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머스크 "스타링크 손익분기점 도달"…상장 가능성 '청신호'

스타링크 사용자 150만명 돌파
기업가치 200조원, 틱톡 다음 최고 비상장사 '주목'
스페이스X, 올해 목표 매출 80억달러(10조원), 영업이익 30억달러(4조원)
"개인이 전쟁 개입" 논란에 美정치권 견제 움직임

스페이스X 팔콘9이 2023년 9월 25일 21개의 스타링크 위성을 발사하고 있다.[Source : SpaceX]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우주 개발 기업 스페이스X의 우주 인터넷 사업 '스타링크'가 이익을 내기 시작했다고 일론 머스크가 직접 밝혔다.

 

머스크는 2일(현지시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통해 "현재 모든 활성 위성의 과반수가 스타링크다. 내년에는 지구에서 그간 발사된 모든 위성의 절반 이상을 발사할 것"이라며 "스타링크가 현금 흐름의 손익분기점에 도달했다. 훌륭한 팀이 잘 해냈다"는 글을 올렸다.

 

다만 머스크는 이날 언급한 손익분기점의 구체적인 산정 기간 등에 대해선 밝히지 않았다.기업 공개를 하지 않은 스페이스X는 별도로 실적을 발표하지 않는다.

 

지난 8월 1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스페이스X가 올 1분기에 매출 15억달러(약 2조원), 순이익 5500만달러(약 700억원)를 기록, 2년 연속 적자끝에 올해 1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고 보도했다.

 

지난 7월 테크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 보도에 따르면, 스페이스X가 올해 목표로 하는 매출은 80억달러(약 10조원)이고, 영업이익은 30억달러(약 4조원)를 거두는 것이다. 매출 중 약 40%는 위성인터넷 사업인 스타링크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는 2020년부터 소형 위성을 우주에 띄워 전 지구를 하나의 인터넷망(網)으로 연결하는 스타링크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상 기지국 없이 바로 위성과 연결해 통신을 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5000대가 넘는 위성을 발사했고 최종적으로 4만대 이상을 쏘아올린다는 계획이다.

 

스페이스X는 최근 가입자 수는 20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스타링크 매출은 전년대비 6배 이상 급증한 14억달러(약 1조8700억원)를 기록했다.

 

우려가 컸던 스타링크 사업의 본궤도에 올리면서 투자자들의 시선도 달라지고 있다. 금융 시장에서 스페이스X의 기업 가치는 1500억달러(약 200조원)로 평가받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머스크의 스타링크 손익분기점 도달 발표는 스페이스X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스타링크가 여전히 손실을 보고 있다"며 "이 사업의 최대 목표는 파산하지 않는 것"이라고 했을 정도로 경영상황이 심각했다.

 

스페이스X의 기업공개(IPO) 가능성과 시기도 높은 관심사다. 머스크는 2021년 스페이스X가 현금 흐름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되면 스타링크를 분사해 상장하겠다고 예고했다. 다만 그는 내부 관계자들에게 2025년까지는 상장이 어렵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손익분기점 전환으로 상장계획에 변화가 생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스페이스X의 기업가치가 1500억달러(약 200조3500억원)에 달해 틱톡 개발사인 바이트댄스 다음으로 가장 가치가 높은 비상장사라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미국 정치권에서는 머스크의 우주 장악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등 견제 움직임도 일고 있다. 머스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 스타링크를 지원하는 문제를 두고 논란에 휩싸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제주항공 참사 반년만의 숏폼" 추모와 일상 사이의 경계 '흔들'…참사 여운 속 '논쟁의 불씨' 되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4년 12월 29일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해 179명이 사망한 제주항공 참사가 채 1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제주항공 공식 틱톡 계정에 올라온 승무원 숏폼 영상이 거센 사회적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영상은 지난 7월 11일 올라와 21일까지 조회수 200만회, 좋아요 17만8000개, 댓글 1000여개를 기록하며 급속히 확산됐다. 영상 속 승무원들은 객실 내에서 밝게 춤을 추고 손가락 브이(V)자를 그리며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했으나, 이를 두고 "참사 이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런 영상을 올리는 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포털 댓글창을 중심으로 이어졌다. 반면 "승무원들도 희생자인데 괜한 비난은 지나치다"는 반박 여론도 상당해, 사회적 애도와 일상의 복원이 어디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지 첨예한 인식 차가 드러났다. 유가족 및 시민사회 "추모와 조기 일상 복귀, 적절성 논쟁" 일부 네티즌과 유가족들은 "유가족 진상규명 기다리느라 장례 얼마 안 지난 걸로 안다. 가족이 사고 당했는데 이런 영상 보면 불쾌할 수 있다", "최소 1년은 공식 애도기간을 가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를 냈다.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