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조금동두천 5.3℃
  • 맑음강릉 11.2℃
  • 구름많음서울 4.6℃
  • 구름조금대전 8.4℃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1.3℃
  • 구름많음광주 9.3℃
  • 구름많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9.5℃
  • 흐림제주 12.1℃
  • 구름조금강화 4.5℃
  • 맑음보은 7.0℃
  • 맑음금산 8.8℃
  • 흐림강진군 10.0℃
  • 구름많음경주시 10.4℃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칼럼] '암호화폐 억만장자' 저스틴 선, 4년 만에 우주로…390억원 '통 큰 입찰'로 블루오리진 새역사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적 암호화폐 창업자 저스틴 선(35)이 블루 오리진의 뉴 셰퍼드 로켓에 탑승해 마침내 우주에 도달했다.

 

블루 오리진 공식 발표와 Space.com, Satnews, NextSpaceFlight 등의 보도에 따르면, 8월 3일(현지시간) 미국 서부 텍사스 발사장에서 이륙한 NS-34 미션은 10분간의 준궤도 여행으로 6명의 탑승객 모두에게 평생 잊지 못할 무중력 체험을 선사했다.

 

이로써 블루 오리진은 2021년 7월 첫 유인 비행 이후 단 4년 만에 75명의 우주인을 배출하며, 민간 우주관광의 새로운 역사를 썼다.

 

 

4년 만에 실현된 ‘우주소년’의 꿈…$28M 경매 낙찰 뒷이야기

 

저스틴 선은 2021년 블루 오리진 첫 유인 비행 좌석 오픈 경매에서 무려 2800만 달러(한화 약 387억원)를 써내며 만인의 이목을 끌었다. 당시 익명으로 낙찰자 신분을 감췄던 그는 같은 해 12월 신원을 공개했으나, 이듬해(2022년) 비행 일정이 번번이 연기되며 우주행이 좌절 위기에 놓였다.

 

결국 4년 만인 2025년 8월, 선은 다양한 국적과 이력을 지닌 5명의 동료와 함께 로켓에 동승했다.

 

이번 비행은 블루 오리진 뉴 셰퍼드 프로그램의 34번째 전체 임무이자, 14번째 유인 비행이다. 각각의 승무원들은 지구 상공 약 100km 카르만 라인을 넘어 잠시 ‘진정한 우주인’이 됐다. 5명의 승무원은 이번이 첫 우주경험이며, 제임스 러셀은 두 번째 비행에 성공했다.

 

블루 오리진, 75명 우주관광객 기록…수익은 미래세대 우주 꿈에 투자

 

올해 상반기까지 블루 오리진 뉴 셰퍼드를 통해 우주로 간 인원은 누계 75명(그중 5명은 두 번 이상 탑승), 임무 성공률은 100%다. NS-34 발사와 착륙 모두 완벽히 수행됐으며, 최고 고도에서 캡슐과 로켓이 분리된 뒤 낙하산으로 안전하게 착지했다.

 

우주관광객들은 카르만 라인(고도 100km) 돌파 후 수분간 허공에 물체가 뜨는 무중력 상태를 체험하면서 지구의 푸른 곡률을 조망했다.

 

선의 2800만 달러 낙찰금은 블루 오리진의 교육재단 ‘클럽 포 더 퓨처(Club for the Future)’ 및 전 세계 19개 우주 비영리 단체에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교육 지원을 위해 기부됐다. 해당 기금은 미래형 인재 양성 및 학생들의 우주 엽서 컬렉션 프로젝트 등 글로벌 교육 사업으로 이어졌다.

 

 

우주체험 후…"30년 꿈 이루었다, 다음 도전은 계속"


착륙 후 선은 “어릴 때부터 우주에 가는 것이 꿈이었다. 4년을 기다려 마침내 그 꿈을 이뤘고, 앞으로 더 많은 사람이 우주 경험을 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미션에서는 ‘To the Sun’ 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학생 및 팬들이 보낸 1000여개의 디지털 메시지도 함께 실려 의미를 더했다.

 

글로벌 ‘우주 관광’ 상업시대 가속…올해만 유인 7회

 

올해(2025년) 들어 블루 오리진은 7회의 유인 우주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2021년 제프 베조스 창업자의 직접 첫 우주행 이후, 민간 우주관광 시대가 본격화되며 다양한 배경을 지닌 전 세계 민간인이 우주선에 오르는 ‘우주 민주화’ 트렌드를 가속 중이다.

 

과거 상상 속에 그쳤던 ‘내가 우주에 간다’는 꿈은 이제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NS-34 탑승자들은 “우주에서 내려오니 지구가 왜 소중한지 알겠다. 우리의 도전이 계속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