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황태자, 워런 버핏 넘어섰다…'4조 달러' 엔비디아 젠슨 황, 글로벌 부호 10위권 진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7월 엔비디아가 미국 상장사 최초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CEO 젠슨 황(Jensen Huang)도 글로벌 자산가 판도를 뒤흔들었다.

 

포브스와 블룸버그 등 주요 매체의 실시간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황의 순자산은 1400억~1510억 달러로,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을 앞질렀다는 수치가 발표됐다. 이는 2025년 한 해에만 약 280~290억 달러 이상이 늘어난 결과다.

 

AI가 만든 부의 신흥강자…엔비디아의 질주


엔비디아의 2025년 7월 시가총액은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첫 '4조 클럽'에 입성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약 3.75조 달러), 애플(약 3조 달러)을 따돌린 기록적 성과다.

 

젠슨 황의 엔비디아 지분율은 약 3.5~3.8%(8억~9.3억 주 수준)로, 최근 1년간 700억 달러에 상당하는 주식을 매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급등하며 자산이 크게 증가했다.

 

AI 반도체 시장 지배와 매출 폭증


엔비디아는 2025년 전세계 AI 반도체 시장에서 77%의 웨이퍼 점유율(Morgan Stanley 기준), 80~90%에 육박하는 AI 가속기 시장 점유율(William Blair, PatentPC 등)을 기록하고 있다. H100, B200, 블랙웰(Blackwell) 등 고성능 AI 칩은 오픈AI·메타(Meta) 등 글로벌 빅테크 데이터센터와 언어모델 학습의 사실상 표준이 됐다.

 

엔비디아 주가, 실적, 전망


2023~2025년 2년 사이 시총 1조 이던 회사가 4조 달러로 급성장했으며, 연매출 역시 1300억 달러로 4.8배 성장했다. 

 

2025년 증시에서 S&P 500 비중도 7.3%까지 확대, 단일 종목 기준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애널리스트들은 12~18개월 내 시가총액 5~6조 달러 돌파를 점치고 있으며, 평균 목표주가도 175달러, 매수 의견 비중이 과반을 넘는다.

 

워런 버핏과의 부의 궤적…’AI의 질주 vs 가치투자의 승부’


버크셔해서웨이 워런 버핏 회장의 2025년 순자산은 1420억~161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20년(675억 달러)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버핏은 최근 수년간 60~70억 달러 이상의 주식을 자선재단 등에 기부하며, 상속 및 사회환원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편, 젠슨 황은 2024~2025년 본인 보유지분 일부를 거래계획에 따라 매도했으나, AI·인프라 수요가 폭발하면서 재산이 감소하긴커녕 오히려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AI, 새로운 부의 구심점이 된 엔비디아


지난 30년간 게임 그래픽칩 제작사에서 AI 인프라 최강자로 도약한 엔비디아와, 그 혁신을 이끈 젠슨 황의 질주는 단순한 주가 상승을 넘어 기존 산업지형과 부의 피라미드를 통째로 뒤바꿨다는 평가다.

 

워런 버핏이 장기적 가치·절제된 기부라는 전통적 부의 모델을 이어가는 중이라면, 젠슨 황은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AI모델로 단숨에 자산 판도까지 흔든 인물이라는 점이 다르다. AI 혁신과 초격차 반도체를 등에 업은 엔비디아 신화는 앞으로도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젠슨 황, 가죽재킷 벗고 중국의상 입다…中에 손 내민 'AI 제왕'의 전략적 변화 "중국은 AI 동반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7월 16일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CISCE) 개막식에서 특유의 검은 가죽재킷 대신 중국 전통의상 ‘당복(唐裝)’을 입고 등장해 중국 현지와 글로벌 미디어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황 CEO가 중국 전통 의상을 공식 석상에서 착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시장에서는 그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상징적인 메시지를 던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세계 AI 시장 '빅바이어'에 파격 메시지…현장 반응 '후끈' 황 CEO는 이날 연설에서 “나는 중국인이다. 미국에서 성장했지만 나의 모국어(first language)는 중국어”라며 자신의 뿌리를 강조했다. 실제로 연설 서두와 마무리에서 중국어로 인사를 전했고,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계속 사업할 것"이라며 중국 시장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현장에서는 젠슨 황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큰 반향이 일었다. 중국 국영통신 신화통신(Xinhua),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 등 현지 주요 미디어들은 “중국 문화에 대한 존중이자,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한 선명한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엔비디아, H20칩 '재상륙'으로 4조달러 기업의 존재감

