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700조원 천장 뚫은 오픈AI…“수익성 증명 못하면 ‘AI 거품’ 터질 위험” 월가 경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의 중심에 선 오픈AI(OpenAI)가 최근 5000억 달러(약 700조원) 평가를 받으며 글로벌 비상장 기업 중 최대 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폭등한 밸류에이션을 두고 월가에서는 ‘AI 거품론’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오픈AI 기업가치, 1년 새 3배 급등…직원 지분매각 통해 실질 검증


블룸버그(Bloomberg), 로이터(Reuters), CNBC, 월스트리트저널(WSJ), Investing.com, Sacra, VisualCapitalis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최근 진행한 현·전직 직원 지분 매각으로 기업가치가 5000억 달러(약 700조원)까지 상승했다. 이번 매각에서 투자사들은 Thrive Capital, 소프트뱅크(SoftBank), 아부다비의 MGX, T. Rowe Price 등이 포함됐고, 전체 매각 규모는 약 66억 달러에 달했다. 작년 10월 1570억 달러, 올해 3월 3000억 달러였던 가치가 1년 만에 3배 넘게 폭등한 셈이다.

 

이번 거래는 신규 투자 유치가 아닌, 직원 보유지분의 유동화(secondary 거래) 성격이었다는 점에서 “내부 신뢰 신호”와 함께, 여전히 외부 투자자 수요가 견고함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거품 경계령…“예상 매출의 25배, 수익 모델 증명이 과제”


문제는 거침없이 치솟는 오픈AI의 몸값이 수익성과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할 만큼 실물 지표로 이어지느냐는 데 있다. 세븐스리포트 등 리서치 기관들은 오픈AI의 기업가치가 2025년 예상 매출 200억 달러의 25배에 달한다며, 이를 정당화하려면 성장세를 실제 수익화로 연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 오픈AI는 올해 상반기 43억 달러를 벌었으며, 연매출 130억 달러 달성도 예고했다. 그러나 여전히 ‘적자 상태’로, 올 상반기 현금 소진액만 25억 달러에 달하고 연간 연구개발비도 67억 달러에 이르는 상황이다.

 

수익 창출 대부분은 챗GPT 유료 구독과 API, 엔터프라이즈 도구 판매에서 나오고 있다. 유료 구독자는 수천만명에 달하며, 기업고객용 계약도 꾸준히 늘고 있지만, 운영 효율화보다 사용량 증가가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된다.

 

“AI는 미래지만…” 월가·테크업계도 ‘버블’ 우려 인정


AI 인프라 확대 역시 거품 논란에 불을 붙였다. 지난달 오픈AI와 엔비디아(Nvidia)는 최대 1000억 달러(약 140조원) 투자 규모, 10GW(기가와트) 데이터센터 건설 전략적 파트너십에 전격 합의했다. 엔비디아는 1단계로 100억 달러를 즉시 투입하며, 오픈AI의 차세대 AI 시스템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대규모 투자에 대한 견제와 지나친 ‘AI 열풍’에 대한 월가 내부의 경계심도 커지는 모습이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 시장에 일정 부분 거품이 낀 것은 사실”이라며 “비이성적 열광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AI의 사회적 가치는 막대하다”고 직접 인정했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 역시 “좋은 아이디어와 나쁜 아이디어가 뒤섞인 거품 상태”라면서도 “AI가 세상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고 진단했다.

 

전망 및 리스크…“수익성·경쟁력 입증 없인 가격조정 가능성 높아”


전문가들은 오픈AI가 AI 인프라, 데이터센터, 핵심 인재 확보 등에 ‘천문학적’ 자금을 쏟아붓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모델이 확실히 검증되지는 않았다고 지적한다. 시장에서는 오픈AI의 단기 급성장과 이에 따른 밸류에이션 거품이 관련 종목 주가 변동성, 투자심리 변화, 벤처캐피털 자금 흐름에 미칠 파장도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생성형 AI 투자 기관의 95%가 아직까지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는 MIT 보고서, 경쟁사들의 치열한 AI 인재 쟁탈전 등도 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는 변수다.

 

한편, 오픈AI는 마이크로소프트와의 파트너십 전환, 비영리→영리법인 구조 개편 등 경영변화도 추진하며 시장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제2의 닷컴 버블’로 AI 시장이 충격을 맞을 경우, 세계 경제 전반의 조정, 벤처·테크기업 밸류 하락으로 직결될 수 있다는 경고 또한 피하기 어렵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