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 맑음동두천 12.3℃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5.7℃
  • 구름조금대구 17.2℃
  • 구름많음울산 15.6℃
  • 구름조금광주 17.2℃
  • 구름많음부산 17.5℃
  • 구름조금고창 14.6℃
  • 흐림제주 18.1℃
  • 맑음강화 11.2℃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5.6℃
  • 구름많음강진군 17.5℃
  • 구름조금경주시 15.0℃
  • 구름조금거제 14.8℃
기상청 제공

빅테크

"과학·여성에 진심" 로레알 그룹, '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 5명 발표…"세상은 과학을, 과학은 여성을 필요로 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로레알 그룹과 유네스코가 ‘제27회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 수상자를 발표하고, 6월 12일(프랑스 현지시간)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시상식을 진행했다.

 

올해로 27주년을 맞은 ‘로레알-유네스코 세계여성과학자상’은 여성과학계의 대표적인 권위 있는 상으로 매년 5개 대륙을 대표하는 우수한 여성 과학자 5명을 선정해 수여하고 있다. 올해 수상자들은 물리학, 수학 및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공헌을 인정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게 됐다.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서는 안전한 데이터 통신과 저장에 필수적인 암호화 및 암호 수학에 크게 기여를 한 샤오윈 왕(Xiaoyun Wang) 칭화대학교 교수가 선정됐다. 샤오윈 왕 교수는 일반 통신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해시 함수의 근본적인 결함을 발견하고 새로운 해시 함수 표준을 제시했으며, 이는 오늘날 은행 카드, 컴퓨터 비밀번호, 전자상거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이 외에도 ▲아프리카 및 아랍 지역에서는 환경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고감도 전기화학 마이크로센서를 개발한 프리실라 베이커(Priscilla Baker) 웨스턴 케이프 대학교 교수 ▲유럽에서는 ‘위상 양자화학(topological quantum chemistry)’ 분야를 개척한 클라우디아 펠저(Claudia Felser) 막스플랑크 고체 화학물리연구소 소장이 선정됐다.

 

또 ▲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에서는 힉스 입자 발견과 특성 규명, 우주선 물리학 연구 등 고에너지 물리학 발전에 공헌한 마리아 테레사 도바(María Teresa Dova) 아르헨티나 라플라타 국립대학교 교수 ▲북미 지역에서는 광화학 스모그 생성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대기화학 분야 발전에 이바지한 바버라 핀레이슨-피츠(Barbara Finlayson-Pitts) 캘리포니아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명예 교수가 선정됐다.

 

 

유네스코에 의하면, 전 세계 과학자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31.1%에 불과하며, 노벨상 수상자는 1901년 이후로 단 25명에 불과해, 이들은 늘 유리천장에 직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로레알 재단과 유네스코는 지난 27년간 ‘세상은 과학을 필요로 하고 과학은 여성을 필요로 한다’는 믿음 아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통해 과학분야에서 여성 권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98년 제정 이래 지금까지 4,700명 이상의 여성 과학자를 지원해 왔으며, 그 중 7명이 노벨상을 수상했다.

 

폴린 아베넬-람(Pauline Avenel-Lam) 로레알 재단 최고책임자(Executive Director of the Fondation L’Oréal)는 ”기후 변화, 건강 위기, 디지털 보안 등 인류가 직면한 도전 속에서 과학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특히 여성 과학자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은 이러한 여성 인재들을 지원해 왔으며, 2025년 수상자들의 공로는 미래의 과학 발전과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열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리디아 브리토(Lidia BRITO) 유네스코 자연과학부문 사무총장보(Assistant Director-General for Natural Sciences at UNESCO)는 "과학에서의 성평등은 유네스코의 핵심 사명이다. 여성 과학자들에게 정당한 인정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 전략이며, 세계가 당면한 복합적 도전을 해결하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2025년 수상자들과 미래 세대 여성 과학자들의 연구가 더욱 널리 인정받기를 바라며, 과학 분야에서 여성의 기여가 인정받는 세상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에서는 2002년 로레알코리아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과 함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발족해 매년 우수한 한국 여성 과학자를 선정, 시상하며 한국 여성과학계 발전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오고 있다. 올해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시상식은 오는 7월 16일 개최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올트먼·머스크, 온라인 설전 재점화…“로드스터 예약 취소” 맞불에 “오픈AI 훔쳤다” 날선 공방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갈등이 2025년 11월 초 다시 격화됐다. 올트먼이 테슬라 로드스터 예약 취소와 환불 문제를 공개하자 머스크는 오픈AI의 영리 법인 전환을 거론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비즈니스인사이더, 포브스, CNN, 알자지라에 따르면, 올트먼은 10월 30일 2018년에 테슬라의 신형 로드스터를 예약하고 4만5000 달러(약 6700만원)를 보증금으로 낸 뒤 7년 반 동안 출시가 지연돼 왔는데 최근 예약 취소와 환불 요청을 이메일 주소 변경으로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다는 내용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X)에서 공개했다. 그는 “출시가 지연되는 것을 이해하지만, 7.5년은 너무 긴 시간”이라고 토로했다. 테슬라 2세대 로드스터는 2017년 공개 후 당초 2020년 출시 예정이었으나 5년 이상 미뤄지며 많은 예약자가 환불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머스크는 “당신은 비영리법인을 훔쳤다”며 오픈AI가 비영리에서 영리 중심 회사로 전환된 점을 강하게 비난했다. 이어 그는 올트먼의 환불 요청이 24시간 이내에 해결됐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하지만 그건 당신 본성”이라고 조롱했다. 이

