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미국서 퇴출 위기' 틱톡 CEO "머스크 도와줘요"…'트럼프 실세' 머스크와 '해결책' 논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처한 중국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에게 SOS를 친 것으로 알려졌다.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추 쇼우즈 틱톡 CEO가 최근 몇 주동안 머스크와 메시지를 주고 받으며 2기 트럼프 행정부부터 실행 가능한 기술 정책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주제로 소통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추 CEO는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경영진에게 머스크와의 소통 사실을 알렸다.

 

추 CEO와 머스크는 수년간 알고 지낸 사이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두 사람은 미국 내에서 틱톡을 계속 운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명확한 옵션은 논의하지 않았다고 소식통들이 밝혔다.

 

틱톡은 미국에서 국가 안보 우려에 따른 강제매각법에 따라 퇴출될 위기에 놓여 있다.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내년 1월까지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에서 이용이 금지된다. 이런 상황에서 틱톡의 추 쇼우즈 CEO가 개인친분이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측의 신(新) 실세로 부상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사적소통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다.

 

WSJ은 "중국 바이트댄스 경영진은 틱톡의 미래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하고 있다"면서 "머스크가 자신들을 차기 미국 정부와 연결하는 '통로'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1기 행정부 당시 틱톡 금지를 추진했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틱톡을 금지하면 젊은 층이 분노할 것”이라며 입장을 선회했다. 그러나 틱톡의 사업권 매각과 서비스 금지는 법에 규정된 조치로 의회의 협조 없이는 뒤집기 어렵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