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테슬라 판매 부진에 머스크 특단조치···"美서 자율주행기능 한달 무료"

美 중심으로 전기차 판매 둔화하자 특단의 카드 꺼내
WSJ “FSD, 사고 일으키는 등 많은 문제 내포”
전문가들 “소비자 예상보다 좋지 않으면 독 될 수도”

사이버 트럭 출시 행사장에서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테슬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1위 전기 자동차 업체 테슬라가 미국에서 고객들에게 자율주행 장치인 FSD를 한 달간 무료로 체험할 기회를 제공한다. FSD는 '풀 셀프 드라이빙'(Full Self-Driving)이라는 이름의 테슬라 주행보조장치를 말한다.

 

26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이번 주 FSD가 지원되는 모든 미국 내 자동차는 한 달간 무료 시험 운행이 가능할 것"이라 썼다.

 

FSD는 앞차와 간격을 유지하며 차선을 따라가는 '오토파일럿' 기능에 더해 차선도 바꾸고 신호등을 감지해 설정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오토파일럿 기능이 기본 탑재된 것과 달리, FSD는 1만2000달러에 소프트웨어를 사거나 월 199달러를 내야 이용할 수 있다.

 

머스크는 또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에서 "거의 아무도 FSD가 실제로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깨닫지 못하고 있다"며 "테슬라 신규 구매자 등에게 FSD를 시연하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FSD 무료 시험 운행 카드는 미국을 중심으로 전기차 판매가 둔화하고 있는 가운데 발표돼 더욱 관심을 모았다. 테슬라도 지난해 하반기 가격을 5% 낮췄는데도 판매량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3% 증가하는 데 그쳐 수익성악화로 고민중이다.

 

해당 소식이 전해진 후 테슬라의 주가는 이날 뉴욕 증시에서 2.92% 오른 177.67달러에 마감했으며, 한때 6% 이상 오르기도 했다.

 

시장조사기관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의 분석가 샘 아부엘사미드는 "차량 가격 인하와 FSD 도입이 저조하면서 테슬라의 마진이 크게 줄었다"며 "FSD 시연을 강조한 것은 수익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 분석했다.

 

한편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FSD가 사고를 일으키는 등 많은 문제를 지니고 있다"며 "충분히 시도할 수 있지만 FSD의 성능이 소비자의 예상보다 좋지 않으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