의사 국시까지 뚫은 국산 AI…LG ‘엑사원 4.0’, 하이브리드 혁신으로 글로벌 AI 시장에 '도전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EXAONE) 4.0’이 공식 공개된 가운데, 국내 최초로 의사 국가시험 등 6개 국가공인 전문가 자격증 필기 시험을 통과할 정도의 기본기와 전문성을 모두 겸비한 점이 가장 큰 화제가 됐다. 또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오픈 웨이트로 공개되어 학술·연구·교육 등 폭넓은 용도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내 첫 ‘의사 국시’ 통과…전문 AI로서 의미 엑사원 4.0은 국가의사시험, 변호사시험, 회계사, 노무사 등 6종의 국가공인 시험을 통과한 성적을 직접 공개하며 전문 AI로서의 기술력을 입증했다. 실제로 주요 국가자격증 시험에서 합격점 이상(국시 60%, 변호사시험 40% 등)을 받는 성취를 기록하여, "한국형 전문 AI의 시대"를 연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미국, 일본 등 해외 빅테크사의 주요 AI와 비교해도 높은 일상 언어 이해력(한국어·영어 등 멀티링구얼)과, 특정 직업군을 위한 문제해결 성능이 동시에 주목받았다.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 공개…개방과 협력의 AI 전략 LG는 엑사원 4.0의 오픈 웨이트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내궁내정] 슈퍼맨 신작에 숨겨진 11가지 놀라운 사실 (下)…데일리플래닛·저스티스 갱·주머니우주와 미니빅뱅·외계인이자 이방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7. 데일리플래닛 진짜 있는 곳?…허구와 현실, 그리고 헐리우드 속 상징 데일리플래닛(Daily Planet)은 DC 코믹스의 슈퍼맨 세계관에 등장하는 ‘가상의 신문사’다. 현실 세계에 동일한 이름의 주요 언론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캐나다에 ‘Chantham Daily Planet’이라는 지역 신문이 1922년까지 존재한 적이 있으나, 슈퍼맨의 데일리플래닛과는 무관하다. 데일리플래닛은 설정상 메트로폴리스(Metropolis)라는 가상의 대도시에 위치한, 미국을 대표하는 일간지다. 편집장 페리 화이트(Perry White), 기자 클라크 켄트(슈퍼맨), 로이스 레인, 사진기자 지미 올슨 등이 직원으로 등장한다. 건물

'트위터 창립자' 잭 도시, 햇빛 노출·비타민 D 맞춤앱 공개…"야외활동 시간따라 일일 비타민 D 합성량까지 예측"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트위터 공동 창립자이자 블록(Block) CEO인 잭 도시는 최근 iOS 베타 앱 ‘Sun Day’를 선보이며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 이 앱은 사용자의 위치, 피부색, 의류 노출 정도 및 실시간 자외선(UV) 정보를 종합해, 안전한 야외활동 시간과 일일 비타민 D 합성량까지 예측해준다. 주요 기능 및 작동 방식 사용자가 테스트플라이트(TestFlight)로 앱을 설치한 뒤 피부 타입(1~6단계)과 옷차림을 입력하면, 앱은 해당 위치의 UV 지수·구름 양·일출·일몰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온다. 실시간으로 맞춤 자외선 지수와 일조 정보를 제공한다. 또 피부색과 의류 노출 정도에 따라, 피부 화상 위험 없는 야외 체류 최대 시간을 알려준다. 특히 사용자가 야외로 나갈 때 ‘노출 시작’, 실내 귀가 시 ‘노출 종료’ 버튼을 누르면, 각 세션별 및 하루 누적 비타민 D 합성 추정치(국제단위, IU)를 기록·제공한다. 이 모델은 최신 의학 논문을 기반으로 개발된 다중 요인 알고리즘에 근거한다. 개인 수동 입력방식 채택과 한계점 다만 잭 도시는 X(前 트위터)에서 “자동 조도 감지가 아니라 순수하게 사용자가 노출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