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평균연봉이 3억원?…실리콘밸리 '꿈의 직장' 엔비디아

고속성장과 호실적에 기술 인재들 몰려
MS·애플·아람코 이어 세계 시총 4위
美 취준생 '가장 가고 싶은 회사' 등극

엔비디아 로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에서 '가장 취업하고 싶은 직장' '직원 평균연봉이 3억원이상' 이 화려한 수식어의 주인공이 바로 엔비디아다.

 

인공지능(AI) 반도체 선두 주자 엔비디아가 최근 탄탄한 실적을 바탕으로 주가가 치솟으면서 주식투자자들 뿐만 아니라 공대생과 엔지니어들 사이에서도 핫플레이스로  떠올랐다. 특히 높은 급여에 파격적인 복지까지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소문나면서 미국 실리콘밸리의 인재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지난해 직원의 절반 이상이 22만8000달러(약 3억원)의 연봉을 받은 것까지 알려지면서 엔비디아의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본사는 미국에서도 '꿈의 직장'으로 불리고 있다. 게다가 현재 800달러에 달하는 직원들 대상으로 지급되는 자사주는 고급 인재의 경쟁사 유출을 억제하는 요소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엔비디아 AI 시스템 구동에 필요한 칩을 독점 공급하는 안정성을 바탕으로 IT 인재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엔비디아 본사가 있는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캠퍼스가 기술 분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일자리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3만명 규모인 엔비디아 직원들은 자신들을 '엔비디아인(Nvidians)'이라고 부를 정도로 애사심이 높고 회사에 대한 자부심이 크다. 특히 엔비디아는 업계에서 독점적으로 AI 반도체 공급을 하고, 주가도 800달러까지 치솟으며 승승장구 중이다.

 

현재 엔비디아가 올린 1800개 채용 공고에는 AI, 딥러닝, 자율주행차량 분야에 기본급으로 14만4000달러~41만4000달러(약 1억9000만원~5억5000만원)를 지급한다고 적혀있다.

 

 

고속성장과 호실적덕분에 창업자인 젠슨 황 CEO의 인기도 높다. 익명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서 황 CEO는 96%의 지지율을 얻어 미국 기업 CEO 중 1위를 차지했다. 미국 취업준비생들도 엔비디아를 취업 1순위로 꼽고 있다. 구직 플랫폼인 핸드셰이크(Handshake)에 따르면 올해 1월 엔비디아의 인턴십 지원서는 1년 전보다 7배나 늘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다이애나 마르쿨레스쿠 텍사스대 전기 및 컴퓨터공학 교수는"엔비디아가 전 세계 AI 분야를 사실상 지배하고 있기 때문에 (예비 엔지니어인) 학생들에게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채용 회사 아티쿠스 그로스 대표 톰 케이스는 "엔비디아는 2014년의 페이스북과 같다"면서 "높은 주가와 고액의 연봉 등으로 실리콘밸리 인재들을 끌어들였던 과거 페이스북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는 2022년 11월 챗GPT 등장 이후 찾아온 생성형 AI 강세장을 타고 지난해 시총 1조 달러를 돌파했다. 올해 들어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의 뒤를 잇는 세계 시총 4대 기업으로 올라섰다. 최근 시총 순위에서 구글·유튜브 지주사인 알파벳, 미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닷컴을 모두 추월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빌 게이츠, 3년 만에 방한…‘275조원 백신 프로젝트’로 K-바이오와 글로벌 공익 동행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이자 세계적 자선가인 빌 게이츠가 오는 8월 21일, 3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는다. 이번 방한의 핵심 목적은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을 통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글로벌 백신 협력 확대에 있다. 게이츠 재단은 지난 20여년간 저소득 국가 백신 공급 및 의료 시스템 강화에 집중해 온 인류애적 모델이다. 게이츠 이사장은 방한 기간 중 국회, 정부 및 주요 바이오기업 등과 세부 일정을 조율하며, 한국의 백신·의료 플랫폼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지원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대표적 협력 후보로는 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SD바이오센서, 유바이오로직스 등이 꼽히며, 보건복지부와 국립보건연구원도 글로벌헬스 부문 관계자와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게이츠 재단은 2000년 GAVI(세계백신면역연합) 설립을 주도, 2023년 기준으로 1.1억명의 아동에게 백신을 보급해 세계 5세 미만 사망률을 23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였다. 게이츠가 내건 ‘마이크로니들 백신 전달·자가투여형 백신 개발’은 냉장 유통망과 전문인력 없이도 빈곤국에 백신을 대량 보급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K-바이오의 기술력과 글로벌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