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3 (일)

  • 맑음동두천 2.7℃
  • 맑음강릉 11.6℃
  • 구름조금서울 6.9℃
  • 맑음대전 4.0℃
  • 구름조금대구 3.5℃
  • 맑음울산 6.5℃
  • 구름많음광주 5.5℃
  • 맑음부산 10.5℃
  • 구름많음고창 2.9℃
  • 맑음제주 8.7℃
  • 구름조금강화 5.4℃
  • 맑음보은 0.9℃
  • 맑음금산 0.6℃
  • 구름많음강진군 2.4℃
  • 맑음경주시 1.2℃
  • 구름조금거제 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대만 간 이해진, 젠슨 황 만나 ‘AI 동맹’ 본격화…네이버·엔비디아 소버린 AI 협력 '논의'

이해진 네이버 의장, 컴퓨텍스 2025 기간 대만 방문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소버린 AI 등 협력 논의
네이버·엔비디아, 동남아·중동 등 맞춤형 AI 구축 위한 전략적 동맹 강화
AI 데이터센터, LLM 공동 개발 등 구체적 사업모델 협의
대만 현지 IT 기업과도 협력 확대…아시아 AI 리더십 확보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이 대만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나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의 새 국면을 예고했다.

 

이번 만남은 아시아 최대 IT 전시회 ‘컴퓨텍스 2025’와 엔비디아 클라우드 파트너 행사 ‘NPC 서밋’ 기간에 맞춰 이뤄졌으며, 네이버의 AI 전략과 엔비디아의 인프라가 결합하는 ‘소버린 AI’ 협력 논의가 핵심 의제로 부상했다.

 

네이버 경영진 총출동, 동남아 AI 시장 공략 본격화


이해진 의장은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등 주요 경영진과 함께 대만을 방문했다. 이들은 젠슨 황 CEO를 비롯한 엔비디아 경영진과 만나 동남아·중동 등지에서 각국의 데이터 주권과 규제, 문화에 맞는 ‘소버린 AI’ 구축 협력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미 2024년 6월 미국 엔비디아 본사에서 황 CEO와 ‘소버린 AI’ 협력의 필요성을 논의한 바 있으며, 이후 실무 협의가 10여 차례 이어져 왔다.

 

“AI 밸류체인 동맹”…엔비디아 GPU와 네이버 클라우드 결합


이번 회동에서 양사는 엔비디아의 GPU 인프라와 네이버클라우드의 서비스 플랫폼을 결합한 AI 데이터센터 사업, 거대언어모델(LLM)·애플리케이션 공동 개발 등 다양한 협업 시나리오를 구체화했다는 평가다.

 

네이버는 자체 초거대 AI 모델 ‘하이퍼클로바X’와 글로벌 AI 풀스택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공급을 통한 하드웨어 기반을 제공한다.

 

빅테크 업계에서는 “아시아권에서 네이버만큼 독자적 AI 클라우드 역량을 갖춘 기업은 드물다”며, 양사 전략적 제휴의 시너지가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대만 현지 기업과도 협력 확대…AI 프론티어 리더십 강화


네이버 경영진은 엔비디아 외에도 대만의 폭스콘, 이커머스 기업 모모 등 현지 주요 IT 기업들과도 만남을 갖고, 동남아 시장을 겨냥한 AI 생태계 확장과 데이터센터 사업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부터 클라우드, AI 서비스까지 전 영역의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각국 맞춤형 소버린 AI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을 적극 확대할 방침이다.

 

“AI 주권 시대, 글로벌 동맹 본격화”


이해진 의장은 이사회 의장 복귀 후 첫 공식 해외 일정으로 대만을 선택했다.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AI 주권 시대의 아시아 프론티어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본격적인 글로벌 동맹 행보에 나섰다”고 평가한다. 네이버는 내달 미국 실리콘밸리 방문과 신규 투자법인 ‘네이버 벤처스’ 설립 등 글로벌 AI·테크 투자에도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온수 수돗물은 중금속 덩어리, 요리는 반드시 냉수로"…WHO와 EPA 경고 "온수 수돗물, 끓여도 중금속 제거 안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온수 수돗물로 요리하거나 음용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내부 배관을 거치면서 배관 내에 고인 오래된 물과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관에서 녹아 나온 납, 구리,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온수 수돗물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이유는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깊다. 화학적으로 온수가 냉수보다 중금속을 더 빠르게 용해시켜 물 속 중금속 농도를 높인다. 특히 오래된 배관일수록, 금속 용출 위험은 더 커진다. 유해한 중금속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