곽에서 2016년형 테슬라 모델S가 나무에 충돌한 뒤 불이 붙는 사고가 발생, 탑승자 5명이 모두 문을 열지 못해 불길에 휩싸여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로이터, 블룸버그, 월스트리트저널, NHTSA에 따르면, 숨진 제프리·미셸 바우어 부부의 유족은 11월 3일(현지시간) 테슬라를 상대로 “차문 설계의 치명적 결함이 부모의 사망을 초래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사고차량은 충돌 직후 리튬이온 배터리팩이 폭발하며 화재가 발생했고, 전자 제어로 작동되는 차량 문의 잠금장치가 작동 불능에 빠져 내부 탑승자들이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없었다. 실제로 테슬라 차량의 창문이나 문을 작동시키는 저전압(12V) 배터리가 고장나면 비상시 수동 잠금 해제 위치를 모르는 승객의 탈출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지적됐다. 이 사건 외에도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 교외에서는 테슬라 사이버트럭 충돌 후 유사 화재로 대학생 2명이 문을 열지 못해 목숨을 잃었고, 해당 유족들도 테슬라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 중이다.​ 미국 도로교통

[The Numbers] 테슬라 2.59% 상승, 루시드 6.25% 급락…"전기차 주가 혼조세 속 ‘로보택시 기대’ 상승 견인”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11월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가 2.59% 상승하며 468.37달러를 기록, 시가총액은 1조5580억 달러로 불어났다. 반면, 경쟁 전기차 업체인 루시드 그룹은 6.25% 급락해 16.64달러에 거래됐고, 리비안 역시 2.8% 하락했다. 이러한 전기차 업계 주가 혼조세의 배경과 테슬라 주가 상승의 구체적 이유는 무엇일까. 야후 파이낸스, 블룸버그, 마켓비트, 투자은행 도이치뱅크, 벤징가에 따르면, 가장 큰 상승 배경은 투자은행 도이치뱅크가 테슬라에 대해 목표 주가를 기존 440달러에서 470달러로 상향 조정한 데 있다. 특히 도이치뱅크는 테슬라의 ‘로보택시’ 사업 가능성을 무한대로 평가하며 향후 성장 모멘텀을 주목했다. 로보택시는 테슬라가 AI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해 무인 택시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업으로, 2025년 중 텍사스 오스틴에서 시범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감이 투자자 심리를 크게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여러 팟캐스트 등에 출연해 자신이 제안한 1조 달러 규모 급여안에 대한 주주들의 지지를 호소한 점도 주가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테슬라는

[빅테크칼럼] 애플, 폴더블 아이폰 2026년 가을에 나온다…"창립 50돌 맞아 내년 최소 15종 신제품 출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크 거대기업 애플이 2026년에 역대급 신제품 대거 출시를 예고하며 '가장 중요한 해'에 들어선다. 블룸버그 마크 거먼을 비롯해 폰아레나, 벤징가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 한 해 동안 최소 15개의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으로, 이는 앱스토어 규제 압력과 관세 리스크 등 대내외 도전 속에서도 혁신을 이어가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026년 초 대규모 하드웨어 리프레시 내년 초에는 아이폰17e, A18 칩을 장착한 12세대 아이패드, M4 칩 탑재 아이패드 에어가 출시된다. 맥 사용자들은 M5 칩이 내장된 신형 맥북 에어와 프로·맥스 프로세서를 장착한 맥북 프로 신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2022년 이후 첫 외장 디스플레이 신제품도 함께 공개된다.​ 봄철 스마트홈과 시리 AI 혁신 3~4월에는 애플의 스마트홈 전략이 구체화된다. 스피커 베이스형과 벽걸이형 옵션을 갖춘 약 7인치 크기의 스마트홈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AI가 대폭 강화된 새로운 시리 음성 비서가 적용될 예정이다. 시리는 웹 검색 능력과 앱 내 작업 제어를 강화해 ChatGPT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전망이다.​ 가을, 폴더블 아이폰과 최신 맥북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