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중국, 세계 최초로 '액체 메탄 로켓' 발사 성공···中 "스페이스X·블루오리진 제쳤다"

중국, 세계 최초 액체 메탄 로켓 ‘주췌 2호’ 발사 성공
中 랜드스페이스, ‘메탄+액체산소’ 로켓 발사

중국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에서 12일(현지시간) 발사된 액체 메탄 로켓 주췌(朱雀) 2호가 비행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신화통신]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중국이 세계 최초로 액체 메탄 로켓 발사에 성공했다.

 

12일(현지시간) 중국 신화통신에 따르면, 12일 오전 9시 중국 주취안 위성 발사 센터에서 발사된 액체 메탄 로켓 주췌(朱雀) 2호가 비행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주췌 2호는 지난해 진행된 첫번째 발사에서는 고배를 마셨지만 두번째 시도만에 성공을 거뒀다. 이번 발사를 성공시킨 것은 중국 민간 항공우주 기업인 란젠(蓝箭,LANDSPACE, 랜드스페이스)이다. 

 

랜드스페이스는 액체 연료를 사용한 로켓 발사에 성공한 두 번째 중국 민간기업이다. 앞서 중국 우주기업 베이징톈빙테크놀로지가 올해 4월 케로신과 액체산소를 추진제로 사용해 발사에 성공했다.

 

란젠우주항공이 최근 발사에 성공한 로켓은 메탄가스와 액체산소를 동력원으로 삼는 액체 메탄 로켓이다. 액체 메탄 로켓은 기존 로켓보다 오염 물질을 적게 배출하고 찌꺼기가 거의 남지 않아 차세대 로켓 연료로 각광 받고있다.

 

올해 발사에 실패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스타십과 렐러티비티스페이스의 테란1 모두 액체산소와 메탄을 사용했다.

 

일부 중국과 홍콩 언론은 랜드스페이스가 미국 스페이스X와 블루 오리진을 제쳤다고 보도했다. 중국 매체들은 발사 성공 소식을 전하면서 "최근 몇 년간 큰 주목을 받은 '액체 메탄' 실용화에 실질적인 첫 걸음을 내디뎠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 매체들은 "러시아, 인도, 유럽 등에서도 액체 메탄 엔진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왔지만 실제로 이를 엔진에 활용해 실용화하지는 못했고, 연구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있었다"고 보도했다.

 

실제 랜드스페이스의 메탄 로켓 발사 성공은 전 세계 우주 패권 경쟁에 유리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미국의 경제 전문 통신 블룸버그는 “미국과 중국이 우주 개발 경쟁을 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발사 성공은 중국에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평가했을 정도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