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6.5℃
  • 구름많음강릉 9.7℃
  • 천둥번개서울 7.6℃
  • 대전 10.4℃
  • 구름많음대구 13.8℃
  • 구름많음울산 11.7℃
  • 흐림광주 12.0℃
  • 구름조금부산 12.5℃
  • 흐림고창 11.1℃
  • 구름조금제주 15.9℃
  • 구름많음강화 7.5℃
  • 흐림보은 9.9℃
  • 흐림금산 11.1℃
  • 구름많음강진군 12.7℃
  • 구름많음경주시 12.5℃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빅테크

“나도 머스크처럼" 美 CEO들 성과보수 확산…2200억원 받은 1위 누구?

머스크처럼 성과 반영한 보수 패키지 채택하는 美CEO들 늘어
지난 5년간 S&P 500 기업 36명이 5000만달러 이상 스톡옵션 등 받아
실적 목표 달성 못 하면 주식·옵션 등 박탈당하기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처럼 경영 성과를 반영한 임원 보수 패키지를 채택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공공정보 제공업체 마이로그아이큐의 데이터를 분석해 "지난 5년간 S&P 500 기업 중 36명의 CEO가 5000만달러(약 680억원) 이상의 보수 패키지를 받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와 머스크가 성과 보상안 계약을 도입한 2018년 이전 5년 동안은 이런 규모의 보수 패키지를 받은 CEO가 9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5년 사이에 4배 늘었다는 분석했다.


지난해 가장 높은 보수를 받은 사람은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의 호크 탄 CEO다. 그가 받은 주식보상, 현금 등을 포함한 보수 패키지의 총 가치는 1억6200만달러(약 2200억원)에 달했다. 이어 미국 보안업체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니케시 아로라 CEO의 보수 패키지(1억5100만달러)가 뒤를 이었다. 머스크 CEO의 경우 아직 행사하지 못한 스톡옵션이 지난해 14억달러(약 1조9000억원) 상당의 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브로드컴은 증권 신고서에서 2025년 10월 이후 브로드컴의 주가가 특정 목표에 도달할 때에만 탄 CEO가 주식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가 향후 5년 동안 추가 주식 보상이나 현금 보너스는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니케시 아로라 CEO의 보수 패키지에도 3년에 걸쳐 지급되는 주식이 포함된다. 

 

앞서 테슬라도 2018년 머스크 CEO에게 매출과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단계별 성과를 달성할 때마다 12회에 걸쳐 스톡옵션을 부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머스크가 이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주당 23.34달러에 최대 3억400만주를 매입할 수 있다. 현재 주당 170달러가 넘는 테슬라 주가를 기준으로 따지면 450억달러(약 61조2900억원)가 넘는 차익을 거둘 수 있다.

 

WSJ은 머스크가 보유한 스톡옵션의 가치 상승에 따른 이득이 지난해 연간 14억달러(약 1조9068억원)였다고 분석했다. 다만 올해 들어 테슬라의 주가가 약 30% 하락하면서 스톡옵션 가치가 이전보다는 낮아졌다.

 

S&P 500에 속하지 않는 사모펀드 운용사 TPG의 존 윙클리드 CEO는 총보수의 가치가 1억9900만달러(약 2710억원)로, 여기에는 4∼5년에 걸쳐 지급되는 1억8500만달러(약 2520억원) 가치의 주식이 포함됐다. 또 이 보수의 60%는 회사의 주가가 지난해 11월 말 수준에서 50% 이상 올라야 지급된다.

 

WSJ는 이들 기업이 CEO에게 지급한 보수 패키지가 대부분 제한된 주식이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으로 구성되며, CEO가 최종적으로 받는 주식이나 옵션의 규모는 주가나 재무·영업 실적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CEO가 미리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보상액이 대폭 삭감되거나 사라진 경우도 있었다. 페이컴 소프트웨어의 채드 리치슨 CEO는 2억1100만달러 규모의 보수 패키지로 2020년 최고 보수를 받은 CEO로 꼽혔지만, 회사 주가가 내려가면서 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식을 박탈당했다.

 

한편 이러한 CEO 성과 보상 트렌드를 촉발한 머스크 CEO는 한 테슬라 소액주주의 소송으로 자신의 보상 패키지와 스톡옵션을 모두 토해낼 위기에 놓여 있다. 소송을 심리한 델라웨어 법원이 올해 초 "테슬라의 보상안이 승인되는 절차에 심각한 결함이 있었다"며 스톡옵션 지급안을 무효화했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오는 6월 13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해당 보상안을 안건으로 다시 상정했다.

