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4.0℃
  • 맑음강릉 17.0℃
  • 구름조금서울 14.9℃
  • 맑음대전 15.9℃
  • 맑음대구 17.5℃
  • 맑음울산 16.5℃
  • 맑음광주 16.4℃
  • 맑음부산 18.3℃
  • 맑음고창 14.7℃
  • 구름조금제주 18.0℃
  • 맑음강화 13.6℃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5.8℃
  • 맑음강진군 16.3℃
  • 맑음경주시 17.3℃
  • 맑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빅테크

세계 부자 1위 '머스크', 리버풀 구단주 되나?…"자본력은 풍부, 인수가능성 낮아"

‘최고 갑부’ 머스크 리버풀에 눈독? 외신보도 나와
리버풀 보유한 펜웨이 스포츠 그룹 “사실무근”
인수 성사 땐 축구계 엄청난 파급력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600조원 이상을 보유한 세계 최고의 갑부인 일론 머스크가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명문 리버풀 인수에 나설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다. 그러나 리버풀을 보유한 펜웨이 스포츠 그룹측은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일축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8일 머스크의 아버지인 에롤 머스크가 최근 영국의 ‘타임스 라디오’에서 한 발언을 인용해 머스크가 펜웨이 스포츠 그룹이 소유한 EPL 명문 리버풀 인수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보도했다.

 

에롤 머스크는 “리버풀 인수 여부에 대해 언급할 수는 없다. 내가 이 부분을 밝힌다면 그들(펜웨이 스포츠 그룹)은 (리버풀의) 가격을 올릴 것”이라면서도 “(아들은) 리버풀 인수 의향이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그가 당장 리버풀을 산다는 뜻은 아니다. 리버풀은 누구나 소유하고 싶은 구단이고, 나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펜웨이 스포츠 그룹은 2010년 10월 3억파운드(약 5443억원)에 리버풀을 인수했다. 아직 펜웨이 스포츠 그룹이 리버풀 매각 의사를 밝힌 적은 없다.

 

펜웨이 스포츠 그룹 역시 머스크에게 리버풀을 매각할 것이냐는 질의에 “소문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2023년 5월 공개한 리버풀의 가치는 현재 43억파운드(약 7조8014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머스크는 보유 자산이 3430억파운드(약 622조514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돼 리버풀 인수가 큰 부담은 아니라는 평가다. 즉 머스크가 인수하려고 마음만 먹는다면 언제라도 인수할 수는 있다는 말이다.

 

또 머스크가 리버풀에 관심을 갖는 이유 중 하나가 그의 집안 일부가 리버풀에 연고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에롤 머스크는 “일론의 할머니는 리버풀에서 태어났고, 함께 성장한 친척들도 리버풀에 산다. 운 좋게도 (리버풀 출신인) 비틀스 멤버들과도 친분이 있다”며 “우리 가족은 리버풀에 애착이 있다”고 전했다.

 

만약 일론 머스크가 리버풀을 인수한다면 EPL 판도를 바꿀 수도 있는 큰 사건이다. EPL 대표 구단인 리버풀에 머스크의 자본력까지 더해지면 빅클럽 사이의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게다가 머스크의 브랜드가치가 가세하면 전세계인의 구단으로 급성장할 수도 있다.

 

영국프로축구리그 최고의 명문클럽 리버풀은 2019년 유럽챔피언스리그에서 통산 6번째 우승컵을 들어올린 데 이어 이듬해 30년 만에 EPL 우승도 맛봤다. 2024~2025시즌 역시 리그 1위(승점 46·14승4무1패)로 EPL 선두를 질주하며 우승을 노리고 있다.

 

리버풀은 그간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2007년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자본 두바이인베스트먼트캐피탈(DIC)이 인수전에 뛰어들었다가 실패했다. 이후에도 중동, 중국 등에 기반을 둔 기업들이 리버풀 인수를 타진한 바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CEO혜윰] DNA 혁명을 이끈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과학과 논란을 함께한 위대한 생물학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공동 발견하며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제임스 D. 왓슨(1928~2025)이 97세의 나이로 뉴욕 이스트 노스포트의 호스피스에서 별세했다. 감염 치료 중이던 병원에서 호스피스로 옮겨진 후 지난 11월 6일 사망했으며, 아들 던컨 왓슨이 이를 공식 확인했다.​ 뉴욕타임즈, AP뉴스, BBC,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25세의 젊은 나이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규명, 유전정보의 저장과 전달 원리를 밝혀내 ‘생명의 청사진’을 해독했다. 이 업적으로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모리스 윌킨스도 공동 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들의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X선 회절 이미지 '사진 51'은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했으나,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윌킨스가 왓슨에게 제공하는 등 연구 윤리 논란도 있었다. 프랭클린은 노벨 수상 이전인 1958년에 난소암으로 요절해 사후에는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왓슨의 발견은 현대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 유전자 가위(CRISPR), 법의학 DNA 분석,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 광범위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