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혼인 부부 10쌍 중 1쌍 ‘국제결혼’…다문화 年 결혼 2만건·이혼 8천건

통계청, ‘2023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결과’ 발표
다문화 혼인 17% 증가…외국인 아내 비중↑
외국인 아내 69.8%, 외국인 남편 17.9%
다문화 결혼 연 2만건…평균 초혼 男 37.2세·29.5세
다문화 혼인, 전년 대비 3003건 늘어…다문화 이혼도 증가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가정 아기 5.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3년 혼인한 부부 10쌍 중 1쌍은 다문화 혼인이었고, 그 중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가 70%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7일 공개한 ‘2023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국제결혼)은 2만431건으로 전년 대비 17.2%(3003건) 늘었다.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 비중은 10.6%(2만431건)로 전년(9.1%) 대비 1.5%포인트 증가했다. 혼인 10건 중 1건은 국제결혼이라는 얘기다.

 

지난해를 제외하고 2013년부터 2022년까지 10년간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 비중이 10%를 넘은 해는 2019년(10.3%)이 유일하다.

 

다문화 혼인 유형은 ‘외국인 아내’가 69.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외국인 남편’(17.9%), ‘귀화자’(12.3%) 순이었다. 전년 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혼인 비중은 3%포인트 증가했고, 외국인 남편과 귀화자는 각각 2.1%포인트, 0.9%포인트 감소했다.

 

다문화 혼인을 한 남편의 평균 초혼 연령은 37.2세, 아내는 29.5세로 전년 대비 남편은 0.6세, 아내는 0.4세 감소했다.

부부의 연령차는 남편이 연상인 부부가 76.1%를 차지했다. 그 중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부부는 38.1%로 전년 대비 3.1%포인트 증가했다. 그 외 아내가 연상인 부부는 17.9%, 부부가 동갑인 경우는 6%를 차지했다.

 

다문화 혼인을 한 외국인 또는 귀화자 남편의 출신 국적은 중국(1411건·6.9%)이 가장 많았고, 이어 미국 (1409건·6.9%), 베트남(798건·3.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아내의 국적은 베트남(5697명·27.9%)이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3546명·17.4%), 태국(2024명·9.9%) 등 순이었다. 

 

 

17개 광역시·도 기준 지역별 다문화 혼인 건수는 경기(6018건), 서울(3816건), 인천(1245건) 순으로 많았고, 세종(111건), 제주(362건), 울산(398건) 순으로 적었다.

 

지역별로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주(13.6%), 충남(12.9%), 전남(12.5%) 순으로 높았고, 세종(6.4%), 대구·부산(8.4%) 순으로 낮았다.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이혼(8158건)은 전년 대비 3.9%(305건) 증가했다. 다문화 이혼을 한 외국인 및 귀화자 아내의 출신 국적 비중은 중국(32.1%), 베트남(26.4%), 태국(4.7%) 순이었다.

 

다문화 이혼의 유형은 외국인 아내(48.5%), 귀화자(34.8%), 외국인 남편(16.6%) 순이었다. 전년대비 외국인 아내와의 이혼 비중은 0.4%p 증가했으며, 외국인 남편·귀화자와의 이혼 비중은 각각 0.2%p 감소했다. 다문화 이혼을 한 남편의 평균 이혼 연령은 50.3세, 아내 41.3세로 전년 대비 남편의 나이는 0.2세 증가했고 아내의 나이는 유사했다.

 