[이슈&논란] 불타는 테슬라, 문 못열어 사망…美서 유족소송 이어 치명적 설계결함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테슬라 차량의 설계 결함 의혹이 다시 한번 사회적 논란으로 떠올랐다. 작년 11월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 외곽에서 2016년형 테슬라 모델S가 나무에 충돌한 뒤 불이 붙는 사고가 발생, 탑승자 5명이 모두 문을 열지 못해 불길에 휩싸여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로이터, 블룸버그, 월스트리트저널, NHTSA에 따르면, 숨진 제프리·미셸 바우어 부부의 유족은 11월 3일(현지시간) 테슬라를 상대로 “차문 설계의 치명적 결함이 부모의 사망을 초래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사고차량은 충돌 직후 리튬이온 배터리팩이 폭발하며 화재가 발생했고, 전자 제어로 작동되는 차량 문의 잠금장치가 작동 불능에 빠져 내부 탑승자들이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없었다. 실제로 테슬라 차량의 창문이나 문을 작동시키는 저전압(12V) 배터리가 고장나면 비상시 수동 잠금 해제 위치를 모르는 승객의 탈출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지적됐다. 이 사건 외에도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 교외에서는 테슬라 사이버트럭 충돌 후 유사 화재로 대학생 2명이 문을 열지 못해 목숨을 잃었고, 해당 유족들도 테슬라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 중이다.​ 미국 도로교통

[The Numbers] 테슬라 2.59% 상승, 루시드 6.25% 급락…"전기차 주가 혼조세 속 ‘로보택시 기대’ 상승 견인”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11월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 주가가 2.59% 상승하며 468.37달러를 기록, 시가총액은 1조5580억 달러로 불어났다. 반면, 경쟁 전기차 업체인 루시드 그룹은 6.25% 급락해 16.64달러에 거래됐고, 리비안 역시 2.8% 하락했다. 이러한 전기차 업계 주가 혼조세의 배경과 테슬라 주가 상승의 구체적 이유는 무엇일까. 야후 파이낸스, 블룸버그, 마켓비트, 투자은행 도이치뱅크, 벤징가에 따르면, 가장 큰 상승 배경은 투자은행 도이치뱅크가 테슬라에 대해 목표 주가를 기존 440달러에서 470달러로 상향 조정한 데 있다. 특히 도이치뱅크는 테슬라의 ‘로보택시’ 사업 가능성을 무한대로 평가하며 향후 성장 모멘텀을 주목했다. 로보택시는 테슬라가 AI 자율주행 기술을 접목해 무인 택시 서비스를 구현하는 사업으로, 2025년 중 텍사스 오스틴에서 시범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감이 투자자 심리를 크게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또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여러 팟캐스트 등에 출연해 자신이 제안한 1조 달러 규모 급여안에 대한 주주들의 지지를 호소한 점도 주가 상승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테슬라는

[빅테크칼럼] 애플, 폴더블 아이폰 2026년 가을에 나온다…"창립 50돌 맞아 내년 최소 15종 신제품 출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크 거대기업 애플이 2026년에 역대급 신제품 대거 출시를 예고하며 '가장 중요한 해'에 들어선다. 블룸버그 마크 거먼을 비롯해 폰아레나, 벤징가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내년 한 해 동안 최소 15개의 신제품을 선보일 예정으로, 이는 앱스토어 규제 압력과 관세 리스크 등 대내외 도전 속에서도 혁신을 이어가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2026년 초 대규모 하드웨어 리프레시 내년 초에는 아이폰17e, A18 칩을 장착한 12세대 아이패드, M4 칩 탑재 아이패드 에어가 출시된다. 맥 사용자들은 M5 칩이 내장된 신형 맥북 에어와 프로·맥스 프로세서를 장착한 맥북 프로 신제품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2022년 이후 첫 외장 디스플레이 신제품도 함께 공개된다.​ 봄철 스마트홈과 시리 AI 혁신 3~4월에는 애플의 스마트홈 전략이 구체화된다. 스피커 베이스형과 벽걸이형 옵션을 갖춘 약 7인치 크기의 스마트홈 디스플레이가 출시되고, AI가 대폭 강화된 새로운 시리 음성 비서가 적용될 예정이다. 시리는 웹 검색 능력과 앱 내 작업 제어를 강화해 ChatGPT와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전망이다.​ 가을, 폴더블 아이폰과 최신 맥북 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