 

다만 법원의 최종 판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사측은 주주들에게 오는 6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보상안을 재승인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저커버그의 메타, UFC와 전략적 파트너십…‘스레드’ 독점 콘텐츠·AI글래스로 입체적 관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종합격투기 단체인 UFC와 메타가 다년간 파트너십을 맺고 협업한다. UFC는 3일 “메타와 다년간의 파트너십을 체결했다”며 “메타의 첨단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 수백 만 UFC 팬들의 참여를 전례 없는 수준으로 이끌어 낼 계획이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어 “메타가 보유한 메타 AI, 메타 안경, 메타 퀘스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와츠앱, 스레드와 같은 메타의 기술 플랫폼, 서비스, 상품 등을 활용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팬들을 UFC 콘텐츠에 깊이 몰입시킬 것이다”고 설명했다. 특히 메타는 UFC의 첫 공식 인공지능(AI) 안경 파트너가 된다. 메타는 UFC와 공동으로 AI 안경을 창조적으로 활용해 UFC 대회에서 팬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데이나 화이트 UFC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몇 년간 많은 훌륭한 파트너들이 UFC가 MMA를 발전시키는 걸 도왔지만 마크 저커버그와 메타 직원들은 정녕 UFC 팬들을 깜짝 놀라게 할 일들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메타는 기술 분야에서 가장 훌륭한 지성들을 보유하고 있고, 그들은 팬들의 참여를 완전 다른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우린

[공간차트] 테슬라 주가 폭락에도 머스크 503조원 '세계 최고 갑부'…포브스 선정 올해 억만장자 순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 주가가 급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총자산 3420억달러(약 503조원)로 포브스 선정 억만장자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4월 1일(현지시간) 포브스는 올해 세계 억만장자 명단에는 지난해보다 247명 늘어난 3028명이 이름을 올렸으며, 이들의 자산 합계가 16조달러(약 2경3552조원)가 넘는다고 발표했다. 머스크는 14년 연속으로 포브스 선정 억만장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는 순자산 3420억달러를 자랑하며 지난해 1위였던 베르나르 아르노 루이비통모에헤네시(VLMH) 회장을 꺾고 1위를 거머쥐었다. 머스크의 자산은 스페이스X와 테슬라 주식에 힘입어 1년 사이에 75% 증가했다. 최근 정치적 행보로 테슬라 주가가 폭락하며 자산도 520억달러(약 74조원)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억만장자 순위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2160억달러(약 318조원) 자산을 지닌 페이스북 공동설립자이자 메타 CEO인 마크 저커버그, 3위에는 2150억달러(약 316조원)를 지닌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다. 뉴스위크는 "머스크는 저커버그와 격차가 1000억달러가 넘기 때문에 앞으로도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머스크 “13번째 자녀? 내 아이인지 모르겠다…친자 검사 반대 안한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신의 13번째 자녀를 출산했다고 밝힌 인플루언서 애슐리 세인트 클레어에게 "내 아이인지 모르겠다. 친자 검사를 거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냈다. 3월 31일(현지시간) 더힐 등 외신에 따르면 두 사람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서 공개적으로 날선 공방을 주고받았다. 클레어는 지난 2월 엑스에 올린 글에서 “5개월 전에 나는 아기를 낳았다. 머스크가 아빠”라고 밝힌 데 이어 머스크가 양육비 지원과 친자 확인 검사를 거부했다며 비난해왔다. 이에 머스트는 클레어가 낳은 아이가 친자식인지 확실치 않지만 이미 37억원에 가까운 돈을 건넸다고 주장했다. 그는 “법원 명령은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머스크의 발언은 법원이 머스크에게 친자 검사를 명령했다는 보도가 나온 후에 나왔다. 세인트 클레어는 머스크가 양육비를 줄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에 대해 “확실하지는 않지만, 나는 애슐리에게 250만달러(약 37억원)를 줬고 매년 50만달러(약 7억원)를 보내고 있다”고 반박했다. 세인트 클레어는 올해 2월 엑스를 통해 “5개월 전 머스크의 아이를 출산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머스크가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