지난해 다문화 가정의 출생아는 1만2150명으로 전년(1만2526명) 대비 3%(376명) 감소했으나, 전체 출생 중 차지하는 비중은 5.3%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증가했다. 17개 광역시·도 기준 지역별 다문화 출생아 수는 경기(3533명), 서울(2042명), 인천(805명) 순으로 많았다. 전체 출생아 중 다문화 출생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충남(6.8%), 전북(6.6%), 전남(6.3%) 순으로 높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현대건설 "압구정2구역 조합원 100% 한강 조망·2000억원 투자"…하이엔드 랜드마크 미래모습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강남 한복판, 압구정2구역이 ‘조합원 100% 한강 조망’이란 전례 없는 청사진을 앞세워 국내 하이엔드 주거시장의 패러다임을 새로 쓰고 있다. 현대건설은 2025년 8월 발표한 마스터플랜에서 한강 조망권 확보를 위해 약 2000억원을 투자, 세계 1위 브랜드 ‘슈코(Schüco)’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 최대 14m의 하이 필로티, 파노라마 시야를 설계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조합원 全세대 ‘한강 뷰’ 실현의 구조적 혁신 전 세대를 한강 조망이 가능하도록 동(棟) 배치를 225도 파노라마 방식으로 설계했으며, 첨단 AI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 한 곳도 사각지대 없는 뷰’를 검증했다. 최저층 세대에도 시야가 열릴 수 있도록 기존 3~4m 필로티를 14m까지 대폭 확장한 ‘하이 필로티’ 구조를 적용했다고 현대건설 측은 밝혔다. 실제로 이 같은 초고층 설계와 필로티 구조, 주동 각도 조정은 단지 내 모든 가구의 한강 조망권을 보장하는 핵심 기술적 요소다. ‘슈코’ 시스템 창호, 실내 개방감의 글로벌 스탠더드 압구정2구역에는 세계적으로 명성 높은 독일 슈코( Schüco )사의 알루미늄 시스템 창호가 단지 전반에 도입된다. 슈코 창호

강남구, 재산세 징수율 1위 달성 "징수율 96.8%"…2025년 7월 정기분 재산세 3905억원 징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2025년 7월 정기분 재산세 징수율 96.8%를 기록하며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했다. 총 징수액은 390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1억원 증가했으며, 서울시 평균 징수율(95.3%)보다 1.5%p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강남구민의 높은 납세의식과 함께 구가 시행한 공감형 세무행정의 결과로 평가된다. 구는 납세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납부유예 ▲분할납부 ▲주택담보노후연금보증감면 등 다양한 납세편의 제도를 적극 홍보했다. 이로 인해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주택분 과세표준 상한제가 2년 연속 적용되면서 경감분이 올해 이월·반영돼 재산세 인상률이 높아진다는 점을 주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는 25개 동 주민자치위원회와 통장협의회를 통해 안내문을 배포하고 설명회를 열어 공감세정을 실현했다. 아울러 납기내 징수율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알림 서비스를 적극 활용했다. 전자고지 오류 및 반송분에 대해 카카오톡 모바일 고지서 5621건을 3차례 발송했고, 납부기한 직전에는 미납자 4만7050명에게 알림톡을 전송해 납부를 독려했다. 이를 통해 납부 지연으로 인한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조합장, 조합원 직선으로 선출해야…서울 대표 대단지, 민주적 절차 필수" 촉구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송파구(구청장 서강석)가 잠실주공5단지 조합장 선출 과정에서 조합장은 조합원 직선 방식으로 선출하도록 촉구했다. 잠실주공5단지 조합은 현 조합장에 대해 찬반투표 방식으로 연임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송파구에서는 3600세대를 6387세대로 재건축하는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조합원들의 지지와 민주적 정당성이 필수적이므로 조합장은 현 조합장에 대한 찬반투표 방식 연임이 아니라 조합원의 직선으로 선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잠실주공5단지는 오랫동안 조합장 선출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송파구는 지난 2022년 말 조합장 선거 당시, 조합원 직선으로 조합장을 선출하도록 촉구했다. 이를 통해 직선으로 선출된 조합장이 주민 지지를 바탕으로 건축심의 통과 등 주요 재건축 절차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 조합장 임기 만료 시점을 앞두고, 조합에서 찬반투표 방식으로 조합장을 선출하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송파구는 향후 사업시행계획인가와 관리처분계획인가 등 주요한 행정 절차를 앞두고 있는 잠실5단지에서 조합장이 경쟁 없이 찬반 방식으로 연임될 경우 민주적 정당성이 부족해 재건축 추진이 원활히 진행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랭킹연구소] 500대 기업 기간제 근로자 비중 순위…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최근 4년 새 1.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대동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순이었다. 이 중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3개사는 정규직보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다. 8월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및 기간제 근로자의 인원수를 조사한 결과 최근 4년간 이들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4%포인트 증가했다. 올 6월 기준 조사 대상 기업 334곳의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21년 6월에 비해 전체 임직원이 4만7482명(3.7%) 늘어난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0대기업의 연도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