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선도 위한 전략적 투자와 기술 파트너십
엔비디아는 핀란드 통신장비 업체 노키아의 6G 기지국에 자사 칩을 공급하여 전력 효율성과 성능 향상에 나서며, 미국이 글로벌 6G 표준을 주도할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내 10억 달러 규모 지분 투자와 함께, 노키아의 2.9% 지분 확보를 통해 추진된다. 황 CEO는 "미국이 6G의 중심이 되도록 앞장설 것"이라며, 통신 인프라 확충을 통한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 의지를 내비쳤다.
자율주행·사이버보안 혁신도 함께 추진
엔비디아는 차량공유 플랫폼 우버와 파트너십을 맺고 자사의 자율주행 기술 '하이페리온'을 차량에 탑재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사이버보안 기업 크라우드스트라이크와 팔란티어와의 협업도 강화, 미래의 디지털 안전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 CEO는 "AI 발전이 안보와 사이버 위협을 증대시키고 있음을 인지하고, 관련 업계와 협력하여 안전성을 보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내 반도체 자립 및 글로벌 시장 재편
엔비디아는 최근 미국 내 GPU 대량 생산을 재개하며, "미국이 다시 반도체 강국으로 부흥하는 길목에 있다"고 강조한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슬로건과 맥락을 같이하며, 미국 제조업 회복과 글로벌 칩 공급망 안정화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특히, 황 CEO는 "우리는 미국에서 개발 한반도체를 전 세계 기술 리더십의 토대로 삼겠다"고 선언하며, 글로벌 경쟁 속에서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의지를 분명히 했다.
시장 반응과 향후 전망
이번 발표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전날 대비 4.5% 급등했고, 장중에는 주당 200.21달러까지 조기 상승세를 기록하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협력이 미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반도체·통신 시장 재편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이처럼, 엔비디아는 미국 정부의 전략적 투자를 바탕으로 AI, 6G, 반도체 등 핵심 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글로벌 정책 환경 변화와 산업 트렌드에 맞춰 첨단 기술 생태계 재편에 앞장서고 있다. 앞으로도 엔비디아는 미국 내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 확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