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엔비디아, 시총 4조달러 ‘신화’ "뉴욕증시 사상 최고치"…AI 혁명이 바꾼 글로벌 증시 판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엔비디아가 2025년 7월 9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시에서 장중 사상 최초로 시가총액 4조달러를 돌파하며 글로벌 증시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이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존 빅테크를 모두 제치고 세계 상장사 중 처음으로 달성한 기록으로, 엔비디아가 ‘4조달러 클럽’의 문을 연 셈이다. 이날 엔비디아 주가는 장중 164.42달러까지 치솟았고, 종가는 162.88달러로 마감됐다. 시총은 장중 4조100억달러를 터치한 뒤 소폭 하락했으나, 시장에서는 조만간 4조달러 재탈환이 확실시된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AI 슈퍼사이클’이 이끈 초고속 성장…1년 만에 3배 점프


엔비디아의 시총 성장 속도는 가히 ‘초고속’이다. 2024년 2월 2조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같은 해 6월 3조달러를 넘어섰고 불과 1년 만에 4조달러 고지에 올랐다. 2023년 6월 1조달러 돌파 이후 1년 만에 시총이 3배로 뛴 것이다. 최근 3개월간 주가 상승률은 40%에 달하며, 2025년 들어서만 21% 넘게 올랐다. 10년 누적 주가 상승률은 무려 3만5000%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왔다.

 

뉴욕증시 3대 지수, 기술주 랠리 속 사상 최고치 경신

 

엔비디아의 ‘축포’에 힘입어 뉴욕증시 3대 지수도 동반 강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217.54포인트(0.49%) 오른 44,458.30으로 마감했다. S&P500지수는 37.74포인트(0.61%) 상승한 6,263.26로 마감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192.87포인트(0.94%) 뛴 20,611.34로 사상 최고치 마감했다.

 

S&P500과 나스닥 모두 연이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엔비디아는 S&P500 지수 내 비중이 7.3%로, 애플(7%), 마이크로소프트(6%)를 모두 앞질렀다.

 

 

AI 빅테크 동반 랠리…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메타도 1%대 급등


엔비디아의 기록적 상승은 AI 슈퍼사이클에 대한 기대감이 시장 전체로 확산된 결과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메타, 알파벳 등 시총 1조달러 이상 빅테크들도 모두 1%대 강세를 기록했다. 반면 테슬라는 최근 약세로 시총 1조달러 아래로 밀려났다.

 

글로벌 증시 영향력…‘초대형’ 위상


엔비디아의 시총은 캐나다와 멕시코 증시 전체를 합친 것보다 크고, 영국 상장사 전체 시총도 넘어섰다.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엔비디아가 차지하는 위상은 ‘초대형’ 그 자체다.

 

AI 혁명이 바꾼 세계 경제의 판도

 

엔비디아의 4조달러 돌파는 AI가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의 판도를 바꿨음을 상징한다. AI 인프라 수요 폭발, 기술주 랠리, 글로벌 증시 신기록 등 ‘엔비디아 효과’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빅테크 및 월가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이끈 AI 슈퍼사이클이 월가의 새로운 표준이 됐다”고 평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머스크 AI챗봇 ‘그록’, 히틀러 찬양·반유대주의 '파문'…머스크 “좌파 소스 의존 탓, 재교육”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의 챗봇 ‘그록(Grok)’이 아돌프 히틀러를 찬양하고 유대인 음모론을 노골적으로 반복하는 등 반유대주의적 답변을 쏟아내며 글로벌 사회적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BBC, CNN,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7월 8일(현지시간) 일제히 “머스크의 AI챗봇이 극단적 혐오와 음모론을 무비판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히틀러가 가장 적절”…반유대·극우 담론 노출 논란의 발단은 한 X(구 트위터) 사용자가 “최근 텍사스 홍수로 숨진 어린이들을 조롱하는 게시물에 20세기 역사적 인물 중 누가 가장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나”라고 질문한 데서 비롯됐다. 이에 그록은 “이렇게 사악한 반백인 혐오에 대처하려면? 아돌프 히틀러다.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는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답변해, 히틀러를 공개적으로 찬양하는 발언으로 직결됐다. 또 “누가 미국 정부를 통제하나”라는 질문에는 “언론, 금융, 정치에서 특정 집단(유대인)이 인구 비중 2%를 훨씬 초과해 과대표집돼 있다. 할리우드, 월가, 바이든 내각을 생각해보라. 통계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는 등 전형적인 유대인 음모론을 반복했다.

뇌는 포도당을 구별한다...KAIST, 비만·당뇨 치료의 단서 찾았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리의 뇌는 어떻게 장내에서 흡수된 다양한 영양소 중 포도당을 구별해낼까? KAIST 연구진은 이 질문에서 출발해, 뇌가 단순히 총열량(칼로리)을 감지하는 수준을 넘어 특정 영양소, 특히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식욕 조절 및 대사성 질환 치료 전략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서성배 교수 연구팀이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영균 교수팀, 생명과학과 이승희 교수팀, 뉴욕 알버트 아인슈타인 의과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배고픔 상태에서 포도당이 결핍된 동물이 장내의 포도당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선호하도록 유도하는 장-뇌 회로의 존재를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생물은 당, 단백질, 지방 등 다양한 영양소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기존 연구들은 장내 총열량 정보가 시상하부의 배고픔 뉴런(hunger neurons)을 억제함으로써 식욕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혀왔으나, 특정 포도당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장-뇌 회로와 이에 반응하는 특정 뇌세포의 존재는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뇌의 기능에 필수적인 포도당을 감지하고 필요한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