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기자가 질문하면 '똥' 이모티콘 자동응답…트위터 인수후 '기행'

일론 머스크 트위터 CEO가 기자 문의 메일에 '똥 이모티콘'을 자동 발송하도록 했다. [일론 머스크 트위터 캡처]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 트위터 최고경영자(CEO)가 문의 메일을 보내는 기자들에게 '똥 모양' 이모티콘을 자동 발송하도록 해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현지 시각)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제 트위터 언론 대응용 이메일(press@twitter.com)은 똥 이모티콘으로 자동 응답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황당 조처에 진위를 밝히기 위해 트위터에 메일을 보낸 매체들은 실제로 똥 이모티콘을 회신받으면서 어처구니없다는 반응이다.

 

미국 경제 전문매체 포브스는 이날 "만약 당신이 트위터 언론 담당에 손이 뻗치는 기자라면, 이제 똥 이모티콘의 형태로 자동 응답을 받을 것"이라며 "머스크는 보스이고, 그가 원하는 대로 트위터를 운영할 수 있다"고 머스크의 기행을  언급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후 몇 달간의 침묵 끝에 마침내 언론인과 소통을 재개했다"면서 "대규모 해고, 광고 수익 감소, 소송 등에 대한 언론의 질문에 실제 답변을 기대해선 안 된다"고 설명했다.

 

미 일간매체 뉴욕 포스트도 "머스크는 트위터의 새로운 미디어 관계 구축에 대한 미리보기를 제공했다"며 "그의 ‘배설 전략’은 비꼬거나 과장되지 않았다. 그에게 보낸 이메일 문의는 말이 동반되지 않은 채 구역질 나는 기호로 즉각 돌아왔다"고 비판했다.

 

머스크는 지난해 10월 트위터를 인수한 후 기존 언론 대응 담당 직원들을 전부 해고하고 이메일 회신을 중단한 바 있다. 사실상 언론과의 공식 소통을 중단한 셈. 그 이후 약 5개월 만에 '똥 이모티콘'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머스크측은 그는 왜 이런 조처를 한 것인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그는 왜 이런 조처를 취해야 했는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이번 사건처럼 머스크가 기행을 일삼거나 언론이나 대중매체에 노골적으로 반감을 드러낸 일이 처음은 아니다. 

 

머스크는 겉으로는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존중하는 것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머스크는 전용기 위치를 추적한 트위터 계정을 차단한 일을 보도한 기자들의 계정까지 차단했다.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이후 돌발 행동이 계속되면서 지난해 4월 다수 전문가들이 트위터를 인수하면 "악용할 우려가 있다"고 일제히 지적한 바 있다.

 

당시 엘리자베스 워렌 상원의원도 "이번 인수 거래는 민주주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머스크와 같은 억만장자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권력을 축적한다. 대중들과는 다른 규칙에 따라 행동한다"고 일갈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