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샘 올트먼의 월드코인, ‘월드’로 리브랜딩… “전자여권으로 인증가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창립한 스타트업 월드코인이 ‘월드’로 간판을 바꾸고 서비스 확산에 속도를 낸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월드코인 개발사 ‘툴스 포 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TFH)’는 이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어 뉴 월드(a new world)’ 행사를 열고 이같이 발표했다.

 

올트먼은 이날 기조 연설에서 “인공지능(AI)을 확장하며 규모가 곧 품질인 경우가 많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아직 전 세계 인구 99.9%가 월드코인에 가입하지 않은 만큼, 모든 사람을 위한 인프라 구축으로 전 세계적으로 규모를 확장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고 싶다”며 월드코인 생태계 확장 배경을 설명했다.

 

TFH는 올트먼이 알렉스 블라니아와 함께 창업한 재단이다. TFH는 지난해 7월부터 월드코인이라는 가상자산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오브(Orb)’ 장치로 실제 사람임을 판별한 후 개인 홍채 데이터를 수집해 블록체인에 연결한 뒤 ‘월드 ID’를 생성해 일정량의 코인을 준다. 이 ID로 암호화폐 지갑 ‘월드 앱’에 월드코인을 보관할 수 있다. TFH에 따르면 2023년 7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로 약 690여만명이 월드 ID를 만들었다.

 

특히 앞으로는 홍채가 아닌 여권 정보로도 인증이 가능해진다. 월드코인 자체 블록체인이 구축되는 등 월드코인 생태계도 확장되며 정식 명칭은 ‘월드’로 바뀐다.

 

근거리 무선 통신(NFC)이 지원되는 전자 여권을 월드 앱에 저장하면 코인을 받을 수 있다. 홍채 인식 없이 가입할 수 있게 된 것.

그동안 '홍채인식'방식이 개인정보 수집 논란이 일며 미국에선 도입이 막혔으며, 올해 초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운영이 중단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도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으로 과징금이 부과됐다.

 

새로운 버전의 오브도 선보이며 확산에 속도를 낸다. 기존 대비 약 5배 향상된 인공지능(AI) 성능을 갖춘 엔비디아 로보틱스용 칩 젯슨을 탑재했다. 오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카페 같은 소매점에도 오브를 설치하고, 피자를 주문하듯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오브를 배달받는 시스템도 도입할 예정이다.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고, 사람과 AI를 구분해 온라인 딥페이크와 사칭을 방지하는 ‘월드 ID 딥 페이스’ 기술 도입도 소개했다.

 

한편 미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블라니아 공동 창업자는 "오픈AI와 월드는 별개"라면서도 월드코인과 챗GPT간 통합 가능성에 대해 부인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샘 올트먼, '머지랩스'로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AI 활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와 정면 경쟁을 벌일 새로운 벤처기업 '머지 랩스(Merge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총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 테크크런치, 쿼츠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지 랩스는 현재 약 8억5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다수 투자금은 오픈AI의 벤처팀이 부담할 예정이다. 올트먼은 일상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후원자로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머지 랩스는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축, 인간의 뇌와 기계를 더욱 원활하고 고도화된 방식으로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뉴럴링크가 2016년 창립된 후 첨단 뇌 이식 칩을 개발해 주로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머지 랩스는 덜 침습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AI를 적극 결합해 뇌 신호 해독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뉴럴링크는 최근 60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와 함께 이미 인간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중증 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