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골드만삭스 "AI 파트너십으로 엔비디아 목표가 210달러 상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 제임스 슈나이더는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기존 200달러에서 21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Investing.com, CNBC, Reuters, TipRanks, Fortune, MarketWatch, Wall Street Journal에 따르면, 이는 10월 3일(현지시간) 현재 엔비디아 주가 약 187달러 대비 약 12%의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슈나이더는 엔비디아가 오픈AI와 체결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주요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특히 2025년 9월 발표된 엔비디아의 오픈AI에 대한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모델에 반영해 2026년 실적에 상당한 상향 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엔비디아는 핵심 고객뿐 아니라 비전통적 고객으로부터도 추가 성장 기회를 모색 중이다.

 

전례 없는 AI 인프라 수요 촉진

 

골드만삭스는 엔비디아의 주요 파트너십이 GPU에 대한 수요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픈AI와의 협력은 최소 10기가와트에 달하는 AI 데이터센터 용량을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이는 수백만개의 엔비디아 GPU를 필요로 한다.

 

첫 단계는 2026년 하반기 도입을 목표로 하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이를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 평가했다. 또한 오라클이 오픈AI 지원을 위해 180억 달러의 부채 조달을 추진하는 등 관련 프로젝트도 시장에서 강력한 호응을 얻고 있다. 오픈AI 인프라 지출은 2026년에만 최대 75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순환 매출 논란과 평가

 

다만, 엔비디아의 투자 전략에서 “순환 매출” 우려가 제기된다. 엔비디아가 고객사에 투자하면서 해당 자금으로 다시 엔비디아 제품을 구매하는 구조가 형성되며, 공급자 겸 투자자라는 이중 역할이 기업 가치 평가에 혼란을 준다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 일부 애널리스트와 NewStreet Research는 엔비디아가 오픈AI에 100억 달러 투자 시 350억 달러 규모 GPU 매출 혹은 임대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하며, 이 같은 구조가 실제 AI 수요보다 과대평가된 수익 성장으로 비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 닷컴버블의 ‘매출 원형 돌림’과 유사한 현상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주식은 36건의 매수 추천과 평균 목표주가 216.5달러(15.39% 상승 여력)를 바탕으로 강력 매수 컨센서스를 유지 중이다.

 

시장 반응과 전망

 

엔비디아 주가는 2025년 들어 약 34% 상승했으며, 이번 투자 및 파트너십 발표 후 주가가 약 4% 급등하는 등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됐다.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차세대 AI 칩인 블랙웰과 2026년 출시 예정인 루빈(Rubin) 칩의 공개 시기와 중국 시장 매출 전망에 주목하고 있다.

 

빅테크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AI 분야에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갖추고 있으나, 투자자들은 순환 매출 우려와 밸류에이션 부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