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목)

  • 흐림동두천 21.9℃
  • 구름많음강릉 20.0℃
  • 흐림서울 23.0℃
  • 구름많음대전 27.3℃
  • 구름많음대구 23.1℃
  • 구름많음울산 20.1℃
  • 구름조금광주 25.0℃
  • 흐림부산 18.3℃
  • 맑음고창 24.1℃
  • 흐림제주 21.9℃
  • 흐림강화 15.8℃
  • 구름많음보은 27.1℃
  • 구름많음금산 26.4℃
  • 구름조금강진군 21.7℃
  • 구름많음경주시 22.4℃
  • 흐림거제 18.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공간차트] 혼인 부부 10쌍 중 1쌍 ‘국제결혼’…다문화 年 결혼 2만건·이혼 8천건

통계청, ‘2023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결과’ 발표
다문화 혼인 17% 증가…외국인 아내 비중↑
외국인 아내 69.8%, 외국인 남편 17.9%
다문화 결혼 연 2만건…평균 초혼 男 37.2세·29.5세
다문화 혼인, 전년 대비 3003건 늘어…다문화 이혼도 증가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가정 아기 5.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3년 혼인한 부부 10쌍 중 1쌍은 다문화 혼인이었고, 그 중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가 70%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7일 공개한 ‘2023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국제결혼)은 2만431건으로 전년 대비 17.2%(3003건) 늘었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 비중은 10.6%(2만431건)로 전년(9.1%) 대비 1.5%포인트 증가했다. 혼인 10건 중 1건은 국제결혼이라는 얘기다.

 

지난해를 제외하고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 비중이 10%를 넘은 해는 2019년(10.3%)이 유일하다.

 

다문화 혼인 유형은 ‘외국인 아내’가 69.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외국인 남편’(17.9%), ‘귀화자’(12.3%) 순이었다. 전년 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혼인 비중은 3%포인트 증가했고, 외국인 남편과 귀화자는 각각 2.1%포인트, 0.9%포인트 감소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7.2세, 아내는 29.5세로 전년 대비 남편은 0.6세, 아내는 0.4세 감소했다.

부부의 연령차는 남편이 연상인 부부가 76.1%를 차지했다. 그 중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8.1%로 전년 대비 3.1%포인트 증가했다. 그 외 아내가 연상인 부부는 17.9%, 부부가 동갑인 경우는 6%를 차지했다.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또는 귀화자 남편의 출신 국적은 중국(1411건·6.9%)이 가장 많았고, 이어 미국 (1409건·6.9%), 베트남(798건·3.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5697명·27.9%)이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3546명·17.4%), 태국(2024명·9.9%) 등 순이었다. 

 

 

17개 광역시·도 기준 지역별 다문화 혼인 건수는 경기(6018건), 서울(3816건), 인천(1245건) 순으로 많았고, 세종(111건), 제주(362건), 울산(398건) 순으로 적었다.

 

지역별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3.6%), 충남(12.9%), 전남(12.5%) 순으로 높았고, 세종(6.4%), 대구·부산(8.4%) 순으로 낮았다.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이혼(8158건)은 전년 대비 3.9%(305건) 증가했다.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중국(32.1%), 베트남(26.4%), 태국(4.7%) 순이었다.

 

다문화 이혼의 유형은 외국인 아내(48.5%), 귀화자(34.8%), 외국인 남편(16.6%) 순이었다. 전년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 비중은 0.4%p 증가했으며, 외국인 남편·귀화자와의 이혼 비중은 각각 0.2%p 감소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남편의 평균 이혼 연령은 50.3세, 아내 41.3세로 전년 대비 남편의 나이는 0.2세 증가했고 아내의 나이는 유사했다.

 

지난해 다문화 가정의 출생아는 1만2150명으로 전년(1만2526명) 대비 3%(376명) 감소했으나, 전체 출생 중 차지하는 비중은 5.3%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증가했다. 17개 광역시·도 기준 지역별 다문화 출생아 수는 경기(3533명), 서울(2042명), 인천(805명) 순으로 많았다.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충남(6.8%), 전북(6.6%), 전남(6.3%) 순으로 높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韓 우주항공방산 성장 위해 금융도 힘 보탠다…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상생협력 '맞손'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KB국민은행(은행장 이환주)이 지난 11일 KAI(한국항공우주산업㈜, 대표이사 강구영)와 ‘상생협력 및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KB국민은행 신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강구영 KAI 사장과 이환주 KB국민은행장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국가 주력사업인 항공우주 분야의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양 기관의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KB국민은행이 KAI에 지원하는 금융지원 규모는 최대 1조원이다. ▲미래사업 투자지원 ▲수출금융 ▲수출입 및 시설투자 관련 운영자금 대출 등 KAI에서 진행하는 사업에 대한 금융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KAI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한 동반성장 금융지원를 통해 중소기업과의 상생금융도 실천할 계획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항공우주산업은 높은 기술력과 장기적인 투자가 필수적인 분야인 만큼, 안정적인 금융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협약을 통해 미래사업 투자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기반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환주 KB국민은행장은 “대한민국의 항공우주 및

“애순(아이유)처럼 몸만 들어오세요”…‘가성비∙가심비’ 트렌드 확산에 ‘풀퍼니시드 시스템’ 인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면서 주택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가성비와 효율성을 중시하는 ‘불황형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며, 가구와 가전 등이 갖춰진 ‘풀퍼니시드(Full-furnished)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입주자가 별도로 가구나 가전을 구입할 필요 없이 생활이 가능한 주거 형태로 초기 정착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풀퍼니시드 시스템이란 침대, 소파, 세탁기, 냉장고 등 필수 가구와 가전이 기본적으로 갖춰진 상태로 주택이 제공되는 방식이다. 이는 초기 정착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이사 과정이 간편해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구 배치를 최적화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1~2인 가구 및 신혼부부에게 적합한 주거 옵션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1월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알투코리아부동산투자자문, 한국갤럽조사연구소가 발표한 ‘2025 부동산 트렌드’에 따르면, 올해 부동산 시장을 주도할 키워드 중 하나로 ‘지금, 잘 살 것’이 선정됐다. 이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 실질적인 삶의 질과 편리함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다. 설문조사 결과에서

‘SK하이닉스’ 효과로 용인 부동산 '들썩'…"경기도는 떨어져도 용인은 오른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용인 지역 부동산이 ‘SK하이닉스’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그동안 부동산 시장에서 집값을 끌어올리는 키워드로 부각되던 ‘삼성전자’ 효과에 이어, SK하이닉스의 대규모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첨단 산업 인프라 구축에 따른 고용 창출과 인구 유입, 교통 및 생활 인프라 확충 등이 맞물리며, 지역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용인에 조성중인 수백조원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리딩하고 있다. 먼저 치고 나간 곳은 SK하이닉스다. SK하이닉스는 122조를 투자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내 1기 팹이 올해 2월 착공에 돌입했고, 2027년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차세대 D램 생산기지로 거듭날 이 산업단지는 약 415만㎡(126만평) 부지에 팹(반도체 생산시설) 4기와 인프라, 업체 협력화 단지 등을 순차적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의 용인 팹은 올해 한국에서 신규 착공하는 유일한 반도체 공장이라는 희소성도 갖췄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는 최근 인텔 낸드 사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