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태양 질량의 360억배에 달하는 거대 블랙홀 발견…코스믹 호스슈에서 발견된 숨겨진 우주 제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천문학자들이 태양 질량의 약 360억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코스믹 호스슈(Cosmic Horseshoe)라는 은하에서 발견했다.

 

2025년 8월 7일,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는 이같은 결과를 공식 발표했다.

 

ScienceAlert, Space.com, ScienceDaily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 블랙홀은 약 50억 광년 떨어져 있으며, 우리 은하 중심의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보다 약 1만배 무거운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 블랙홀의 질량은 현 우주론적 모델이 제시하는 이론적 상한선인 태양 질량 400억~500억 배에 근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블랙홀의 발견이 역사적 의미를 갖는 이유 중 하나는 탐지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블랙홀은 주변 물질을 흡수하면서 방출하는 밝은 에너지 방출을 통해 발견되지만, 이 블랙홀은 현재는 활동을 멈춘 '휴면' 상태로, 직접적인 방출이 없는 상태다.

 

연구팀은 중력렌즈 효과와 항성 운동학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결합해 이 블랙홀을 탐지했다. 코스믹 호스슈 은하는 너무 거대하여 시공간을 왜곡시키고, 배경에 있는 은하의 빛을 휘어 말굽 모양의 아인슈타인 고리(Einstein ring)를 형성한다.

 

또한, 은하 내 별들이 초속 약 400km라는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현상에서 블랙홀의 강력한 중력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블랙홀의 존재와 질량을 높은 신뢰도로 확인했다.

 

이 블랙홀이 존재하는 코스믹 호스슈 은하는 “화석 집단(fossil group)”으로, 수십억 년에 걸친 여러 은하의 합병 결과로 형성되었다. 당시 동반 은하들의 초대질량 블랙홀들이 모두 합쳐져 현재의 초대질량 블랙홀이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이다.

 

이로 인해, 이번 발견은 은하와 블랙홀의 형성과 진화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며, 우주에서 가장 거대하고 복잡한 구조가 어떻게 생성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귀중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국제 연구팀의 책임자 중 한 명인 브라질 리우그란데두술 연방대학교 박사과정 카를로스 멜로는 “이 방식은 완전히 조용한 상태의 초대질량 블랙홀도 우주 전역에서 감지하고 질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해, 블랙홀 천문학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현재까지 발견된 블랙홀 중 가장 질량 측정 정확도가 높고 신뢰할 만한 사례 중 하나로 꼽히며, 전 세계 천문학계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향후 이와 같은 탐지 기법이 더욱 발전함에 따라 우주의 비밀스러운 초대질량 블랙홀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