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트럼프 행정부, ‘LGBTQ+ 청소년 전용 전화’ 전격 폐쇄…통계로 드러난 현실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7월 17일,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내 988 자살 및 위기 상담 전화(988 Suicide & Crisis Lifeline)의 ‘LGBTQ+ 청소년 전용 3번 선택 서비스(Press 3)’를 공식 종료한 결정은 미국 전역에 큰 논란을 일으켰다.

 

CNN, 19thnews, thetrevorproject, Wikimedia Foundation, Newport Academy 등의 자료와 발표를 종합해보면, 이 전용 서비스는 2022년 기준 약 150만건에 달하는 위기 상담을 접수하며 실질적으로 생명선 역할을 해왔다. 해당 서비스의 예산은 2024년 기준 연방정부로부터 연간 3310만 달러에 달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예산 소진 및 ‘모든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 일원화’를 이유로 전격 폐쇄를 단행했다.

 

988 전화 서비스의 폐쇄…통계로 본 LGBTQ+ 청소년의 위기


다양한 기관의 2024~2025년 최신 조사 결과, 미국 LGBTQ+ 청년 중 39%가 최근 1년간 자살을 심각하게 고려했고, 12%가 실제로 자살 시도를 경험했다. 특히 트랜스젠더와 논바이너리 청소년의 경우 46%가 자살을 고려했다는 통계가 나와 비-LGBTQ+ 그룹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임이 확인됐다. 이 수치는 “LGBTQ+ 청소년은 또래 대비 자살 시도가 4배 이상 높다”는 기존 연구와도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LGBTQ+ 청소년의 50%는 정신건강 상담이 필요했으나 실제로는 절반만 접근이 가능했다는 점에서 제도적 공백까지 심각한 상황임이 드러난다. 사회적 낙인, 가족의 불인정, 학교 및 커뮤니티에서의 부정적 환경 역시 우울·불안, 자해 등 수치 상승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서비스 이용 내역 및 종료 전후 변화


988 Lifeline의 문의 건수는 2024년 5월 기준 한 달에만 50만건을 돌파했고, 이는 2022년 서비스 시작 이후 월별 80% 증가한 수치다.

 

‘Press 3’ 서비스는 사용량 증가세에 맞춰 2023~2024년 15% 이상 급증세를 나타내며, 특별히 프라이드 먼스(6월)와 같은 커뮤니티 주요 시기에 월 7만건의 위기 상담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주별 사례로는 2024년 한 해 메인주에서 3000건, 매사추세츠 주에선 월평균 580건이 ‘3번 버튼’을 통해 상담이 이뤄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공식 해명 및 비판 쟁점


트럼프 행정부와 약물남용·정신건강 서비스청(SAMHSA)은 예산 소진 및 ‘분리 없는 서비스 통합’을 이유로 들었으나, 실제로는 성소수자 커뮤니티에 ‘차별적 정책’이라는 비판도 거세다.

 

특히 공식 발표문에서 ‘T’(트랜스젠더)를 일관되게 누락해 정치적 신호를 명확히 보냈다는 해석이 나왔다. 전문가 및 여러 단체는 “취약집단 지지체계 해체는 구체적 사망률 증가로 직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를 표했다.

 

닫힌 문, 남겨진 대안…지역별 노력과 추가 지원책


전국망에서는 LGBTQ+ 특화 서비스가 소멸했지만, 트레버 프로젝트(The Trevor Project)는 1-866-488-7386 전용 핫라인 서비스 및 라이브 채팅 지원을 유지하고 있다. 캘리포니아 등 일부 주는 988 상담사 LGBTQ+ 전문교육 등 협업사업을 통해 공백을 보완하는 중이다. 또한, 청소년·일반인 누구나 ‘988’ 상담 대표번호 또는 741741로 ‘HOME’ 메시지 전송 시 위기상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통계가 말하는 무게, 해법은?

 

최신 조사결과, LGBTQ+ 청소년 인구 10명 중 4명이 자살위기를 경험하는 현실에서, 이번 서비스 폐쇄는 관리와 지원의 사각지대 문제를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높다. 전문가들은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맞춤형 지원망이 없다면 미국 내 청소년 자살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장기화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트레버 프로젝트 관계자는 "LGBTQ+ 청소년이 직접 겪는 부정적 정치 환경과 서비스 단절의 고통은 수치로 뚜렷이 드러난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및 예산심의 과정에서 데이터 기반의 인권·생명 보호 논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