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일론 머스크의 xAI, 100억 달러 자금 조달 완료…AI 슈퍼컴퓨터 ‘콜로서스’ 확장 가속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업 xAI가 최근 100억 달러(약 13조6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고 CNBC,  Cointelegraph, Bloomberg 등의 해외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번 투자 유치에는 채권 및 대출(50억 달러)과 전략적 지분 투자(50억 달러)가 포함됐으며, 모건스탠리가 주도했다. 조달 자금은 AI 모델 고도화, 데이터센터 확장,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 등 xAI의 공격적 성장 전략에 투입된다.

 

콜로서스 슈퍼컴퓨터, 세계 최대 GPU 클러스터로 확장


xAI는 지난해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콜로서스(Colossus)’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 이 시설은 초기 10만개의 엔비디아 GPU로 가동을 시작했으나, 2025년 5월 머스크는 CNBC 인터뷰에서 “콜로서스에 이미 20만개 GPU를 설치 완료했고, 향후 100만 개까지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올해 초 멤피스 인근 100만 평방피트(약 9만3000㎡) 부지를 8000만 달러에 추가 매입했다. 콜로서스는 현재 AI 훈련용 슈퍼컴퓨터로서 세계 최대 규모로 자리매김 중이다.

 

자금 조달 구조와 투자자 반응

 

이번 자금 조달은 50억 달러의 고금리 채권(최대 12.5% 이자율)과 50억 달러의 전략적 지분 투자로 구성됐다. 일부 채권은 GPU 등 자산을 담보로 발행됐으며, 투자자들은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간의 정치적 갈등, xAI의 재무 상태 등을 이유로 높은 수익률을 요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건스탠리는 “글로벌 주요 채권 투자자들이 초과 청약에 나섰다”고 밝혀 머스크의 AI 비전에 대한 시장 신뢰를 확인했다.

 

그록(Grok) AI와 xAI의 성장 전략


조달 자금은 x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 ‘그록(Grok)’ 고도화와 인프라 확장에 집중된다. xAI는 2025년 2월 Grok3 모델을 출시했으며, X(구 트위터)와의 통합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학습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머스크는 “Grok의 성능과 확장성은 경쟁사(OpenAI, Anthropic 등)를 앞설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재무 구조와 시장 평가

 

xAI는 2024년 60억 달러 투자 유치 당시 50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고, 2025년 3월 X(트위터)와의 합병 후 800억 달러로 기업가치가 상승했다. 이번 100억 달러 조달로 자금력은 더욱 강화됐으나, 월 10억 달러에 달하는 공격적 투자(‘현금 소각’)와 고금리 채권 구조로 인해 재무적 리스크도 상존한다는 지적이 있다.

 

머스크는 “블룸버그의 현금 소각 논란은 과장”이라며, xAI의 성장성과 수익성에 대한 자신감을 거듭 강조했다.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 본격화


이번 xAI의 대규모 자금 조달은 오픈AI(올해 400억 달러 조달, 기업가치 3000억 달러), 앤트로픽(기업가치 600억 달러 돌파) 등과 함께 글로벌 AI 주도권 경쟁이 한층 가열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xAI는 콜로서스 슈퍼컴퓨터, Grok LLM, X(트위터)와의 데이터 통합 등 차별화된 전략으로 ‘AI 슈퍼파워’로 도약을 노리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