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아폴로 11호 56주년과 과학·신앙 융합…교황, 바티칸 천문대 방문 후 버즈 올드린과 '역사적 통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폴로 11호 달 착륙 56주년을 맞은 2025년 7월 20일(현지시간), 교황 레오 14세가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대를 방문했다. 이어 올해 95세를 맞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번 행보는 신앙과 과학, 인류의 도전이 교차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ABC News, Indiatimes, Philstar.com,barrons.com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첫 팝 콘택트, 신앙과 과학의 만남

 

교황은 여름 별장에서의 삼종기도(Angelus) 이후, 천문학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통 여름 프로그램 현장을 찾아 수십 년간 빛나는 연구를 이어온 망원경 등 주요 천문 장비를 직접 살펴봤다.

 

이 자리에서 교황은 “56년 전 인류의 달 착륙 성취는 인간 창의성의 증거이자, 창조의 신비·위대함을 되새기게 한다”는 소회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 남겼다.

 

 

뒤이어 진행된 버즈 올드린과의 통화에서 교황은 “인류의 역사적 업적, 인간 정신의 한계를 넘고자 했던 순간”을 회상하고 그와 가족·협력자들에게 교황청의 축복을 전했다.

 

올드린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교황 레오 14세로부터 56주년 최고의 축복을 받아 감사하고 감동했다”며 감격을 표했다.

 

 

95세 올드린, 우주 과학의 산 증인


MIT(매사추세츠공대)에서 우주항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버즈 올드린은 1969년 닐 암스트롱에 이어 두 번째로 달에 발을 디딘 인물이다.

 

올드린은 현재까지도 활발한 우주 개발 옹호활동과 더불어, 차세대 행성 탐사 및 우주 교육에 앞장서고 있다. 그가 설립한 재단 ‘ShareSpace Foundation’을 통해 전 세계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우주과학 교육과 우주진출의 꿈을 확산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올드린은 특히 ‘인간의 화성 이주’를 위한 전략을 꾸준히 제안하며, 우주 협력과 미래 비전에 대한 담론을 주도하고 있다.

 

 

교황청-우주 소통 전통…신앙과 인류 도전의 역사


이번 교황-우주비행사 통화는 바티칸이 지속해온 우주 관련 소통 전통을 잇는 것이다.

 

2011년 베네딕토 16세 전임 교황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직접 연락해 지구의 미래와 환경 문제에 대해 대담을 나눴으며, 1969년 아폴로 11호 달 착륙 당시 바오로 6세 교황은 “달의 정복자”란 경의의 메시지를 라디오로 암스트롱, 올드린, 콜린스 등에게 전한 바 있다.

 

 

바티칸 천문대, 430여년의 과학·신앙 융합


교황 레오의 이번 방문은 1891년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본격적으로 설립된 바티칸 천문대를 직접 찾은 첫 사례로 기록됐다.

 

천문대의 기원은 1582년 그레고리오 13세가 주도한 ‘그레고리력’ 도입 당시 과학연구위원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재 바티칸 천문대는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운석 컬렉션(여기엔 화성에서 온 조각도 포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신부-과학자들이 참여하는 국제 공동연구, 선진 망원경 개발, 천문 교육 및 공공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 애리조나주 마운트 그레이엄 부근에 ‘바티칸 첨단기술망원경(VATT)’을 설치해, 대형 천체 연구에서 세계 최고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교황 레오 14세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의 역사적 통화는 신앙, 과학, 인류 도전의 접점이 어디에 있는지를 웅변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바티칸 천문대가 오랜 세월 쌓아온 종교와 과학의 융합과, 올드린이 상징하는 미래 지향적 우주탐사 정신이 56주년을 맞은 달 착륙의 의미를 한층 깊게 했다. 앞으로 인류의 우주개발, 신앙과 과학의 협력, 그리고 차세대 교육 등에 미칠 긍정적 파장이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우주AtoZ] 구글 딥마인드 AI, 중력파 검출기 잡음 100분의 1로 줄여 '우주관측 혁신'…"블랙홀 신호 100배 정밀 탐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우주과학 연구진이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중력파 검출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중력파가 별의 폭발, 블랙홀 병합, 중성자별 충돌 등 거대 우주 사건을 관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진·바람·온도 등 다양한 외부 요인과 제어 시스템 잡음이 신호 감지에 방해가 돼 왔다. 이번 AI 기반 제어기술은 그러한 잡음을 기존보다 최대 100분의 1로 크게 줄여 관측 민감도와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중력파 검출기 라이고(LIGO)는 레이저 간섭계 기반으로 4km 길이의 진공 터널 내부 양 끝에 설치된 거울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중력파를 관측한다. 기존 제어 시스템은 거울 위치 제어 시 발생하는 잡음 때문에 10~30헤르츠(Hz) 저주파 대역에서 신호 탐지에 한계가 있었고 특히 중간 질량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충돌 초기 신호를 선명히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강화학습 기반 AI 기법인 ‘딥 루프 셰이핑(Deep Loop Shaping)’을 도입해 라이고 거울의 위치 제어를 최적화했다. AI는 자체 시뮬레이션을 반복하며 잡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학습

“2045년 우주항공 5대 강국 도약"…우주청, ‘우주탐사 로드맵’ 확정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이 2045년까지 ‘우주항공 5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을 확정했다. 이번 로드맵은 인류의 우주 지식 확장과 우주경제 영토 확보를 두 축으로 하며, 지구저궤도 미세중력 활용부터 달·화성 탐사, 태양 및 우주 과학 등 5대 핵심 프로그램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실행 계획을 담고 있다. 우주청은 지난 8월 28일부터 9월 4일까지 제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거쳐 이 로드맵을 확정했다. 비전은 ‘인류 지식과 우주경제 영토의 확장’으로 설정, 우주의 기원과 태양계 진화에 대한 과학적 탐사와 더불어 우주자원 활용, 달·화성 기지 건설,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핵심 정책 과제로 삼았다. 이를 통해 2045년까지 우주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이다. 달 탐사 분야에서는 2032년까지 무인 착륙선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2040년까지 차세대 달 착륙선 개발, 2045년에는 달의 자원 활용과 경제 기반 구축을 위한 달 기지 건설을 추진한다. 우주과학에선 2035년까지 태양과 지구의 중력 장이 평형을 이루는 라그랑주 점 L4에 태양 관측 위성 배치를 계획하고 있다. 화성 탐사도 포함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