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중국 800만원대 휴머노이드 로봇 판매"…유니트리 R1,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빅뱅'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로봇기업 유니트리(Unitree)가 2025년 7월 상하이 세계 AI 컨퍼런스에서 선보인 5900달러(약 800만원대) 휴머노이드 로봇 ‘R1’이 전 세계 로봇업계의 판도를 크게 흔들고 있다고 New York Post, South China Morning Post, ChinaTalk, Humanoid.Guide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4피트(121cm) 신장, 25kg(55파운드)으로 성장기 아동과 비슷한 크기에, 가격은 경쟁 로봇 대비 최소 3분의 1 수준의 ‘혁신적 파괴력’으로 시장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첨단 AI·26관절…재주넘기부터 권투까지

 

R1은 26개의 관절(자유도)과 유니트리 자체 개발 스마트 액추에이터를 탑재, 카트휠, 킵업(손 없이 누운 상태에서 일어서기), 핸드스탠드, 복싱 등 복잡한 아크로바틱 동작을 자연스럽게 소화한다.

 

실시간 얼굴·음성 인식은 물론, 쌍안 카메라(220도 FOV)와 4마이크 어레이, 8코어 CPU+GPU, Wi-Fi 6, 블루투스 5.2 등 최신 사양으로 인간-로봇 상호작용(HRI)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배터리는 약 1시간 실사용이 가능하며, 핫스왑 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하다.

 

 

"테슬라 가격의 1/4, 보스턴다이내믹스 1/20”…로봇시장 게임체인저될까


유니트리 R1의 5900달러라는 최저가는 글로벌 풀사이즈 휴머노이드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가격 혁신’이다. 


R1은 전통적인 연구·산업영역에서 벗어나 일반 개발자·교육기관·테크 마니아까지 시장을 확장할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즉 “모든 가정과 사무실에 로봇을”이라는 유니트리 CEO 왕싱싱의 비전은 피지컬 AI 확산 전략에 부합한다.

 

반면 부정적인 부분 우려도 제기됐다. 실제 일상의 도움 기능(밥 만들기·가사)이 아닌, “재주 부리기·엔터테인먼트”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손가락 조작력 부족, 약 1시간 배터리 등도 현실적 장애이다. 레딧(Reddit) 등 관련 SNS 커뮤니티에서는 “아침을 만들어줄 수 있니? 아니, 밥 대신 재주넘기를 해 보겠다고”는 반응이 상징적이다.

 

 

‘출시일 미정·품질 변수’…단계적 양산 시나리오


R1은 현재도 활발히 개발·테스트 단계이고, 공식 판매 일정이나 안전성 인증 등은 확정되지 않았다. 현재 유니트리는 기존 공식 대리점 및 B2B 유통채널을 기반으로 단계별 출시(교육·연구→개발자→소비자) 전략을 구사할 예정이다.

 

하드웨어·제조 최적화가 완료될 때까지 시장 반응을 주시하며 실제 가격 실현과 후속 모델 스펙(손·센서 등)을 조정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uturology 등 몇몇 유통사가 사전 유통 협상에 나선 상황이다.

 

중국 유니트리의 휴머노이드 로봇 R1의 등장과 함께 전 세계 로봇 시장에서는 로봇 대중화와 규모의 경제 실현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동시에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핸즈온’ 경험, 안전성, 내구성 등 실질적인 수요와의 괴리가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차이는 단순한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R1과 같은 베타 테스트 단계의 로봇들이 계속해서 발전하여 실제 서비스형 로봇—예를 들어 청소, 요리, 돌봄 등 일상 생활에서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로봇—으로 진화할 경우, 로봇 산업 전반에 걸쳐 차세대 혁신적인 변화가 촉발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로서는 R1이 가격 면에서 소비자들에게 ‘가성비 쇼크’를 안겼지만, 동시에 실질적인 활용 면에서는 ‘실속 논란’이 함께 공존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앞으로 R1 및 유사 제품들의 소프트파워 향상과 하드웨어 업그레이드가 로봇 시장에서 진정한 변혁을 이끌어낼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