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슈퍼파워 텍사스의 역설" 미국서 가장 재정 어려운 주 1위…美 최고 성장주, 재정파탄 1위 '오명'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미국 전역에서 가장 ‘재정적으로 곤란한 주’ 1위는 놀랍게도 텍사스가 차지했다. 글로벌 경제전문 사이트 WalletHub의 최신 분석에 따르면, 텍사스는 전체 50개 주 중에서 부채 패턴, 신용 점수, 연체 및 파산 등 핵심 재정 건강 지표 전반에서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고 Business Insider, CNBC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텍사스 주민들 중 무려 7.1%가 ‘곤란한 계좌’(유예 또는 상환 연기된 계좌)를 보유하고 있고, 2025년 1분기 기준 평균 신용 점수는 전국에서 9번째로 낮다. 특히 비즈니스가 아닌 개인 파산 신청 증가율은 2024년 3월 대비 22% 급증하며 6위에 올랐다.

 

WalletHub 분석가 칩 루포는 “텍사스는 2025년 1분기 기준, 전국 9번째로 낮은 주민 신용 점수, 1인당 유예/연기 계좌 3위라는 점에서 타주 대비 심각한 재정 곤경을 겪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남부를 휩쓴 ‘금융스트레스 팬데믹’


이같은 상황은 텍사스만의 문제가 아니다. 상위 10개 재정 곤란 주 중 8곳이 남부에 몰려 있고, 상위 5위에는 플로리다, 루이지애나, 네바다, 사우스캐롤라이나가 포함됐다. 가장 재정적으로 건강한 주는 하와이, 버몬트, 알래스카 등 비교적 북부·서부 및 외곽에 분포한다.

 

“GDP 세계급인데, 왜 주민은 빚더미?”…텍사스의 경제적 역설


텍사스는 2023년 기준 GDP 1조8800억 달러로 미국 내 2위, 세계 주요 국가들과 맞먹는 경제 규모와 성장률을 자랑하는 주다. 그러나 ‘매출 성장=주민 풍요’라는 공식은 깨졌다.

 

텍사스의 평균 신용점수는 전국 평균 715(2025년 기준)에 못 미치는 680~695점으로 전국 47위 수준이다.

 

평균 부채 규모(2024년 기준) 역시 신용점수 보유자 1인당 5만7900달러로 국가 평균보다 3800달러 적지만 산재한 부채 형식과 연체 문제가 심각하다.

 

주택담보대출 비중도 문제다. 텍사스 가계부채의 64.4%가 주택담보대출로, 고정금리 변동 및 부동산 가격 압박에 더 취약함을 보여준다.

 

그래서 파산도 급증추세다.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해 미국에서 6위를 기록했다.

 

전국 도시 중 ‘최악’…휴스턴, 금융곤란 메트로폴리탄 1위


도시별로 보면, 휴스턴이 미국 100대 도시 중 주민 재정 곤란률 1위를 기록했다. 휴스턴 주민의 9% 이상이 연체 또는 유예 계좌를 보유, 미국 메이저 도시 중 최악의 금융위기 도시로 볼 수 있다.

 

주민 체감 위기…검색어가 보여준 텍사스인의 불안


텍사스 주민들은 실제로도 ‘대출’ 검색어 전국 5위, ‘부채’ 관련 검색 13위에 오르며 긴박한 재정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몰두하고 있다. 이는 주민 스스로 이미 막대한 부채를 체감하며 적극적으로 해법을 찾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제 성장=주민 풍요” 공식 붕괴…‘가계 취약성’ 정책적 해법 시급


전문가들은 “텍사스의 괴리는 주 차원의 성장지표만 앞세운 정책 대신, 소득 격차 해소, 금융교육 및 사각지대 지원 등 ‘구조적 가계안정’ 중심 정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

 

한편 WalletHub 연구를 비롯해 다양한 연구 기관들은 상환 유예 등 임시 방편만으로 악순환을 끊을 수 없으며, 이자가 계속 불어나 오히려 구조적 재정압박이 심화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WalletHub 분석가 칩 루포는 “곤경의 악순환에서 벗어나기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정확하고 지속적인 소득지원, 금융환경 개선, 정책적 세심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