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8월 18일(현지시간) 미국과 중국 간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반도체 수출 통제가 중국의 AI 발전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CNBC, AFP, 블룸버그의 보도와 오픈AI 공식 발표에 따르면, 그는 기자 간담회에서 “나는 중국이 걱정된다”며 중국의 AI 추론 능력 및 연구·제품 개발 속도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트먼 CEO는 “미국과 중국 간의 AI 경쟁은 단순히 누가 우위를 점했느냐를 가르는 문제가 아닌, 훨씬 복잡하고 다층적인 쟁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중국이 추론 역량 면에서 미국을 빠르게 따라잡거나 앞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면서, AI 연구·제품 개발 등 다양한 측면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며 신중함을 강조했다.
미국의 핵심 무기인 반도체 수출 통제 정책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견해를 보였다. 올트먼은 “GPU 등의 고성능 칩 수출 감소가 애초에 AI 기술 발전을 막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사람들이 직접 반도체 공장을 세우거나 우회 통로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단 하나의 조치를 통해 전체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우며, 쉬운 해답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연방정부 움직임과 관련,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엔비디아의 저사양 AI 칩 ‘H20’ 중국 판매를 4월 금지했다가 최근 해제했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선트는 H20 칩이 첨단 칩보다 4~6단계 성능이 낮아 국가안보에 위협이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엔비디아와 AMD는 중국 수출 허가를 받는 대가로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는 계약을 체결한 사실도 알려져,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경제적 복잡성을 보여준다.
올트먼 CEO는 중국의 AI 기술 발전이 오픈AI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시인했다. 오픈AI가 그간 거부해 온 완전 오픈소스 모델 개방 정책을 바꿔 최근 ‘오픈 웨이트(Open Weight)’ AI 모델 2종을 공개한 배경에 중국에서 개발된 딥시크(DeepSeek) 등 오픈소스 경쟁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그는 “만약 이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면 세계 AI 생태계가 중국산 오픈소스 모델을 중심으로 재편됐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세계 AI 시장 및 산업 전문가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CNBC, 블룸버그 등 다수 출처를 종합해 “중국 AI 혁신 역량이 미국과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으며, 반도체 공급망 통제와 기술 수출 제한만으로는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