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많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6.8℃
  • 서울 14.8℃
  • 맑음대전 13.0℃
  • 맑음대구 11.2℃
  • 맑음울산 12.7℃
  • 맑음광주 13.3℃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7.6℃
  • 구름조금강화 14.3℃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11.1℃
  • 맑음강진군 10.8℃
  • 맑음경주시 9.5℃
  • 맑음거제 14.5℃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정부 고위관료·국회의원 보유주식·주식부호 TOP20…삼성>애플>테슬라 順·안철수>홍철호>윤상현 順

정부 고위관료·국회의원도 '미장'…보유주식 상위 10개 중 절반이 ‘미국주식’
차관급 이상 308명+국회의원 300명 주식보유 현황 분석
55.1%(335명)가 본인 및 가족 명의…선호종목 삼성전자-애플-테슬라 순  
최고 주식 부호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2위는 홍철호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현직 차관급 이상 고위 관료와 22대 국회의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 중 선호종목의 절반은 미국 주식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의 55%가 본인 혹은 가족 명의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최고 주식부호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었다.

 

2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윤석열 정부 차관급 이상 고위 관료 308명과 22대 국회의원 300명의 재산공개 내역에서 주식 보유(본인 및 가족) 종목과 수를 분석한 결과 55.1%인 335명이 본인 또는 배우자, 자녀 명의 증권자산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총 재산은 1조8219억원으로, 1인 평균 약 30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 중 증권재산은 2993억원으로 16.4%를 차지했으며 1인 평균 약 5억원의 재산이 주식이었다. 

 

이번 조사는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고 제1호부터 지난 9월 27일 제11호까지의 공고를 참조해 현직 차관급 이상 고위 관료 중 본인, 배우자, 자녀가 상장주식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한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현직 고위관료 중 본인 또는 가족 명의의 주식을 보유한 사람은 59.4%인 183명이었으며, 보유하지 않은 고위관료는 125명(40.6%)이었다. 본인이 직접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고위관료는 87명(28.2%)이었으며, 가족 명의는 이보다 많은 96명(31.2%)이었다. 

 

국회의원 300명 중 주식을 보유한 사람은 전체의 절반이 넘는 152명(50.7%)이었다. 이 가운데 본인이 직접 보유한 의원은 55명(18.3%)이고 가족 명의는 97명(32.3%)으로, 고위관료와 마찬가지로 가족 명의의 보유 주식이 더 많았다. 여야로 보면, 여당의원 108명 중 65명(60.3%)이 주식 보유자였고 야당의원은 192명 중 87명(45.3%)으로 나와 여당의원 주식 보유 비중이 야당의원에 비해 15%포인트(p) 높았다.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고위관료와 22대 국회의원들의 본인 및 가족 수는 총 548명이었다. 이들의 선호종목을 분석한 결과 상위 10개 중 절반이 애플, 테슬라,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구글 지주회사) 등 미국주식이었다.

 

애플 주식을 보유한 이는 82명으로 총 주식수 3340주, 평가액은 10억6100만원(9월 17일 종가 기준)이었고, 테슬라는 72명이 3701주를 보유(11억2200만원)했다. 엔비디아는 40명이 906주(11억8400만원)를, 마이크로소프트는 33명이 1177주(67억1500만원), 알파벳은 32명이 914주(20억900만원)을 각각 보유 중으로 나타났다. 

 

국내외 주식을 망라해 가장 선호되는 종목은 236명이 보유하고 있는 삼성전자였으며, 총 보유주식수는 17만5821주로 지난 17일 종가 기준 104억9651만원이다. 삼성전자 주식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은 삼성전자 사장 출신의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서울 강남구 병)으로 본인 및 배우자와 자녀 명의로 7만2041주가 있다.

 
두 번째 선호 종목은 애플이었으며 테슬라가 3위였다. 다음으로 카카오(65명), 네이버(48명), 엔비디아, 현대차(36명),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LG에너지솔루션(24명) 순으로 10위권이 형성됐다.

 

 

조사 대상 중 개인 주식자산 순위 1위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으로, 안랩 주식 186만주의 가치 1281억원을 신고했다. 2위는 홍철호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으로 비상장회사인 ㈜플러스원의 주식가치가 219억원이었다.

 

3위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으로 본인 소유 삼성전자 주식(700주, 5490만원)을 비롯해 배우자 소유 상장(25억4700만원)·비상장(149억원) 주식자산 합계가 175억원이었다. 4위는 강은희 대구광역시 교육감으로 139억원(비상장 (주)위니텍 본인 186만9750주+배우자 3만주)이 신고됐다.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은 금강공업 4540주(2570만원)와 증여받은 비상장주식(127억3800만원) 등을 합친 128억원의 자산으로 5위에 올랐다.    

 

이어 6위는 류광준 과학기술부 혁신본부장(110억원)이었으며, 7위는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서울 강남구 갑, 99억원), 8위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89억원), 9위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 87억원), 10위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충남 천안시 갑, 55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