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달에서 연료와 소재를 캔다"…블루 오리진 ‘프로젝트 오아시스’로 심우주 연료혁명 예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이 룩셈부르크 국가 우주청, GOMSpace, ESRIC 등과 글로벌 전략 협력을 본격화하면서 ‘프로젝트 오아시스(Project Oasis)’로 우주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알렸다.

 

Blue Origin and Luxembourg Partner on Oasis-1 Mission, Blue Origin 공식 보도자료, Luxembourg Space Agency 공식 보도자료, SpaceDaily, Blue Alchemist Technology, Blue Origin 공식 사이트에 따르면, 2025년 9월 공식 발표된 본 이니셔티브는 달을 심우주 과학‧상업 활동의 ‘자원 허브(Hub)’로 탈바꿈시키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내세웠다.

 

Oasis-1 임무: 달 자원 대탐사 및 체계적 지도화


‘오아시스-1’의 첫 임무는 소형 인공위성을 극저궤도(ultra-low orbit, 수십~수백 km 이내)에 투입해, 달 표면의 물 얼음(water ice), 헬륨-3, 희토류(rare earth), 귀금속(precious metals) 등 경제적·전략적 가치가 매우 높은 고부가가치 자원의 분포를 수십~수백 미터 해상도의 정밀지도 형식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극저궤도 운영 방식을 통해 전통적인 고고도 위성 궤도선이 제공하는 지도 해상도 한계를 뛰어넘는, 전례없는 고도·공간 데이터 정확도를 자랑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가장 주목할 만한 수치로, 블루 오리진은 “달 자원의 현지 활용(ISRU)로 심우주 임무 비용의 최대 90% 절감 효과”를 제시했다. 기존에는 연료, 자재 등 우주 건설·탐사에 필요한 대부분 자원을 지구에서 운반해야 했지만, 달의 자원을 직접 활용함으로써 향후 인류 우주활동의 경제성과 지속 가능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기술적으로는 중성자 분광법(Neutron Spectroscopy)으로 지하 1m까지의 물 얼음 농도 측정, 자기계(Magnetometer)로 금속 매장량 분석, 다중분광이미지(Multispectral Imaging)로 희귀 광물·헬륨-3 분포 지도화, 궤도 충돌(Controlled Impact) 실험 등 첨단 관측 방식을 통합 운용한다.

 

블루 알케미스트(Blue Alchemist) 기술과의 통합


블루 오리진은 달 레골리스(regolith, 미세 암반・토양)를 산소, 태양전지, 전력 케이블 등 우주 인프라 자원으로 직접 전환하는 ‘블루 알케미스트’(Blue Alchemist) 시스템 기술을 연계 적용할 예정이다. 이 기술은 2025년 9월 ‘중요 설계 검토’(Critical Design Review)를 성공적으로 통과했으며, 2026년 이후 실제 모의 달 환경 내 자율 실증에 투입될 예정이다.

 

전략적 산업 협력: 룩셈부르크의 우주허브化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내 ‘우주 자원 센터 오브 엑설런스(SRCE)’와, 2025년 6월 블루 오리진이 설치한 룩셈부르크 국제 본부가 공동 개발 주체로 구성된다. 룩셈부르크가 우주자원법(2017년 세계 최초 사유화 지원법 제정)과 유럽 내 산업 생태계 육성 전략을 바탕으로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한 점이 주목된다.

 

스타트업 스타인 룩셈부르크 내 공급망/연구 생태계와의 결합으로, 향후 달 표면 내 영구정착지를 위한 건축자재 현지조달, 추진제(수소·산소) 생산 등 다양한 우주 인프라 활용 모델이 실현 가능해진다.

 

경제효과와 미래 시너지


실제 NASA의 VIPER 로버(달 남극 수자원 탐사용 로버) 운송(2025년 9월, 약 1억9000만달러 계약) 및 블루문(Blue Moon) MK1 착륙선 시범 임무(2025년 말), 2027년 달 남극 VIPER 착륙 등도 이뤄진다. 달에서 생산하는 수소·산소 연료는 외부 화성·소행성 임무의 중간 급유와 재사용형 우주선 운영 등, 심우주 산업의 본질적 비용구조 혁신을 가져올 핵심 인프라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