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가 테슬라와 스페이스X CEO 일론 머스크의 회원 자격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었지만, 결국 징계나 회원자격 박탈 없이 사태를 마무리했다.
회원 탈퇴 의향을 머스크에게 타진하는 전례 없는 조치까지 나왔으나, "왕립학회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결론 아래 징계 절차는 공식 폐기됐다.
사건의 전말: “DOGE 행보에 과학계 흔들”
머스크는 2018년 우주산업과 전기차 분야의 혁신 성과를 인정받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2024년 트럼프 행정부 산하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서 미국 내 과학연구비 수십억 달러를 삭감하고, 학계 검열 논란에 연루되면서 학회 내부에서도 반발이 불거졌다.
영국 BBC에 따르면, 최근 9개월 동안 수백명 과학자가 머스크의 연구비 삭감을 ‘과학계에 대한 직접 공격’으로 규정하며 공개적으로 징계를 촉구했다.
‘징계 촉구’ 서명 운동, 두 명의 석학은 탈퇴 결행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의 스티븐 커리 명예교수가 주도한 공개서한에는 3400명 이상의 과학자와 학자, 60여명의 현직 회원까지 동참해, “머스크의 언행이 학회의 윤리강령과 가치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노벨상 수상자와 AI의 대가로 알려진 제프리 힌튼 교수도 머스크의 퇴출을 지지했다. 항의의 표시로 옥스퍼드대 도로시 비숍 교수 등 최소 두 명이 아예 학회를 탈퇴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정치적 판단은 과학에 독”… 징계 처분은 ‘없던 일’
올해 3월 3일, 회원 150여명이 비상 소집된 회의에선 징계 문제를 놓고 ‘날 선 토론’이 이어졌지만, 결국 진행 중지가 선언됐다.
에이드리언 스미스 학회장은 전체 이메일에서 “회원의 정치적 발언을 징계하는 것은 학회의 존재 목적과 과학계 전체에 오히려 해를 끼친다”며, “징계 절차는 시작하지 않는다”고 공식 밝혔다.
실제로 왕립학회에서 회원이 제명된 사례는 지난 150년간 단 한 번(루돌프 라스페, 19세기)이었다. 대부분의 회원들도 징계가 선례가 될 경우, 인종차별·성차별 등 다른 문제성 회원에까지 ‘연쇄효과’가 미칠 수 있음을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막: 서한 통한 탈퇴 유도, 머스크 “별다른 답변 無”
이례적으로 차기회장 폴 너스는 올 5월, 머스크에게 “과학을 지키고 증진하는 사명을 다하지 못할 경우 회원 잔류를 재고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공식 서한을 보냈다. 그러나 머스크는 이에 대해 “역사만이 심판자”라는 발언 외에 구체적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학회 대변인도 “머스크 회원 자격은 유지”라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
여진: “행동강령 무력화” vs “과학 독립성 방어”
일부 학계에선 “킹메이커·부자라서 용인한 전형적 ‘사이언스 왕조’의 민낯”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커리 교수는 “왕립학회는 머스크에게 ‘회원 박탈 가능성’을 분명히 밝혔어야 했으며, 행동강령조차 지키지 못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반면 스미스 회장은 “회원의 정치적 발언까지 징계하면 더 큰 논란과 혼란만 초래한다. 과학계 독립성과 다양성, 학회의 장기적 이익을 위해 내린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결론: ‘과학계 파워’ 시험대 오른 왕립학회
머스크 논란은 왕립학회 364년 역사상 유례없이 공개적이고, 대립적인 회원 징계 논의였다. 3400명 과학자와 다수 회원들이 연대해 징계를 촉구했지만, 학회는 “정치적 판단은 독”이라는 논리로 징계를 스스로 봉쇄했다.
과학계 내부에서도 “이대로는 행동강령이 무력화된다”는 문제제기가 이어지고 있다. 머스크는 당분간 명예로운 회원 타이틀을 유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