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SEC, 증권법 위반으로 머스크 고소…"트위터 지분 확보 늦게 공개"

SEC "주식 매입 보고 10일 이상 지체"
2022년 X 매입 과정에서 공시의무 위반 주장
보고 늦춰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매수한 것으로 판단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증권법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

 

SEC는 2022년 머스크가 엑스(X·옛 트위터)를 인수할 당시 자신의 지분 공개 시점을 의도적으로 늦춰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입했다고 주장했다.

 

14일(현지 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SEC는 워싱턴DC 연방법원에 머스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SEC는 머스크가 트위터 지분 5% 이상을 확보한 시점으로부터 10일 이내에 이를 공시해야 했지만, 이를 제때 공개하지 않아 공개 의무를 위반했다고 밝혔다. SEC는 머스크가 지분 공시를 늦추면서 최소 1억5000만 달러(약 2191억원)의 부당이득을 얻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SEC는 소장에서 “머스크가 트위터 인수 전부터 회사 지분을 꾸준히 매입해 왔고, 지분 5%를 초과 보유하게 되어 공시 기한이었던 3월 24일 공시해야 했다"면서 "하지만 다음 날에도 트위터 주식 약 350만주를 매수해 지분을 7%로 늘렸다. 그가 트위터 이사회 합류 후 4월 4일 지분을 공개했을 땐 이미 9% 이상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머스크의 지분 공개 직후 트위터 주가는 27% 이상 급등했다. SEC는 머스크가 의무 공시 기간과 실제 공시일 사이에 트위터 주식을 추가 매입하는 과정에서 머스크가 1억5000만 달러(약 2191억원)의 이득을 취했다고 밝혔다.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입해 비용을 덜 지불했다는 것이다.

 

만약 투자자들이 머스크의 주식 매입과 트위터에 대한 관심을 알았다면 해당 주식의 가격이 올랐을 가능성이 있는데, 머스크가 지분 매입 사실 보고를 늦게 함으로써 인위적으로 낮은 가격에 주식을 매입했다는 것이다.

 

머스크는 2022년 말 440억 달러에 트위터를 인수하고 이듬해 사명을 X로 변경했다. 

 

최근 몇 주 동안 머스크는 자신의 X에 SEC에 대한 소송 제기 가능성에 대해 조롱하는 게시물을 올렸다. 12월에는 자신의 변호사가 SEC에 보낸 편지를 공유하며 이 사건에 대한 합의 제안을 거부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SEC가 소송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머스크 측은 즉각 반발했다. 그의 변호인인 알렉스 스피로는 CNBC에 “머스크는 잘못한 게 없다. 모두가 이 사기극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다”며 "수년에 걸친 괴롭힘"이라고 주장했다.

 

머스크 역시 엑스에 올린 글을 통해 "처벌받지 않는 실제 범죄가 너무 많은데도 이런 일에 집중하는 완전히 망가진 조직"이라고 SEC를 비난했다.

 

SEC와의 소송전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벌써 머스크와 벌인 세 번째 법적 다툼이다.

 

첫 번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중에 증권 규제 당국이 제기한 소송이었다. 그 소송은 머스크가 전기차 회사인 테슬라를 상장 폐지할 가능성에 대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게시물을 올린 것에서 비롯됐었다.

 

트럼프 당선인은 차기 SEC 위원장에 규제 완화론자이자 가상자산 친화적 인물인 폴 앳킨스 전 SEC 위원을 지명한 상태다. 게다가 대선 운동 후반기 트럼프 당선인의 주요 후원자였던 머스크는 자신의 여러 회사에 영향을 미치는 규제에도 손을 댈 수 있는, 규제 완화에 초점을 맞춘 조직인 정부효율부를 이끌 예정이다.

 

NYT는 "개리 겐슬러 SEC 의장이 오는 20일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과 함께 퇴임하면서 규제 당국이 이 소송을 계속 진행할지 여부는 불확실하다"면서 "이번 건은 겐슬러 의장의 퇴임을 앞두고 마지막 소송이 될 가능성이 크다”라고 보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