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흐림동두천 6.9℃
  • 구름조금강릉 10.5℃
  • 서울 6.4℃
  • 흐림대전 8.6℃
  • 구름조금대구 11.3℃
  • 구름많음울산 12.4℃
  • 흐림광주 9.8℃
  • 구름많음부산 12.6℃
  • 흐림고창 7.7℃
  • 황사제주 13.2℃
  • 흐림강화 6.9℃
  • 구름많음보은 7.7℃
  • 흐림금산 7.6℃
  • 구름많음강진군 11.2℃
  • 구름많음경주시 12.1℃
  • 구름조금거제 11.2℃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 비중 순위…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順

최근 4년간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 비중 1.4%p 증가…삼양식품, 23.4%p↑‘최대’
2021년 6월 말 500대 기업 근로자 127만7012명 중 기간제 8만2164명(6.4%)
2025년 6월 말은 전체 132만4494명 중 기간제 10만3259명(7.8%)…1.4%p↑
삼양식품, 조사 대상 기업 중 기간제 증가율 최대…‘불닭볶음면’ 인기에 계약직 대거 채용
2025년 6월 말 기준 기간제 비중이 높은 곳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순
CEO스코어, 2021-2025년 500대기업 정규직 및 기간제 근로자 인원 조사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최근 4년 새 1.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대동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순이었다. 이 중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3개사는 정규직보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다.

 

8월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및 기간제 근로자의 인원수를 조사한 결과 최근 4년간 이들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4%포인트 증가했다.

 

올 6월 기준 조사 대상 기업 334곳의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21년 6월에 비해 전체 임직원이 4만7482명(3.7%) 늘어난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0대기업의 연도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6.4% ▲2022년 6월 7.3% ▲2023년 6월 7.6% ▲2024년 6월 7.9% ▲2025년 6월 7.8%였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조금씩 증가세를 보이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올들어 0.1%포인트 감소했다.

 

2021년 대비 2025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이었다. 삼양식품은 2021년 6월 기간제 근로자가 2.2%에 불과했으나, 불과 4년 만인 올 6월에는 25.6%으로 23.4%포인트나 급증했다.

 

삼양식품의 기간제 근로자는 생산부문에서 비중이 높았다. 생산부문 정규직은 4년간 69명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기간제 근로자는 무려 600명이나 늘었다. 이는 대표 상품인 ‘불닭볶음면’이 인기를 끌면서 생산직 채용 인원이 급증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한국씨티은행이 기간제 비중 5.2%에서 28.3%로 23.1%포인트 늘었고, 메리츠금융지주가 25.0%에서 46.2%로 21.2%포인트 늘어나며 높은 기간제 근로자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씨티은행은 지난 2021년 한국 시장에서 소비자금융 부문을 철수한 이후 희망 퇴직한 인원을 단기계약직으로 다시 채용한 탓에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급증했다.

 

메리츠금융은 ‘성과주의’ 기조에 따라 정규직보다 성과급 지급이 용이한 계약직 비중이 높다.

 

이밖에 2021년 6월 대비 올해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늘어난 기업으로는 ▲HD현대미포(20.9%p↑) ▲삼성중공업(17.7%p↑) ▲강원랜드(16.7%p↑) ▲진에어(15.9%p↑) ▲코오롱글로벌(15.1%p↑) ▲SK네트웍스(14.0%p↑) ▲전북은행(13.4%p↑)가 있다. 이들은 모두 10%포인트 넘는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반대로 같은 시기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0%포인트 이상 감소한 기업은 ▲대동 ▲자이에스앤디 ▲HD현대케미칼 ▲팬오션 4곳이었다. 차량 제조사 대동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28.1%에서 올 6월 10.2%로 17.9%포인트 감소, 조사 대상 기업 중 감소폭이 가장 컸다.

 

이어 ▲자이에스앤디(17.1%p↓) ▲HD현대케미칼(16.6%p↓) ▲팬오션(14.8%p↓) ▲대상(8.9%p↓) ▲KB캐피탈(8.9%p↓) ▲코리아세븐(8.8%p↓) ▲명신산업(8.1%p↓) ▲대림(8.0%p↓) ▲LG이노텍(8.0%p↓)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조사 대상 기간인 5년 연속 전체 인원의 절반 이상이 기간제 근로자인 기업은 3곳(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으로, 셋 중 2곳이 증권사였다.

 

메리츠증권은 조사 대상 기업 중 올 6월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64.8%로 가장 높았다. 메리츠증권은 2021년 6월 62.7%였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2022년 63.0%, 2023년 64.1%, 2024년 60.9%로 나타났다.

 

 

이어 ▲자이에스앤디(63.8%, 2021년 6월 대비 17.1%p↓) ▲다올투자증권(56.9%, 5.0%p↓) ▲서희건설(49.3%, 0.1%p↑) ▲하나증권(46.9%, 4.8%p↓) ▲메리츠금융지주(46.2%, 21.2%p↑) ▲HL D&I(45.4%, 0.7%p↑) ▲HDC현대산업개발(42.4%, 1.5%p↑) ▲LS증권(41.8%, 1.9%p↓) ▲두산건설(41.8%, 2.4%p↑)로 집계됐다.

 

올 6월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기업 10곳 중 4곳이 증권사였다. 다만 증권사는 영업직군 등에서 판매 실적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하는 제도로 인해, 타 산업군과 달리 고소득 계약직 직원 비중이 높은 편이다.

