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흐림동두천 6.5℃
  • 구름많음강릉 10.2℃
  • 구름많음서울 6.6℃
  • 구름많음대전 8.4℃
  • 대구 10.5℃
  • 맑음울산 12.5℃
  • 구름많음광주 9.5℃
  • 맑음부산 11.6℃
  • 구름많음고창 9.0℃
  • 황사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7.4℃
  • 구름많음보은 8.0℃
  • 구름많음금산 8.1℃
  • 흐림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0.9℃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F-35 같은 유인 전투기 만드는 멍청이들 아직 있다…조종사 죽일 뿐"…국방예산 삭감 '포석'

'돈 먹는 하마' F-35 때린 머스크
"F-35 설계 결함... 비싸고 복잡한 실패작"
정부효율부 수장으로 국방개혁 강조 취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이 또 다시 구설에 오르며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정부효율부(DOGE) 수장에 지명된 일론 머스크는 25일(현지시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서 F-35에 대해 "너무 많은 것을 충족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며 "이로 인해 F-35는 비싸고 복잡한 기체가 됐지만, 모든 걸 다 해도 어느 것도 뛰어나게 잘하지 못하는 기체가 됐다"고 지적했다.

 

또 "어차피 유인 전투기는 드론 시대에 쓸모가 없다"며 "(유인 전투기는) 조종사를 죽이기만 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전날에도 엑스에 중국 드론이 동시에 작동하는 영상을 올리면서 “F-35 같은 유인 전투기를 만드는 멍청이들(idiots)이 아직 있다”고 강하게 비난한 바 있다.

 

F-35는 세계 최대 방산업체 미국 록히드 마틴이 개발한 5세대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다. 미 국방부를 비롯해 한국과 영국, 일본, 노르웨이, 네덜란드, 이스라엘 등 각국이 도입했다.

 

 

그러나 머스크 CEO는 그간 록히드마틴의 전투기가 구시대의 유물이 돼가고 있다며 향후 드론 전쟁이 미래라고 주장해 왔다. 특히, 인간이 원격으로 조종하면서도 자율적인 기동(autonomous maneuvers)이 가능한 전투기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정부효율화 수장에 지명되자 다시 F-35를 겨냥한 것이다.

 

정부효율부(DOGE) 공동 수장 내정자로서 연방정부의 예산효율화를 이끌 예정인 머스크의 이같은 발언은 F-35 관련 비용을 대폭 삭감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머스크는 대선 전 “낭비를 근절해 연방정부 예산을 적어도 2조 달러(2800조원) 감축할 수 있다”고 공언해 왔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올해 미 국방부의 F-35 관련 비용은 4850억달러로 작년보다 10% 증가했다. 미 정부는 총 3000대 이상의 F-35 전투기를 생산할 예정으로 그간 미군과 동맹국들에 약 1000대를 인도했다.

 

문제는 미국 록히드마틴이 개발한 5세대 다목적 전투기인 F-35가 미국은 물로 미국의 동맹국과 우방국 등의 핵심 전력이라는 점이다. 가뜩이나 개발 지연, 비싼 가격, 전투 성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머스크가 동맹국과의 관계에서 제품성능에 불신을 키우는 발언으로 불에 기름을 끼얹은 격이 됐다.

 

시장조사기관 레콘 애널리틱스의 기술산업 분석가 로저 엔트는 미국 매체 포브스와 인터뷰에서 "머스크가 다른 사람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신만을 위해 일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며 "현재 모든 드론은 비행 속도가 음속에 못미치고, 간단한 미사일 발사 플랫폼 역할을 한다. 머스크가 말한 전투 드론 시대는 20년 후의 미래"라고 꼬집었다.

 

 

게다가 F-35는 미국 국방부에서 가장 비싼 무기 프로그램이다. 성능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개발과 유지 보수 등으로 퇴역할 때까지 2조 달러(약 2814조원) 이상의 비용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돼 ‘돈 먹는 하마’라는 비판도 같이 받고 있다.

 

미국 법무부 장관으로 지명됐다 성 매수 의혹으로 사퇴한 맷 게이츠도 “유인 전투기는 드론 시대에 구식이며 조종사의 목숨만 위험에 빠뜨릴 뿐”이라며 “F-35는 실패한 플랫폼으로 이제는 드론으로 전환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국방부는 이에 대해 “현재 전투 가능한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으며 항공기들은 설계 당시 위협에 맞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며 “조종사들이 전쟁에 나갈 때 선택하고 싶은 전투기라고 계속 강조한다”고 밝혔다.

 

F-35 개발기업인 세계 최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 역시 “F-35는 세계에서 최첨단의 생존 가능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투기”라며 "모든 영역에서의 작전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맞춤형 알고리즘, 학습 왜곡과 과도한 자신감 부추긴다…"현실 인식의 함정에 빠진 이용자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개인화 알고리즘은 학습 과정에서 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학습 능력을 저해하고, 잘못된 정보에 대해 과도한 자신감을 부추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news.osu, sciencedaily.com, sciencedirect.com, combinatorialpress에 따르면, 이 연구결과는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연구진이 2025년 11월 발표한 논문에서 밝혀졌으며, 34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개인화 알고리즘이 제공하는 정보가 사용자의 인지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 개요 및 방법 연구진은 '수정 같은 외계인'이라는 가상의 대상들을 여섯 가지 특징으로 나누어 참가자들이 이를 학습하도록 설계했다. 참가자들은 회색 상자로 가려진 외계인 특징을 클릭하여 확인해야 했으며, 개인화 알고리즘이 탐색할 특징을 제한하자 참가자들은 전체 정보 중 일부만 선택적으로 관찰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결과, 테스트 시 새로운 사례를 올바르게 분류하는 데 실패했고, 오답임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연구 주도자인 Giwon Bahg는 "잘못된 선택을 할 때조차도 정답을 맞혔을 때보다 더 자신감을 보였다"며 심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