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위고비로 살 뺀 머스크 "비만 치료제 가격 낮춰야"...GLP-1 초저가화에 '올인'

정부 지출 줄인다더니…머스크 "비만약, 대중에 초저가로 제공해야"
美보험사 CEO 살해용의자 선언문 공유하며 "美 의료 비싸지만, 기대수명 낮아"
"비만약 하나면 의료비용 줄일 수 있다"…DOGE 머스크, 대안 제시할 듯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위고비'로 다이어트에 성공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인의 건강을 위해 비만 치료제의 가격을 대폭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머스크 CEO는 11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브라이언 톰슨 유나이티드 헬스케어 CEO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된 루이지 만조니의 선언문 일부를 발췌한 게시물을 공유했다.

 

그는 "미국인의 건강, 수명,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GLP 억제제를 대중에게 초저가로 제공하는 것보다 더 큰 도움이 되는 것은 없다. 다른 어떤 것도 이에 근접하지 못한다"고 역설하며 "미국은 세계에서 최고로 비싼 의료 시스템을 갖고 있지만 기대 수명은 약 42위다"라는 문장에 빨간 동그라미를 치며 강조했다.

 

머스크의 이 발언은 2주 전 바이든 행정부가 비만치료제를 메디케어와 주 메디케이드프로그램이 커버하라고 11시간 동안 설득한 후 나왔다. 2003년에 제정된 한 법은 메디케어가 GLP-1 약을 직접 보장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는데 이 법률을 재해석하거나 다른 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

 

이 약을 복용한 세계 최고의 부자인 머스크 CEO 역시 비만 치료제 가격이 너무 비싸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한 셈이다. 그가 향후 DOGE 수장이 되면 이 약의 보험가를 낮추는 데 힘쓸 것으로 전망된다. 머스크 역시 장기적으로 국민의 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 바로 비만치료제라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회예산국(CBO)은 비만에 GLP-1을 사용하면 다른 의료 지출이 줄어든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머스크 CEO도 애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체중감량 효과가 확인돼 이를 기반으로 만든 위고비, 오젬픽 등 당뇨·비만 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현재 GLP-1은 당뇨나 심장질환 치료에 쓰는 경우에만 보험이 적용된다.

 

머스크 CEO의 지적처럼 비만 치료제는 높은 가격 탓에 대중에겐 진입장벽이 높다. 인터넷 매체 쿼츠에 따르면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 노디스크가 개발한 오젬픽과 위고비의 한 달 분량 가격은 미국에서 각각 968달러(약 138만원), 1349달러(약 193만원) 정도다.

 

당뇨나 심장질환 치료 목적이 아닌 단순 체중 감량 용도로 사용할 경우 보험 적용을 법적으로 금지해 비만인들에게는 '그림의 떡'인 셈이다. 독일의 오젬픽 판매가는 59달러, 영국의 위고비 판매가는 92달러 수준이다.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은 지난 9월 제약업체들이 1300달러보다 훨씬 저렴한 월 100달러 미만 수준으로 오젬픽을 생산할 수 있음을 지적하며, 현재의 가격 수준은 "기업의 과도한 탐욕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에 머스크 CEO는 "나는 많은 부분에서 버니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지만, 이 점에 대해선 동의한다"며 "식욕 억제제를 원하는 모든 사람이 누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원사격을 한 바 있다.

 

다만 이들 약물에 보험이 폭넓게 적용될 경우 수십억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수 있는데 머스크는 이를 어떻게 감당할지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았다. 게다가 머스크 CEO가 이끌게 될 정부효율부(DOGE)의 숙제인 '지출 삭감' 과도 상충하는 지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샘 올트먼, '머지랩스'로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AI 활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와 정면 경쟁을 벌일 새로운 벤처기업 '머지 랩스(Merge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총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 테크크런치, 쿼츠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지 랩스는 현재 약 8억5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다수 투자금은 오픈AI의 벤처팀이 부담할 예정이다. 올트먼은 일상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후원자로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머지 랩스는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축, 인간의 뇌와 기계를 더욱 원활하고 고도화된 방식으로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뉴럴링크가 2016년 창립된 후 첨단 뇌 이식 칩을 개발해 주로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머지 랩스는 덜 침습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AI를 적극 결합해 뇌 신호 해독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뉴럴링크는 최근 60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와 함께 이미 인간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중증 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