 

반면 지난 5년간 기간제 근로자를 전혀 고용하지 않은, 즉 직원 전체가 정규직인 기업도 9곳에 달했다. ▲이마트 ▲한국가스공사 ▲현대백화점 ▲엘앤에프 ▲에코플라스틱 ▲파트론 ▲삼보모터스 ▲KB금융 ▲화승인더스트리가 이에 해당한다. 이 중 이마트, 현대백화점은 변동성이 큰 AR(아르바이트) 인원은 조사에서 제외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 5년 내내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를 넘지 않았다. 삼성전자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0.5%, 2022년 6월 0.5%, 2023년 6월 0.4%, 2024년 6월 0.5%, 2025년 6월 0.5%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0.3%, 0.2%, 0.3%, 0.2%, 0.2%를 각각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조선‧기계‧설비의 기간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났다. 2021년 6월 8.9%에서 올 6월 14.9%로 6.0%포인트 늘었다. 특히 HD현대미포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무려 20.9%포인트나 늘었다.

 

이어 ▲자동차‧부품(4.5%p) ▲상사(3.5%p) ▲철강(3.1%p) ▲은행(3.0%p) ▲운송(2.9%p) ▲보험(1.7%p) ▲증권(1.4%p) ▲건설‧건자재(1.2%p) ▲공기업(1.2%p) ▲제약(1.2%p) ▲생활용품(0.9%p) ▲유통(0.5%p) ▲석유화학(0.3%p) ▲통신(0.02%p) 순으로 기간제 비중이 늘었다.

 

반대로 4년 전 대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줄어든 업종은 ▲지주(-1.6%p) ▲IT전기전자(-0.9%p) ▲에너지(-0.3%p) ▲식음료(-0.3%p) ▲여신금융(-0.3%p) ▲서비스(-0.03%p) 순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두나무 잔칫날 '날벼락'…업비트, 공교롭게 6년 전 500억원대 대규모 해킹 '재발생'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2025년 11월 27일, 정확히 6년 만에 대규모 해킹 사고를 또 다시 겪으며 업계의 충격을 자아내고 있다. 이번 해킹은 2019년 11월 27일 무렵 580억원 규모 이더리움 유출 사건 이후, 6년 만에 같은 날짜에 발생한 것으로, 피해 규모는 540억원에 달하는 솔라나(SOL) 계열 디지털 자산이 내부에서 지정하지 않은 외부 지갑으로 유출된 정황이 확인됐다.​ 해킹 규모와 잠재적 추가 피해 이번 사고는 11월 27일 새벽 4시 42분경 솔라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자산 일부가 내부에서 지정하지 않은 지갑으로 전송된 정황이 포착되면서 시작됐다.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즉각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하고 보안 점검에 돌입했으며, 해킹 규모와 피해액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업비트는 이번 해킹으로 인해 최소 540억원 이상의 자산이 유출된 것으로 공지했으나,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실제 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탈취된 자산에는 솔라나, 레이디움, USDC, 봉크, 렌더, 주피터 등 총 20여종의 토큰이 포함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추가 피해 발생 가능성에 대

[이슈&논란] "규제에도 27만명 몰렸다” 연내 서울 3600가구 분양…역삼센트럴자이·오티에르 반포·더샵 르프리베·아크로 드 서초·아크로 리버스카이 '눈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잇따른 부동산 규제에도 서울 분양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청약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진행된 1순위 청약에는 총 22만여명이 몰리며 견조한 분위기를 재확인했다. 분양·입주권 거래량도 크게 늘어나면서 연내 공급될 신규 단지들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는 모습이다. 20일 기준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15곳으로 1순위 청약에 총 27만5,766명이 몰렸다. 이는 동기간 전국 1순위 청약자(62만856명)의 약 44.42%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이번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7대책이 발표된 6월 이후에도 청약자가 20만명 가까이 몰리는 등 청약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개별 단지의 경쟁률도 치열하다. 서초구 반포동 일원에 들어서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11월 진행된 1순위 청약에 무려 5만4,631명이 몰리면서 237.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9월 분양한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은 1순위 청약자 6만9,467명,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청약 시장 활기로 분양·입주권 거래도 증가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10월)

삼표시멘트, 업계 최초 3년 연속 ESG 전 부문 ‘A등급’ 달성…지속가능경영 최고 수준 입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표시멘트가 국내 최고 권위의 ESG 평가기관인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5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달성하며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의 핵심 계열사인 삼표시멘트(대표이사 배동환•이원진)는 한국ESG기준원(KCGS)이 주관한 2025년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안전 최우선 현장 운영 체계 확립 ▲친환경 특수 시멘트 ‘블루멘트’ 확대 등 생산 공정 환경영향 최소화 ▲투명한 의사결정과 준법•윤리 경영 정착 ▲지역사회 맞춤형 사회공헌 활동 확대 등 ESG 전 영역에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경영 활동을 지속해 온 결과다. KCGS는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으로 매년 국내 상장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한다. 평가 등급인 통합 A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전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펼치고 있는 기업에게 부여된다. 삼표시멘트는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최고

한미글로벌, 테크 포럼 개최..."스마트 건설기술, 인프라 건설에도 적용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1위 건설사업관리(PM) 전문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스마트 인프라 건설'을 주제로 올해 하반기 'HG 테크 포럼'을 오는 12월 2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스마트 인프라 건설'이다. 특히 국내 양수발전소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과제와 전략을 다룰 예정이다. 최근 건설 기술의 디지털화와 자동화가 가속화되며 해외 인프라 공사에서는 성공적인 적용 사례가 늘고 있지만, 국내 토목 인프라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 적용이 더딘 상황이다. 한미글로벌은 이번 포럼을 통해 미래 스마트 인프라 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 현장에 최적화된 스마트 건설 솔루션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발주자 및 건설 관련 기업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기조강연은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 단장을 역임한 조성민 연구처장이 ‘인프라 건설의 미래와 스마트 기술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첫 번째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인프라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기업들의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성과를 창출한 사례를 다룬다. DL E&C에서 ‘드론을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