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올트먼의 경고 "AI 목소리, 은행을 뚫는다"…오픈AI 경고에 금융권 '비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의 아버지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으로 인한 '사기 위기'(fraud crisis)를 강력 경고했다.

 

7월 22일(현지시간) 미국 CNN 보도에 따르면, 오픈AI의 샘 올트만 CEO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회의에서 "AI가 인간의 목소리를 완벽하게 복제해 구식 인증 방식을 무력화시키고 있어, 은행권은 사상 초유의 사기 위기를 맞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전했다.

 

그는 "여전히 음성 프린트를 인증 수단으로 받아들이는 금융기관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두렵다"며, "AI가 이 인증법을 완전히 무너뜨렸다"고 일갈했다.

 

AI 음성인증, 99% 무력화…금융 보안 혁신 '촉구'

 

최근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 연구진은 AI 딥페이크 기술로 기존 음성 인증 시스템을 6회 시도만에 최대 99% 확률로 뚫을 수 있음을 입증했다. 심지어 3초 미만의 음성 샘플만 있어도 정교한 목소리 복제가 가능해졌다는 점이 본질적인 위험으로 지적받고 있다. 실제로 AI 음성 복제 기술은 이미 원격은행, 콜센터 등에서 쓰이던 1세대 음성 인증 방식을 빠르게 시대착오적으로 만들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 목소리는 현실과 점점 구분이 불가능해지고 있다. 이제 음성 인증은 더 이상 안전장치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미국 은행 91% "음성 인증 재검토 중"…업계 포기선언 속출

 

AI 딥페이크 사기 위기가 본격화되면서, 미국 91%의 은행이 '고객 음성 인증' 절차를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는 바이오캐치(BioCatch)의 보고가 나왔다. 이미 10만달러 이상의 피해를 본 사례가 23%를 넘어서며, 매번 100만달러가 넘는 손실을 경험했다는 금융기관도 증가추세다.

 

컨슈머리포트는 기자들이 불과 수초짜리 AI 음성 복제로 주요 은행 시스템을 손쉽게 뚫는 데 성공했다고 밝혀 파장이 크다.

 

딥페이크 AI 사기…'2027년 400억달러'로 3배 급증 전망

 

딜로이트와 벤처비트 집계에 따르면, 미국에서 AI와 딥페이크가 수반된 금융사기 피해액은 2023년 123억달러에서 2027년 400억달러(약 54조원)로 3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2023년에는 딥페이크 공격이 전년대비 10배 이상 급증하는 등 AI음성·영상 기반 사기 산업이 이미 폭발적으로 확장 중이다.

 

글로벌 규제도 '공동대응' 시동


올트먼의 발언 직후 연준의 미셸 보우맨 감독 부의장은 "이 분야는 중앙은행이 민간과 파트너십을 모색해야 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 미국 정부와 연준은 AI·딥페이크 사기 대응을 위한 규제와 산업 협업 채널 구축에도 곧 착수할 전망이다.

 

"AI 시대, 은행 인증은 새 판이 필요하다"


딥페이크 AI 사기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금융업계는 이제 구형 인증 기술의 전면 개편이 불가피해졌다. 샘 올트먼 CEO는 "AI가 이미 구식 보안 장치들을 완전히 무력화시켰다"며 "은행도, 사회도 지금 행동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미래 금융 시장의 신뢰와 안전을 위해, 지금 은행은 '음성'만 믿는 보안 생태계에서 완전히 벗어나야 할 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구글, 법정에서 '오픈웹 빠르게 쇠퇴' 인정…데이터로 본 점유율·트래픽·규제 압박 '빨간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구글은 최고 경영진이 수개월간 내놓았던 공개 입장과 모순되는 놀라운 시인을 했다. 9월 5일(현지시간) 늦게 제출된 법원 서류에서, 구글은 "오픈 웹이 이미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고 공식 인정했다. 이는 지난 수개월간 임원진이 줄곧 외쳐온 '웹 생태계 번창' 담론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영상적 전환점이 도래했다는 분석이다. seroundtable, press Gazette, Webpronews에 따르면, 구글의 법적 대응 문서 5페이지에는 "사실 오늘날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으며, 원고 측의 매각 제안은 그 쇠퇴를 가속화해 현재 오픈 웹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퍼블리셔들에게 해가 될 것입니다"고 명시됐다. 법정 진술과 임원진 발언의 모순 구글은 미국 법무부의 광고기술 매각 요구에 반박하며,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고 매각 강제 조치는 웹 악화만 가속화할 것"이라고 서류에 명시했다. 반면, 2025년 5월 순다르 피차이 CEO는 "구글이 지난 2년간 웹페이지 크롤링량이 45% 증가했다"고 밝히며 "웹은 사라지지 않고 확장 중"이라 했다. 구글 검색 담당 부사장 닉 폭스 역시 "웹은 번성 중"이라고 자신

[빅테크칼럼] "억만장자·톱배우, 세계 지도자까지 ‘불멸산업’에 17조 베팅"…인류 150세 시대 현실화?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9월 3일 중국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불멸에 이를 수 있다”, “인간이 15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장수 산업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 관심으로 떠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부터 할리우드 스타, 그리고 글로벌 정치 지도자까지 전례 없는 규모로 장수 산업에 베팅하며 ‘불멸(immortality)의 꿈’을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25년간 이 분야에 투입된 투자금액은 약 125억 달러(한화 17조원)에 달한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해 비즈니스 인사이더, 타임, 로이터등의 글로벌 자료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대표적 투자자로는 팔란티어의 피터 틸,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이 꼽힌다. 틸은 12여개 기업을 통해 장수 관련 산업에 7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올트먼은 세포 노화 역전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레트로바이오사이언스에 1억8000만 달러를 쏟아부었다. 이 밖에도 구글의 에릭 슈밋, 조 론스데일, 그리고 바이오 기업 뉴리미트 등에는 억만장자 9명 이상이 2억 달러 이상을 모았다. 전 세계적으로 200여개 이상의 장수 스타트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